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호관찰관의 직무상 위험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윤옥경 한국교정학회 2024 矯正硏究 Vol.34 No.1

        본 연구는 최근의 형사정책적 흐름에 따라 보호관찰관이 담당해야 하는 범죄자 관리감독 업무가 확대되는 상황에서, 보호관찰관들이 직무수행 중에 겪을 수 있는 여러가지 사고와 폭력피해의 규모와 양태를 알아내고 그러한 부정적인 경험이 보호관찰관의 직무스트레스, 나아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전국의 18개 보호관찰소에서 346명의 보호관찰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먼저 직무수행 중 경험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위험과 폭력피해의 규모를 측정하였다. 보호관찰관이 직무수행 중 가장 빈번히 경험하는 사건은 대상자의 재범(93.4%)이었고, 그 다음이 대상자나 그 가족으로 부터의 욕설과 반말 등 언어적 폭력을 당한 경험(71%)이었다. 이어서 대상자나 가족으로 부터 협박을 받는 등 정서적 폭력의 경험(65%)이었고, 대상자의 자살이나 자해를 목격한 비율은 28%가 넘었다. 신체적 폭행을 경험한 비율은 9.4%로 높지 않았다. 개방형 질문을 통해 살펴 본 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지는 않지만 대상자의 자살과 자해를 목격하는 경험과 신체적 폭력을 당한 경험은 상당한 트라우마와 불안감을 낳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직무수행 중의 위험한 경험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영향에 대해 회귀분석을 한 결과 직무수행중의 위험한 경험은 직무스트레스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어 직무만족도를 낮추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관계는 직무수행 중에 경험하는 위험 중에서 폭력적인 것을 따로 분리하여 분석하여도 마찬가지 결과를낳았다. 보호관찰관이 직무수행 중에 경험하는 다양한 위험과 폭력피해가 직무스트레스를 통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직무수행 중의 위험에 대해 해당 부처가 관심을 가지고 통계적인 규모를 정기적으로 파악하는 것부터시작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prevalence and pattern of various accidents and violent victimization that probation officers may experience while performing their duties, and to analyze the impact of such negative experiences on probation officer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hrough a survey of 346 probation officers at 18 probation offices nationwide, I first tried to measure the various risks and violence probation officers face. The most frequent incident experienced by probation officers during job performance was the subject’s recidivism (93.4%), followed by verbal assault such as abusive language and indecent language from the subject or his or her family (71%). Next, the experiences of emotional assault (65%) such as threats from the subject or his family, and the rate of witnessing suicide or self-harm of the subject was over 28%. The rate of experiencing physical assault was 9.4% that is lower than expected. However, from narratives given by the open questionnaire, it was found that the experience of witnessing suicide and self-harm of the subject and experiencing physical assault produced considerable trauma and anxiety.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dangerous experiences during job performance negatively affect job stress and lower job satisfaction. This relationship produced the same results even when the violence variable were analyzed separately. It was emphasized that in order to solve the various risks and violence experienced by probation officers during job performance, the ministry must first pay attention to the volume and types of job-related risks and violence.

      • KCI등재

        미국 사회과교실의 세계지리 수업에 대한 연구 - 버지니아 주 고등학교 지리 수업 관찰을 중심으로 -

        윤옥경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8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6 No.1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econdary world geography class in the United States and to understand implications for the Korean geography education through a classroom observation of a world geography lesson at a high school in Virginia, USA. The topic of the lesson wa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Russia and Central Asia. The lesson was consisted of three classroom activities: reviewing the unit, map learning, and creating a travel brochure. An interview with the teacher confirmed the intentions of each classroom activities. I also examined other factors constructing the geography lesson such as lesson subjects, teacher, students, educational environment, and classroom space. The lessons provided in this case study were linked to world geography curriculum of the United States. However, the teaching and learning geography is centered on the student activities. During the lesson, the teacher roamed around students and kept monitored the students’ activities. It is noteworthy that the lesson adopted both an online learning system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to facilitate students’ access to the learning contents. It extends both temporal and spatial extents of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beyond classroom instruction and integrates online and offline learning environments. The teacher must have an expertise in the instructional planning and operation as well as learning contents not only at a 90-minute offline class, but also at an online learning space which has less space-time constraints in education. 이 연구는 미국 버지니아 주에 위치한 한 고등학교의 사회과 세계지리 수업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미국 중등 세계지리 수업이 우리나라 지리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파악했다. 이 수업의 주제는 러시아와 중앙아시아의 특징을 파악하는 것이었다. 이 수업은 단원 총 정리 복습과 지도 학습, 여행 브로셔 제작의 세 가지의 활동으로 구성되었고, 각 활동의 의도는 교사와의 인터뷰를 통해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수업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실제 수업을 둘러싼 교과와 교사, 학생, 교육환경, 교실 공간 등의 제반 요소를 살폈다. 수업의 내용은 세계지리 교육과정과 연결되어 있으면서도 학생들의 활동 중심 수업으로 진행되었다. 교사는 끊임없이 학생들의 좌석 사이를 오가면서 학생들의 수업활동을 전체적으로 그리고 개별적으로 지도하였다. 인상적인 것은 학생들이 학습내용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온라인 학습 시스템과 학생 개인별 휴대용 컴퓨터를 활용하는 것이었다. 이는 교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의 시공간적 범위를 교실수업 너머로 확장하며, 온라인-오프라인 학습의 유기적 연결을 유도한다. 90분의 수업공간과 시·공간적 제약이 적은 온라인 학습 공간 모두가 학습내용과 수업 계획, 수업운영 등 모든 측면에서 교사의 전문성을 요구했다.

      • KCI등재

        초등 사회과 지리교육의 지도학습에서 교사의 웹지도 활용실태

        윤옥경,한정혜 한국지도학회 2014 한국지도학회지 Vol.14 No.2

        최근 웹과 스마트폰 앱이 갖는 장점을 활용한 컨텐츠가 속속 개발되고 있으나, 웹지도 이용실태에 대한 현황조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초등 사회과 지리교육에서 웹지도의 활용현황과 교사들의 요구를 파악하기 위한 조사를 수행하여 웹지도 활용교육이 나아가야 할 발전 방향을 모색해 본다. 연구자료는 설문조사와 면담을 통해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교사들은 웹지도를 일상생활에 주로 사용하지만, 수업시간에도 웹지도는 초등 사회과 지리교육에서 지도의 원리 학습 및 적용에 활용되고 있었다. 주로 일반도와 위성영상지도를 활용하며 각 웹지도 사이트별 활용하는 지도의 유형에 선호도 차이를 보였다. 교사들은 웹지도에 대해 지명, 위치찾기 등에 만족하며 백과사전과 같은 지역정보, 지도에 나오는 지역의 사진, 동영상 등이 웹지도와 결합되어 제공되기를 희망하였다. 교실 IT 인프라 환경은 웹지도 활용의 장애요인이 되고 있으며, 교사들은 기능과 디자인면에서 교사와 학생의 조작, 변형, 활용이 용이한 웹지도 서비스의 요구를 드러냈다. 또 교사들의 경력과 사회과 교수 곤란도에 따라 웹지도에 대한 만족도와 활용에 있어 차이를 나타내므로 이를 고려한 정책적 지원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Developments of contents that exploit the advantages of web and smart phone apps are thriving, yet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current status in use of web-based maps. In this research, we conducted a survey of the current state and demand of teachers on the use web-based maps for geography education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in order to derive future strategy for advancement of web-based maps and web-applied education. The current use of web-based maps was investigat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face-to-face interviews, from which we made analysis across a number of factors such as teacher’s work experience, perceived level of difficulty in teaching social studies, and attributes related to using different websites with web-based maps. The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mainly used web-based maps in their everyday life, but they also used web-based maps in classrooms for map learning and applications of map in geography education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In general, teachers used ordinary maps and satellite imagery maps, but we observed difference in preference towards different types of maps used across websites with maps. Teachers were satisfied with the place names and location services in web-based maps, but they also wished other information (i.e. local information similar to encyclopedia, and local images or video clips to be merged into the web-based maps. The IT infrastructure of classrooms was seen as barrier to effectively using web-based maps. Teachers also had specific requests for feature and design aspect of web-based map service that would allow easy control, modification and use of maps among teachers and students. Also, since there are differences in satisfaction and usage of web-based maps according to teacher’s work experience and perceived difficulty of teaching social studies,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policy support that take account of such differences.

      • KCI등재

        청소년 비행에 대한 개인, 가정, 학교, 지역사회의 영향력 비교

        윤옥경 한국교정학회 2008 矯正硏究 Vol.- No.38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ve effects of various factors such as individual personality, family attachment, school environment, and community climate in explaining juvenile delinquent behaviors. As the analytical tools, it uses a variety of previous theories such as the self-control theory, the self-esteem theory, the social control theory, the social disorganization theory and the routine activities theories. Using survey of 1,122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t estimates their personal attributes and attitudes and perceptions about their parents, family school and community. Also, it attempts to find the kind and degree of deviant acts ranging from smoking, cheating, running-away to shotlifting, violent acts, and drug-sniffing. And then it analyzes how individual, family, school, community factors affect these delinquent acts. Analyses are separately conducted by gender and educational statu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in general, all variables considered in the analyses found to be more or less related with various forms of delinquent acts: Low self-control significantly decreases the frequency of delinquent behavior. Distrust of current educational policy and capacity of teachers seems to increase students' involvement in deviance. The existence of adult entertainment shops such as night clubs, bars, massage parlors, motels induces teens toward delinquency. More specifically,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are school distrust and the street disorder of their residential community. Among high school students, self-control has the most explanatory power. Unlike expectations, family and community contexts have little impacts on their delinquent behaviors. In the case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dult entertainment shops increase the chances of delinquent behaviors. For both of the male and female students, low self-control hinders their involvement in delinquency. But the community context of adult entertainment zones attracts the young and increases the involvement in deviant acts. Based on these findings, a few policy implications are mentioned. 이 연구는 청소년의 다양한 비행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개인적 요인, 가족요인, 학교요인과 지역사회요인을 모두 고려하여 이들의 상대적 중요성을 측정해 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선행연구들은 이들 각각의 영향력을 살펴보는 데 집중을 해왔던 반면 이 요인들을 한 모델안에서 함께 고려하여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려는 시도는 많지 않았다.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이 연구는 기존의 범죄원인론 중 자아통제론과 자아존중감이론, 사회유대이론과 사회해체이론, 그리고 일상생활이론 등을 가지고 분석틀을 구성하였다. 선정된 변수는 개인적 수준에서 자아통제력과 자아존중감, 가족적 수준에서 가족의 화합정도와 부부의 갈등정도, 학교상황에서는 학교교육에 대한 불신과 학교생활만족도, 지역사회 수준에서는 유흥업소의 범람과 지역의 무질서, 그리고 지역사회의 비공식적 통제력에 대한 인식을 선정하였다. 종속변수인 청소년비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폭력비행 재산비행 지위비행, 성비행을 측정하였다. 1,122명의 서울시내 중학교와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조사를 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성별, 교급별로 나누어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볼 때 model에 포함된 모든 변수들이 어느 정도는 모두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특히 자아통제와 가족통합정도, 학교에 대한 불신, 지역사회무질서, 유흥업소의 범람이 상대적으로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교급별 분석결과를 보면 남녀학생모두에게 자아통제력은 비행을 저지하는 힘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흥업소의 수는 남녀학생 모두에게 영향을 주고 있지만 지역무질서는 남학생의 비행에만 영향을 준다는 차이를 보였다. 자아통제력은 중학생보다는 고등학생에게 더 의미있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에서는 몇가지 정책적 함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외국인수형자의 교정처우 경험과 인식에 관한 연구

        윤옥경,이헌영 한국교정학회 2011 矯正硏究 Vol.- No.50

        This study is designed to review first international standards and agreements for the foreign national prisoners; For example, United Nations Standard Minimum Rules for the Treatment of Prisoners, The Body of Principles for the Protection of All Persons under Any Form of Detention or Imprisonment, Model Agreement on the Transfer of foreign prisoners and recommendations for the treatment of foreign prisoners. It also tries to look at as many the previous studies on the foreign prisoners as possible to articulate the issues arisen by those studies for setting the questionnaire for this study. The last but not the leas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typical characteristics and program experiences of foreign national prisoners locked up in Korean correctional facilities. Using 165 cases this study finds the level of language barrier assistance and the number of persons per cell affect the level of prison life satisfaction. Finally, some limitations are suggested. 이 연구는 최근 우리나라에 유입되는 외국인의 수가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범죄를 저질러 교도소에 수감되는 외국인의 수도 증가함에 따라 외국인수형자 처우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높은 시점에서 외국인수형자들의 특성과 그들의 교정처우 경험, 그리고 처우 만족도 등을 파악함으로써 교정처우 수립에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대전교도소와 천안외국인교도소에 수용되어 있는 외국인수형자 165명을 대상으로 첫째, 외국인수형자의 인구학적 특성, 둘째 그들의 범죄 및 수용특성, 셋째, 교정처우 경험 및 만족도, 넷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국내 교도소에 수용되어 있는 외국인수형자는 20대에서 40대까지의 연령대로 한국에 입국한지 1년 이상 3년 미만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나 3개월미만의 입국자도 상당히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반 이상이 기혼상태이며, 한국어를 전혀 못하는 외국인들이 전체의 1/3정도나 되어 언어적 지원의 필요성이 아주 큰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사기와 살인을 저질러 3년 이상의 형기를 받은 비율이 높았고 처우급으로는 2급과 3급이 가장 많았다. 전화나 서신을 이용하는 비율은 높았으나 접견을 전혀 하지 못하고 있는 비율이 57%나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직업훈련이나 한국어교육에 참여한 외국인수형자의 비율이 크게 높지 않았고, 한국어실력이 부족한 상태에서 중요하게 기능할 수 있는 모국어나 영어지원이 불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모국어로 된 법률지원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외국인 수형자들의 교도소 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모국어지원과 거실인원수로 나타났다. 외국인수형자를 위한 교정정책을 수립하는 데 있어 이 두가지 요소를 포함시킨다면 외국인수형자들의 교도소 적응에 긍정적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한계에 대해 언급하였다.

      • KCI등재후보

        외국인수형자의 피해경험과 규율위반에 관한 연구

        윤옥경,이헌영 대한범죄학회 2010 한국범죄학 Vol.4 No.2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the extents of victimization and rule violations of foreign national prisoners imprisoned in Korean correctional facilities. Self-report survey is conducted using Korean, Chinese and English versions of questionnaire for 165 foreign national prison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reign national prisoners experience various types of victimization, for example verbal abuse, psychological violence such as bullying, physical fights and unwanted sexual contacts. However the overall degree of victimization is not as serious as we expected. They range from 2% to 13% at most. Second, their rule violations and misconducts remain 2-3%. The most frequently committed rule violation is verbal attack(15%). Third,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victimization and rule-infractions. It means that victimization experience may be one of the factors causing inmates' misconducts in prison setting. Finally, program satisfaction, violent subculture, procedural justice/legitimacy are entered into the model to find out the causes of victimization and rule violations.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show that procedural justice/legitimacy decreases victimization and that program satisfaction decreases rule violations while victimization experience increases the level of inmate misconducts. Policy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suggested. 외국인들의 유입이 많아지는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는 시점에서 외국인들이 저지르는 범죄의 양이나 특성도 변화하고 있고 이로 인해 한국의 교도소에 수감되는 외국인수형자의 수도 증가하는 상황에서 그들의 교도소 생활의 한 단면으로서 각종 피해와 규율위반행위의 실태와 원인을 살펴보는 것은 외국인 수형자들에 대한 적절한 처우정책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교도소의 안전과 질서유지를 위해 매우 필요한 작업이다. 본 연구는 천안외국인 전담교도소와 대전 외국인전용 교도소의 외국인 수형자 165명을 대상으로 한국어, 중국어, 영어로 기재된 설문지를 가지고 그들의 피해경험 및 규율위반 실태 및 영향요인을 살펴본 결과 외국인수형자들의 피해경험은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은 아니었으나 언어적 피해와 심리적 괴롭힘 등의 피해를 상당히 경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규율위반 행위빈도도 전반적으로 높은 편은 아니었지만 동료수형자간의 싸움이나 욕설, 폭행 등이 주 위반행위 형태로 존재하고 있었다. 그들의 피해경험과 규율위반 행위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을 뿐 아니라 피해경험이 그들의 규율위반 행위를 일으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이와 더불어 외국인 수형자의 처우만족도도 규율위반행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초등 사회과 지리 수업에서 C3 프레임워크에 기반한 탐구의 적용과 한계

        윤옥경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2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30 No.1

        This study carried out a case study using a lecture that reorganized the “the problems of rural communities” a geography inquiry topic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ion, into an online inquiry lesson using the idea of the “Inquiry Arc” of the C3 Framework. The C3 Framework is a framework for social studies education announced in the United States in 2013. The inquiry of the C3 Framework consists of four steps: motivating students to learn and arouse their curiosity, seeking their connections to inquiry topics, encouraging students to rationally explain inquiry topics and make arguments based on evidence, and communicating with others. The 3S inquiry lesson case analyzed in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the following order of recognizing the the problems of rural communities (Situation), creating specific questions to find a solution to the problem (Social problem), and finally proposing the best solution as a policy (problem-Solving and action). In this case study, students conducted a practical investigation, taking the area they live in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geography inquiry, although they considered not as their daily problems but as a problem to be solved by society. The experience of exploring solutions to the problems in a step-by-step and systematic way will help students independently find solutions for the problems that they will encounter in the future. The inquiry lesson conducted as a real-time online class was a new challenge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However, this lesson provides a great opportunity for students to voluntarily participate in classroom activities and find current information about the changing society, unlike the limited and outdated information provided by textbooks. 이연구는초등교육사회과의지리탐구주제인‘촌락의문제’를C3 프레임워크(C3 Framework)의‘탐구의활(Inquiry Arc)’의아이디어를이용하여3S 탐구수업으로재구성한한온라인탐구수업을사례조사했다. C3 프레임워크는2013년에미국에서발표된사회과교육의한틀이다. C3 프레임워크의탐구는학생들에게학습에대한동기를부여하고이들의호기심을유발하기, 사회과교과와의연계추구하기, 합리적으로탐구주제를설명하고근거를바탕으로자기주장하기, 그리고다른사람들과의의사를소통하고논의하기라는4단계로구성된다. 이연구의사례인3S 탐구수업은촌락의문제를인식하고(Situation), 구체적인질문을만들어 문제의 해결 방안을 찾고(Social problem), 마지막으로 가장 좋은 방안을 정책으로 제안하여 발표하는(problem Solving and action)순서로 진행되었다. 촌락의 문제는 일상의 문제가 아니고 우리 사회가 함께 해결할 문제로서, 학생들은 거주하는 지역을지리적탐구의출발점으로하여, 실제적인탐구를수행하였다. 문제의해결방안을단계적이고체계적으로탐구한경험은, 학생들이미래에마주칠문제들의해결방안을주체적으로마련하는데도움을줄것으로기대된다. 온라인실시간수업으로행해진탐구수업의과정은교사와학생에게새로운도전이었다. 하지만, 이수업은학생들이교과서가제공하는제한적이고오래된정보와 달리 변화하는 사회의 생생한 정보를 접하고, 수업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였다.

      • KCI등재

        가석방제도의 운영과 절차에 대한 개선방안 연구: 수형자와 직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윤옥경 한국교정학회 2022 矯正硏究 Vol.32 No.2

        This study is designed to figure out the problems of current parole procedures taken place in correctional institutions, thereby suggesting strategies to better up the parole decision procedures. Using answers of two open questions from 409 inmates, and interview data from 18 prison officers who are in charge of parole screening procedures in the institutions, this study analyzed perceptions of both prison inmates and prison officers on parole decision procedures and the issues surrounding the procedures. For the inmates, the most painful issue concerning to the process of parole evaluation is that they did not know the date of getting eligibility of parole and criteria of parole success. Inmates are worried also about the influence of public opinion in their parole decision. They welcome the newly introduced ‘mandatory evaluation’ at first, because they thought it makes their earlier release possible, but they then recognize it turns out not true. Inmates wish they stand up in front of the parole committee in person so that they show the reasons for their parole release. They also want to know the reason of their failure when they are not permitted to release, The current changes in the parole system such as mandatory evaluation put a significant burden on the prison officers. And they insist that public opinion on the parole procedure may result in releases of more serious violent criminals, but not of less serious sexual molesters. They think it violates the principle of equity. They tend not to agree to the inmates’ opinion of the attendance of inmates in person in the parole committee. The officers do not formally inform the reason of failure to the inmates but they informally explain the reasons of failure when inmates ask them to do so. Finally, this study recommends that the correctional policy makers should consider the perception and opinion of prison inmates and the officers concerned. 본 연구는 실제 가석방제도의 대상이 되는 수형자, 그리고 가석방 업무를 담당하는직원들의 가석방 제도의 운영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그들의 관점에서 제시하는 개선방안이 무엇인지에 대해 검토함으로써 가석방제도의 개선에 도움을 주려고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수형자 409명의 개방형 질문에 대한 응답, 그리고 18명의 가석방업무담당자의 심층면접 답변을 기초로 하여 질적 자료를 분석하였다. 먼저 수형자의 관점에서 보면, 가석방 시점이나 가석방 요건 등에 관해 공식적인정보제공이 부족하다는 점이 많이 언급되었으며, 이를 시정하기 위해 가석방에 대한정보제공과 교육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특정 범죄유형에 대해서 갑자기 가석방이 불허되는 등 여론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에 대해서도 불만이 높았다. 죄질이나범죄유형보다는 개개인의 개선정도를 고려해서 심사해 달라는 의견이 많았다. 최근에도입된 필요적 가석방 제도가 수형자에게는 기대보다는 ‘희망고문’이라고 표현될 정도 의 좌절감을 주고 있다는 인식이 수형자들 사이에 상당히 퍼져 있었다. 공정성과 형평성을 확보하고자 도입된 제도가 수형자들의 교도소 적응에 심각한 부정적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개선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수형자들은 가석방 예비회의에 직접 출석하여 자신의 상황을 진술할 기회를 가지고 싶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고 또한 가석방 심사에서 탈락했을 때 탈락의 이유를 고지해 주기를 바라고 있었다. 한편 가석방 업무담당 직원들은 새로운 가석방 운영상의 변화로 인해 상당한 업무부담을 느끼고 있으며 이를 시정하기 위해서는 인력의 보충을 원하고 있었다. 필요적가석방 제도에 대해서는 수형자와 마찬가지로 업무는 많아지고 실제 가석방 대상자가증가한 것도 아니라는 점에서 제도의 효용성에 의문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수형자들이 여론으로 인해 가석방 심사가 영향을 받는 것에 우려를 표현한 것과 마찬가지로 업무담당자들도 여론이 가석방 심사에 미치는 영향이 존재한다는 것을 인정하고 있었고, 수형자의 가석방 예비회의 직접출석에 대해서는 오히려 공정성을 흐릴 수있는 위험을 지적하기도 한 반면 장기수 등에 대한 적용가능성에 대해서 긍정적 언급을 하기도 하였다. 가석방 심사 탈락사유에 대해서는 원하는 수형자에게는 상담을 통해서 알려주는 경우도 있지만 구체적 탈락사유가 개별적으로 제공되지 않은 상황에서일일이 설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수형자와 업무담당자의 가석방제도에 대한 인식에서 나온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향을 제시하고 제도의 대상자와 재도의 집행자들의 생각을 반영하려는 교정당국의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교정조직 독립의 필요성과 과제

        윤옥경 한국교정학회 2018 矯正硏究 Vol.28 No.2

        This article is designed to examine the need to establish an “independent” organizational structure for corrections and its future directions. It has started back to the early 1990s to discuss about the need for a correctional organization independently from the ministry of Justice, especially in the sense that the correctional organization must have its own decision power for its manpower and budget, policy planning and research etc. Since the Bureau of Corrections was promoted to the Correctional Service in 2007, there has been no changes at all in terms of its organizational capacities. As the inmate population has increased, the volume of violent crimes went up, and the crimes by mentally ill and career criminals have coupled up, the voices to demand for more effective correctional organization become louder. In this context, many scholars and professionals make voices for the changes of the correctional organization and at the same time some assemblymen propose changes in the law which enables to enlarge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of the Korean Correctional Service. Therefore, this article deals with first the contents of the scholarly articles that suggest the need for an independent correctional structure, and then examines the efforts of the revision of the law for government organization in the parliament. And it also lists up the tasks that the new correctional organization should deal with. Finally it tries to applies the multi-stream model to the process of the policy change in the realm of the corrections and draws insights for successful organizational change. 교정은 형사사법의 최종적 단계로 형의 집행과 교정교화라는 두 개의 목표를 동시에 수행해야 하는 임무를 띤 정부 행정조직이다. 교정본부는 만 오천 명의 직원과 5만7천명의 수용자를 가지고 있는 대규모 조직으로 타 외청의 소속직원 수와 비교할 때 외청 단위 조직으로 4번째에 해당한다(법무부 내부자료, 2018). 범죄예방과 사회 안전을 책임지는 경찰과 소방공무원은 모두 독립적인 외청으로서 조직, 예산을 독립적으로 운용하며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고 있는데 비해서 유사한 목표를 가진 교정본부는 법무부 내 보조기관으로서 법무부내 정책 우선순위에 들어가는 것도 어려운 상황이며, 역동적으로 움직이는 범죄환경의 변화와 교정에 대한 다양한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한다는 지적을 오랫동안 받아왔다. 학자들은 20여년동안 한결같은 목소리로 교정청 독립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고 국회에서도 교정조직 독립을 위한 개정안 발의 등의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교정본부에서도 학계와 국회와 협조하여 조직의 독립을 위한 동력을 만들어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전, 현직 교도관을 대상으로 한 “향후 10년간 교정 영역에서 일어날 가장 중요한 과제나 동향”에 대한 질문에서도 다수의 응답자들이 교정청 독립을 최우선(이백철, 2017:40)으로 꼽았을 만큼 교정인들에게는 가장 큰 염원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지금까지의 학자들의 논의를 검토함으로써 교정조직의 독립 필요성에 대한 논거를 정리한다. 둘째, 국회에서 시도된 교정청 독립을 위한 법안발의의 경과를 확인하고 셋째, 교정조직 독립의 논거로 제시된 교정수요의 급증과 전문성에 대해 당위론적으로 진술하기 보다는 실제적으로 교정수요가 얼마나 증가하였는지 그리고 교정의 전문화 경향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 지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학계와 국회, 그리고 조직내부에서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교정청 독립이 실현되지 못하고 있는 이유가 있는 것인지를 정책학적 분석틀을 가지고 평가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교정(교화)청의 필요성과 교정의 미래 발전방향에 대해 한번 더 생각하고 고민해 보는 기회를 제공하는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