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자인 씽킹을 적용한 3차원 교육프로그램 개발 모형 탐색

        윤옥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three-dimensional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model using design thinking and to determine its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rogram developers. ADDIE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 is a typical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model, but it has several limitations.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we developed a three-dimensional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model using design thinking. The model search method focused on literature analysis and theoretical exploration. Design thinking is the first step in the three-dimensional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model—design thinking is the basic axis; the second step is the creative problem-solving model; and the third step is the ADDIE model. We expect this study will have the following effects: first, it can aid in the development of context-based educational programs; and second, by facilitating the comprehensive use of analytical and intuitive thinking, it will enable problems to be solved effectively and efficiently.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development model only consists of literature analysis and theoretical exploration. 이 연구는 디자인 씽킹을 적용한 3차원 교육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탐색하고 교육프로그램 개발자들에게 시사점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대표적인 모형이 ADDIE(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이다. 이 ADDIE 모형에는 여러 가지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디자인 씽킹을 적용한 3차원 교육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탐색하였다. 모형탐색 방법으로는 문헌분석과 이론적 탐색을 중심으로 하였다. 디자인 씽킹을 적용한 3차원 교육프로그램 개발 모형은 첫째, 디자인 씽킹을 기본 축으로 하며, 둘째, 창의적 문제해결 모형, 셋째, ADDIE 모형을 동시에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기대효과는 첫째, 상황과 맥락에 따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할 수 있다. 둘째, 분석적 사고와 직관적 사고를 종합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문제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다. 연구의 한계점은 프로그램 개발 모형이 문헌분석과 이론적 탐색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실제로 이 모형에 대한 검증 작업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검증 작업은 후속연구에서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코칭연구 학회지 연구 동향 분석

        윤옥한 한국코칭학회 2021 코칭연구 Vol.14 No.5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코칭학회가 발간하는 코칭연구 학술지 논문의 연구 동 향을 파악하여 향후 코칭연구의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학술지 코칭연구를 2008년부터 2020년까지 13년간 발행된 논문 224편을 분석 틀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자 2명이 투고한 논문이 120명(54%)으로 가장 많았다. 둘째, 연구 자 소속의 경우 전체 395명 중 학교가 356명(90%)이다. 기업체, 공공기관, 민간 연구소에서 투고한 논문은 전체 10% 정도이다. 셋째, 양적연구가 101편(45%)으 로 가장 많았으며, 실천연구 59편(26%), 질적연구 13편(6%)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 대상별 현황 분석 결과 성인이 122편(54%)으로 가장 많았다. 다섯째, 다른 분야의 논문이 91편(41%), 코칭 이론과 실천 83편(37%), 비즈니스 13편 (6%), 학습 12편(5%), 부모 10편 (4%), 라이프 6편(3%), 청소년 4편(2%), 커리어 3편(1%) 순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코칭 적용 분야에서 코칭 이론과 실천이 많은 부분은 고무적이다. 코칭이 학문적으로 정착하는데 필요한 이론적인 논문들과 코칭을 현실 상황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코칭의 효과성 적용과 관련된 논문들이 많이 등장한 것은 코칭연구가 확대되고 심화된 측면이다. 그러나 코칭 적용 분야를 보면 비즈니스, 개인 라이프, 스포츠, 임원, 커리어, 크리스천, 가족, 부모, 청소년, 학습 등 다양하게 연구가 되지 못한 부분이 아쉽다. 향후 코칭 연구에서 코칭을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한 논문들이 많이 나오기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utline the implications for future coaching research by identifying research trends in coaching research journal articles published by the Korean Coaching Association. Regarding the research method, 224 papers published between 2008 and 2020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framework adopted in this study.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published papers authored by two researchers was 120 (54%). Second, 356 (90%) of the 395 researchers were affiliated with a university faculty. Papers submitted by corporations, public institutions, and private research institutes accounted for approximately 10% of the total. Third, 101 quantitative studies were conducted, which constituted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45%), followed by 59 practical studies (26%), and 13 qualitative studies (6%). Fourth, an analysis of the status of each study topic revealed that the topic of most studies focused on adults with 122 articles (54%). Fifth, out of all papers included in the study, 91 (41%) focused on other fields, 83 (37%) addressed coaching theory and practice, 13 focused on business (6%), 12 investigated learning (5%), 10 examined parenting (4%), six addressed films about life (3%), four focused on youth films (2%), and three explored career films (1%). Sixth, our findings that many coaching theories and practices exist in the coaching application field is encouraging. The appearance of numerous papers, theoretically oriented ones allowing coaching to become an academically established topic and those on the development of various applied coaching programs and their effectiveness, reveals that coaching research is expanding and deepening. However, while surveying the applied coaching field, the researcher deems unfortunate in the absence of studies on topics such as business, personal life, sports, executives, careers, Christianity, families, parents, youth, and learning. In future coaching research, numerous papers that apply coaching in various fields,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기업교육 연구 동향 분석: 기업교육 학회지(2000-2014) 논문을 중심으로

        윤옥한 한국기업교육학회 2016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18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corporate education in the period 2000–2014. In total, 201 articles were analyzed, and the following four research questions were addressed. First, which phase of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 (HRD) process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 is the most commonly studied? Second, among HRD staff core competencies, which is the most commonly addressed? Third, which research method (quantitativ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literature review) is used most frequently? Fourth, which type of research institution (public agencies, businesses, universities, research institutions) produces the most research pap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HRD process, the highest number of papers focused on analysis (113 research papers; 56.2%). Second, among HRD staff core competencies, professional competence is the most commonly addressed (96 research papers; 47.1%). Third, among research methods, the quantitative approach is the most frequently used (119 research papers; 59.2%). Fourth, among the various types of research institutions, universities are responsible for the greatest number of papers (259 research papers; 71.5%). As for future work, to extend these findings, first,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analytical framework when analyzing research trends. Second, in order to validate the research trends in corporate education in Korea as suggested by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extensively study the flow of corporate education by examining research published in the neighboring Journal of Learning and Performance, publications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TD, ISPI), doctoral theses, master’s theses, and books related to corporate education. 이 연구는 한국기업교육학회에서 발행하여 2010년에 등재된 기업교육 분야의 대표적인 학술지인 ‘기업교육연구’를 중심으로 2000년부터 2014년까지 15년 동안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대상 논문은 총 201편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HRD 프로세스 부분에서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 중 어떤 영역과 관련된 연구가 상대적으로 많이 이루어졌는가? 둘째, HRD 담당자의 핵심역량 중 어느 영역의 연구가 상대적으로 많이 이루어졌는가? 셋째, 연구 방법 측면에서 양적연구, 질적 연구, 문헌연구 중 어떤 연구가 상대적으로 많이 이루어 졌는가? 넷째, 연구자 소속기관은 공공기관, 기업체, 대학교, 연구소 중 상대적으로 어떤 기관이 많았는가? 이다. 연구결과 첫째, HRD 프로세스 부분에서는 분석이 113편(56.2%)로 가장 많았다. 둘째, HRD 담당자의 핵심역량에서는 전문성 역량이 96편(47.1%) 로 가장 많았으며, 셋째, 연구 방법에서는 양적연구가 119편(59.2%)로 가장 많았다. 넷째, 연구자 소속기관의 경우 대학교가 259편(71.5%)로 월등히 많았다. 기업교육연구와 관련하여 제언 사항은 첫째, HRD 프로세스를 다양화 할 필요가 있고, 둘째, HRD 연구 분야의 틀을 다르게 하여 분석해 볼 필요가 있으며, 셋째, 기업교육학회지 뿐만 아니라 관련 학회지의 비교 연구, 단행본, 석․박사학위논문, 해외관련단체등을 통하여 우리나라 기업교육의 동향과 연구 흐름을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하브루타 수업모형에서 질문생성 전략 탐색

        윤옥한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2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8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question generation strategy in the Havruta instructional model and to implement it actively in the field. For the research method, the Havruta class model and its question generation strategy were presen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s follows. The researchers analyzed the question-, argument-, comparison-, friend-, and problem-centered Havruta class models. The core of all five Havruta teaching models is a question. Havruta is a typical educational method that emphasizes questioning, talking, and discussing, but it is not used to teach students how to ask questions, which depends on an individual's ability. Therefore, in this study, three question-generation strategies were presented: the hope point enumeration, defect enumeration methods, and the check method. By using these strategies, the Havruta class model can be actively used in the field.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teach questioning techniques in advance when having a Havruta class in the school field through a question generation strategy so that the Havruta class is activated. In addition, the manner of asking questions can determine the quality of a class. It is important to faithfully teach the question generation strategy technique. It is also considered important to have enough class time in order for the Havruta class to be actively used in the field. If there is limited time for discussion, it is better not to use the Havruta method because the it requires sufficient discussion time. It is recommended to set aside sufficient time for discussion and conduct a question-creation strategy class in advance, followed by the Havruta class. 이 연구의 목적은 하브루타 수업모형 모형에서 질문생성 전략을 탐색하여 하브루타 수업모형을 적극적으로 활성화하도록 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를 통하여 하브루타 수업모형과 질문생성전략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하브루타 수업모형은 질문 중심, 논쟁 중심, 비교 중심, 친구 가르치기 중심, 문제 만들기 중심 수업모형을 살펴보았다. 5가지 하브루타 수업모형 모두 핵심은 질문이다. 질문을 강조하고 대화하고 토론하는 교육 방법 중 대표적인 것이 하브루타이다. 그러나 질문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가르쳐 주지 않는다. 질문하는 방법은 개인의 역량으로 두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질문생성 전략을 세 가지로 제시하였다. 희망점 열거법, 결점열거법, 점검법이다. 이 세 가지 질문생성 전략을 하브루타 수업모형에서 활용함으로써 하브루타 수업모형을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질문생성전략을 통하여 학교 현장에서 하브루타 수업할 때 질문기법들을 사전에 가르쳐서 하브루타 수업이 활성화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질문을 어떻게 하느냐가 수업의 질을 결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질문생성전략 기법을 충실히 가르치는 것이 중요하다. 하브루타 수업이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수업시간을 충분히 가지는 것 또한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토론시간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하부루타 수업방법은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하브루타 수업은 충분한 토론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충분한 토론시간을 마련하고 질문생성전략 수업을 사전에 한 후 하브루타 수업을 할 것을 권장한다.

      • KCI등재

        코로나 19 이후 교육과정 재개념화 방향 탐색

        윤옥한 사단법인 미래융합기술연구학회 2022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future of education by exploring the direction of curriculum reconceptualization after COVID-19. The research method is literature synthesis. The review of the research literature resulted in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he reconceptualization of educational objectives must educate a new value chain. Education on a new value chain is needed to create a better order to replace the previous status quo of modern society. Second, the reconceptualization of the curriculum requires the formation and implementation of a convergence curriculum in order to foster creative convergence-type abilities adept for future society. Third, the reconceptualization of educational methods must realize various educational methods suitable for the changed learning tendencies of the digital generation.Fourth, for the reconceptualization of education methods, process-based paper-and-pencil evaluations and process-oriented performance evaluations should be balanced. In addition, absolute evaluation rather than relative evaluation is required. It is difficult to reconceptualize the formal decision process in the school field, but it is possible to reconceptualize the performance process. In this respect, it is believed that it will be helpful to nurture talented individuals suitable for future society if teachers are interested in even a partial reconceptualization of the curriculum. 이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이후 교육과정 재개념화 방향을 탐색하여 미래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목적 재개념화는 새로운 가치사슬을 교육해야 한다. 지금까지 현대 사회를 유지해 온 질서 대신 새로운 질서를 창출하기 위한 새로운 가치사슬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교육과정 재개념화는 미래 사회에 적합한 창의 융합형 인재육성을 위해서는 융복합 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이 필요하다. 셋째, 교육방법 재개념화는 디지털 세대의 변화된 학습 성향에 맞는 다양한 교육방법을 실현해야 한다. 넷째, 교육평가 재개념화는 과정중심 지필평가와 과정중심 수행평가가 균형 있게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상대평가보다는 절대평가가 필요하다. 학교 현장에서는 공식적 결정 과정을 재개념화하는 것은 어렵다 그러나 수행과정에 대한 재개념화는 가능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일부만이라도 교사가 교육과정을 재개념화하는 것에 관심을 갖고 노력할 경우 미래 사회에 적합한 인재양성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 KCI등재

        진로지도를 위한 중등학교 교사들의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인식 분석

        윤옥한 사단법인 미래융합기술연구학회 2022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secondary school teachers perceive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nd to propose directions for the career guidance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to survey 165 secondary school teac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relation to the question of how should careers and career guidance be handled in relation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secondary schools, the teachers were most likely to be guided through vocational career guidance and through individual curriculum instruction. Second, 69 (41.8 %) survey respondents said that the greatest problem for job and career guidance was the absence of programs for systematic vocational guidance education. Third, in secondary school, respondents received ample education 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103 respondents, 62.4 %) for vocational career education. A total of 130 respondents, (78.8%) knew about what they needed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105 persons, 63.3 %).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irst,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program on vocational career guidance is urgently needed. Second, concerning changes in the occupational environment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systematic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in various curriculums that can be applied to curriculum education in the secondary school contexts. Third, continuous education is needed to address occupational changes, such as those relating to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relat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hanges in the social environment. Through continuing education, career guidance should be made in the right direction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진로지도를 위한 중등학교 교사들의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중등학교 학생들의 진로 지도에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중등학교 현직 교사 165명을 대상으로 구글을 통하여 설문조사한 다음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4차 산업혁명 관련 직업·진로 지도 인식은 중등학교에서 직업·진로 지도는 어떻게 다루어지는 것이 좋은가? 에 대하여 교사들은 직업 진로 지도 시간을 통해서와 각 교과 교육을 통해서 지도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하였다. 둘째, 직업·진로 지도의 가장 큰 문제는 체계적인 직업 진로 지도 교육 프로그램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69명 (41.8%)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등학교에서 교사들은 직업 진로 교육을 위해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교육을 많이 받았으며(103명, 62.4%).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지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130명, 78.8%),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직업 진로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대체로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05명, 63.3%).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직업 진로 지도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시급히 필요하다. 둘째, 4차 산업혁명시대 직업환경 변화와 관련하여 중등학교 현실에서 교과 교육에서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교과교육 내의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기술의 발달과 사회 환경변화 등으로 나타나는 직업의 변화에 대하여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지속적인 교육을 통하여 4차 산업혁명 시대 올바른 방향으로 직업 진로 지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평생교육과 인적자원개발의 개념적 정의에서 살펴본 학문적 융합 가능성 탐색

        윤옥한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2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8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cademic convergence between lifelong education and HRD through conceptual analysis of lifelong education and HRD. The research method is literature research. For literature analysis, literature was extracted using academic data analysis, focusing on contents related to the concepts of lifelong education and HR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is a possibility of academic integration in the sense that lifelong education may encompass HRD and HRD may encompass lifelong education. Second, since HRD and lifelong education are common in that both concepts emphasize the principles of adult learning with training, education, learning, and development as key mediators, they are interconnected and integra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reate a phenomenon of sharing and exchange with other academic fields through lifelong education and HRD. Suggest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It is expected that lifelong education will be reborn as lifelong learning and HRD convergence studies along with HRD. In this context, it is suggested that the graduate degree program integrate lifelong education and the HRD major. 이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과 HRD의 개념적 분석을 통하여 평생교육과 HRD의 학문적 융합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이다. 문헌분석을 위하여 평생교육, HRD의 개념과 관련된 내용을 중심으로 학술자료 분석을 활용하여 문헌을 추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생교육이 HRD를 포괄할 수도 있고 HRD가 평생교육을 포괄할 수도 있다는 측면에서 학문적 통합 가능성이 있다. 둘째, HRD와 평생교육은 두 개념 모두 훈련, 교육, 학습, 개발을 핵심적인 매개체로 하며 성인 학습의 원리를 강조한다는 점에서 공통적이기 때문에 서로 연결되고 통합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평생교육과 HRD를 매개로 다른 학문 분야의 공유와 교류 현상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제언은 다음과 같다. 평생교육이 HRD와 함께 평생학습 및 HRD 융합학문으로 재탄생하기 기대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대학원 학위 과정을 평생교육과 HRD 전공을 함께 통합 운영해 볼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교양교육에서 메타버스(Metaverse)의 교육적 활용방안 탐색

        윤옥한 한국교양교육학회 2023 교양교육연구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applications of the metaverse and to gather empirical data on its uses. The metaverse encompasses various types applications, such as augmented reality, life logging, a mirror world, and a virtual world. Many universities have already incorporated or are planning to introduce the metaverse into their curricula or non-curricular events. In conclusion, metaverse literacy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n liberal arts education, and in order for instructors to effectively use these tools in their classes, it is necessary for them to employ a variety of platforms as motivational tools. 이 연구의 목적은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방안을 탐색하여 메타버스의 실증적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메타버스의 유형으로 증강현실, 라이프 로깅, 거울 세계, 가상 세계가 있다. 메타버스 플랫폼과 교육적 활용 사례는 각 대학에서는 교과과정이나 비교과 행사 진행에 메타버스를 도입하였거나 도입할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방안으로는 증강현실, 라이프 로깅, 거울 세계, 가상 세계를 모두 활용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교양교육에서 메타버스 리터러시(literacy)가 필요하며 교양교육 교수자가 수업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플랫폼을 동기유발 도구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모든 것은 하나님의 뜻이다.’에 관한 담론 성찰

        윤옥한 한국실천신학회 2021 신학과 실천 Vol.- No.76

        본 연구의 목적은 ‘모든 것은 하나님의 뜻이다.’라는 의미론적 담론을 교육적 입장 에서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한국기독교는 성경에 근거를 두고 올바른 가르침을 수행하고 있는가? 기독교 신자들이 가장 많이 하는 말 중 하나는 ‘모든 것 은 하나님의 뜻이다.’ 모든 것은 하나님의 뜻이다.’라는 설교는 피해를 본 입장에서는 매우 받아들이기 어려운 문제이다. 설교는 성서 읽기와 성서의 해석이다. 올바른 설교 는 회중들에게 전달되는 과정을 철저히 검토해야 한다. 기독교인들이 ‘모든 것은 하나 님의 뜻이다.’라고 말할 때 분명히 해야 할 것은 모든 영역에서 하나님의 뜻만이 선하 다는 것을 분명히 선언하지 않으면 여러 측면에서 혼란이 발생한다. 교육적 측면에서 보면 첫째, 하나님의 이름을 욕되게 한다. 둘째, 하나님에게 모든 책임을 돌리게 된다. 셋째, 교육도 필요 없다. 넷째, 믿는 사람들이 고집이 세고 말이 통하지 않게 한다. 다 섯째, 인간을 무기력하게 만들며 기존 질서에 순응하게 만든다. 여섯째, 인간에게 면 책특권을 주게 된다. 일곱째, 하나님을 이용하게 만든다. 그러면 ‘모든 것은 하나님의 뜻이다.’를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가? 첫째, ‘모든 것은 하나님의 뜻이다.’ 표현 속에 담긴 예정론은 성도의 윤리 의식을 약화하지 않는다. ‘모든 것은 하나님의 뜻이다.’의미를 잘못 가르쳤기 때문에 발생하는 오류이다. 인간의 윤리적인 책임이나 사회적인 책임을 가르치지 않고 모든 것을 하나님의 뜻으로 가르 쳤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이다. 둘째, 한국교회를 부패하게 한 것은 칭의론의 왜곡에 있다. 잘못된 칭의론에 입각한 구원론이 무책임한 교회와 신자들을 배출한 결과 현시 대 한국교회와 같은 모습이 되었다. 셋째, ‘하나님의 뜻을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가? 성경에 드러난 하나님의 뜻은 분명하다. 성경 전체가 암시하는 것은 하나님의 공의와 사랑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한국교회에서 버릇처럼 말하는 ‘모든 것은 하나님의 뜻이 다.’라는 표현을 사용할 때 인간의 책임과 하나님에 대한 사랑을 반드시 가르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semantic discourse of “everything is God's will” from an educational standpoint. Is Korean Christianity practicing the correct teachings based on the Bible? One of the most common sayings among Christians is, “everything is God's will”. The sermon that “everything is God’s will” is an extremely difficult problem for victims to accept. A sermon should include reading and interpreting the Bible. How proper sermons are delivered to the congregation must be thoroughly reviewed. What Christians need to be clear about when they say, “All things are God's will” is that unless we explicitly declare that only God's will is good in all areas, confusion arises in numerous fashions. From an educational viewpoint, first, it dishonors the name of God. Second, we place all responsibility on God. Third, no education is required. Fourth, it leads believers to become stubborn and illiterate. Fifth, it renders people powerless and leads them conform to the existing order. Sixth, immunity is given to humans. Seventh, use God. So, how should we interpret ‘all things are God’s will’? First,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contained in the expression ‘All things are God’s will’ does not weaken the saint's ethical consciouseness. It is an error that occurs because the meaning of ‘all things are God’s will’ is taught incorrectly. This is a problem that arises because we teach everything according to God's will without teaching human ethical or social responsibility. Second, it is the distortion of the theory of justification that has corrupted the Korean church. As a result of the soteriology based on the false justification theory that has produced irresponsible churches and believers, it has become like the modern Korean church. Third, ‘How should we interpret God’s will? The will of God revealed in the Bible is clear. What the entire Bible implies is the justice and love of God. In this respect, it is necessary to teach human responsibility and love for God when the Korean church uses the habit of saying ‘everything is God’s wi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