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윤옥경 한국교정학회 2007 矯正硏究 Vol.- No.34
This study aims at first reviewing the international principles and domestic law and rules for juvenile inmates' contact with their family members.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and the U.N. rules for the protection of juveniles deprived of their liberty stress the role of family contact and family strengthening strategies in achieving successful reentry and reintegration of inmates. And the Correction law and the Regulation for treatment of juvenile inmates define family strengthening program such as letter sending, visitation in person, family reunion events, telephone service but do not give more detailed directions for juvenile inmates. Based on the notion that the role of family contact and family solidarity is more significant meaning in psychological, mental development of youthful offenders, more active family involvement is inevitable for juvenile inmate's reentry. This article also shows current status of family contact of juvenile inmates with a small survey results. Most of them appear to maintain family contact via letter, telephone, and in-person visitation but, as expected, the frequency decreases as prior criminal records and the sentencing length increase. However, regardless of frequency of family contact, juvenile inmates expect that their family helps them in reintegrating into society. In that point, we need to think offender's family as necessary resources for successful reentry of inmates.
퍼지 클러스터링을 이용한 다중 스펙트럼 자기공명영상의 분할
윤옥경,김현순,곽동민,김범수,김동휘,변우목,박길흠 대한의용생체공학회 2000 의공학회지 Vol.21 No.4
본 논문에서는 T1 강조영상, T2 강조 영상 그리고 PD의 영상의 특징을 상호 보완적으로 이용한 자동적인 영상 분할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분할 알고리듬은 3단계로 이루어지는데, 첫 단계에서는 PD 영상으로부터 대뇌 마스크를 획득한 후, T1과 T2, PD의 입력 영상에 대뇌 마스크를 씌워 각각의 대뇌 영상을 추출하고, 둘째 단계에서는 대뇌 내부 조직에 해당하는 두드러진 클러스터(outstanding cluster)를 3차원 클러스터들 중에서 선택한다. 3차원 클러스터는 최적스케일 영상(optimal scale image)으로 이루어지는 3차원 공간상에서 화소가 밀집된 봉우리들을 교집합해서 생성되는 클러스터로 결정한다. 최적스케일 영상은 각 2타원 히스토그램에 스케일 스페이스 필터링을 적용시키고 그래프(graph) 구조를 검색하여 2차원 히스토그램의 모양을 가장 잘 나타내는 봉우리(peak) 영상을 최적 스케일 영상으로 선택한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앞에서 찾은 두드러진 클러스터의 중심값을 FCM 알고리듬의 초기중심 값으로 두고, FCM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대뇌 영상을 분할한다. 제안한 분할 알고리듬은 정확한 클러스터의 중심값을 계산함으로 초기 값을 영향을 많이 받는 FCM 알고리듬의 단점을 보완하였고 다중 스펙트럼 영상의 특성을 조합하여 분할에 이용함으로 단일 스펙트럼 영상만을 이용하는 방법보다 향상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뇌 자기공명영상의 분할 및 대칭성을 이용한 자동적인 병변인식
윤옥경,곽동민,김헌순,오상근,이성기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9 의공학회지 Vol.20 No.2
In anatomical aspects, magnetic resonance image offers more accurate information than other medical images such as X ray, ultrasonic and CT images. This paper introduces a method that segments and detects lesion for 2 dimensional axial MR brain images automatically. Image segmentation process consists of 2 stages. First stage extracts cerebrum region using thresholding and morphology. In the second stage, white matter, gray matter and cerebrospinal fluid in the cerebrum are extracted using FCM, We could improve processing time as removing uninterested region. Finally symmetry measure and anatomical Knowledge are used to detect lesion.
지도그리기 활동을 통한 지도학습 방안에 대한 연구 : 지도그리기 경연대회를 중심으로
윤옥경 한국지도학회 2013 한국지도학회지 Vol.13 No.2
이 연구는 지도경연대회들을 탐구하여 지도그리기의 지도학습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지리교육에서 지도그리기의 활용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한국과 일본의 어린이 지도경연대회들과 국제지도학회의 바버라 페추닉 지도경연대회의 취지와 운영 방식 뿐만 아니라, 수상작품들을 비교했다. 한국의 지도경연대회는 짧은 역사속에서도 주제가 마을을 그리는 그림지도에서 ‘세계속의 대한민국’을 창의적이고 예술적으로 표현한 지도로 변화했다. 이는 지도의 원리와 기호 사용의 이해를 넘어 지도의 상징성과 예술성을 강조하는 쪽으로 지도학습이 변화된 것이다. 일본의 지도경연대회가 환경지도 그리기 활동을 지리 탐구와 병행하는 점과 바버라 페추닉 지도경연대회가 주제별로 작품을 모집하고 이의 교육적 활용을 중시하는 점은 향후 한국의 지도경연대회의 운영 방향과 지도학습에서 지도그리기의 활용 방안을 수립하는데 시사하는 바가 크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link between map drawing and learning for map and to suggest an effective utilization plan of map drawing in the geography education by comparing goals and management system of the children map drawing competitions in Korea and Japan and the Barbara Petchenik Children’s World Map Competition, organized by the International Cartographic Association as well as their award-winning works. Even with a short history, topics in Korean children map drawing competition have been dramatically changed from the pictorial map of a town to the map characterizing Korea in a global society in creative, artistic ways. This trend in map drawing competitions demonstrates that recent map education pays extra attention in teaching the symbolism and artistic value of maps in addition to teaching the principles of map and the usage of symbols. Giving emphasis to the combination of environmental map making activities with geographic inquiry at the map drawing competitions in Japan and running map competition by theme and emphasizing the educational application of maps at the Barbara Petchenik Children’s World Map Competition provide useful suggestions for the children map drawing competitions in Korea about how to manage future competition and how to establish an effective utilization plan of map drawing in the geography education.
교도소 직무환경에 대한 교도관의 인식 -성별 비교를 중심으로-
윤옥경,김은영 한국교정학회 2016 矯正硏究 Vol.- No.72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sex and various perceptions of the work environment and attitude toward correctional role in prison, such as job moral, evaluation on the supervision quality, job stress and so on, among correctional officers. This purpose is examined by using data collected from the correctional officer sample (n =448) from 12 prisons. To fulfill the purpose of this study, it compares the means of a set of measures reflecting perceptions of the work environment and attitude toward correctional role including social-economic variables by sex. Further, it develops a series of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es to examine if sex and other factors do really impact on the job and work environment attitudes and perceptions among the correctional officers.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ex do not play a major role in shaping officers’ perceptions of work environment.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contribu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policy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the result and discussion in this article. 이 연구는 교도소 직무환경과 업무역할에 대한 태도 등에 대한 남녀교도관들의 유사성과 차이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남성 중심적인 직무환경과 조직문화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교정조직에서 소수로 존재하고 있는 여성교도관들이 주류의 남성교도관과 유사한 인식과 적응을 보여주는 지의 문제는 미래 여성교도관의 역할과 직무 다양화의 주장을 위해 매우 중요한 근거가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연구의 목적은 교도관으로서의 직업윤리, 직무만족도, 상사와의 관계와 인식, 조직의교육혁신에 대한 태도와 인식, 그리고 교도소 폭력에 대한 허용도 등 직무환경과 조직문화에 관한 다양한 태도와 인식 등에서 성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교도관들의젠더가 교정기관의 직무환경과 업무역할에 대한 인식과 태도 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인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남성교도관들과 여성교도관들사이에 직업환경과 업무역할에 대한 차이를 거의 발견하지 못하였고, 이러한 태도에서 성별의 차이가 매우 미미하였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여성교도관들이 기존의 남성중심적 업무와 환경이라고 여겨지고 있는 교도소 직무환경에서 전문성 있는 직업인으로서의 자질을 남자교도관과 유사하게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교정행정의 중요한 담당자로서의 여성교도관의 위상에 대한확신을 가지게 되었다. 이를 토대로 여성교도관의 성공적 업무수행을 위한 전략에 대해논의하였다.
현행 가석방제도에 대한 수형자들의 인식에 관한 실증연구
윤옥경,방진희 한국교정학회 2020 矯正硏究 Vol.30 No.1
본 연구는 수형자들이 현 가석방제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가석방예비심사 대상자를 표집하여 가석방 제도의 운영과 관련된 여러 의견들을 알아보았다. 다양한 시설 내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4개 교정청 산하 14개소, 409명의 가석방예비심사 대상 수형자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가석방에 대한 수형자들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집단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데이터를 수집・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사전작업으로 가석방의 요건 및 절차에 대해 살펴보고 현행 가석방제도의 집행 현황에 대해 알아보았다. 통계분석 결과를 보면, 첫째, 가석방 대상자 대부분이 재산범죄였으며, 교도소 입소 경험은 초범인 경우가 많았다. 또한 자신의 범죄에 대해 뉘우치고 있었으며, 잔여형기는 1년 미만으로 남은 형기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초범이고 집행률이 높으며, 개전의 정이 있고, 강력범죄가 아닌 수형자인 경우 가석방이 허가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 가석방제도에 대한 수형자들의 인식이 어떻게 되는지를 분석한 결과, 가석방 허가기준이 엄격하고, 가석방 인원이 적다고 느끼고 있었으며, 가석방 시 제한되는 죄명이 많다고 생각하는 반면, 교정성적 채점 및 가석방 심사는 공정하게 진행되고 있다고 느끼고 있었다. 대부분의 수형자가 가석방을 허가받기 위해서 규율을 위반하지 않고 모범적인 수형생활을 하려고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형별 가석방 허가여부를 분석한 결과, 무기수, 단기수, 보호사범 등에 대한 가석방 허가율을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이 높은 반면, 성폭력 사범에 대한 가석방 확대는 반대하는 의견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현 가석방제도의 개선방안을 묻는 문 항에는 가석방 심사 탈락 시 이의신청 제도가 필요하며, 가석방 신청자에 대한 개별면 담이 심층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분류처우위원회에 외부전문가 참여를 활성화하고 수형자가 직접 분류처우위원회에 출석하여 말할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는 의견이 높게 나타났다. 가석방제도가 교정당국이 수용자를 관리하고 교도소 인구를 조절하는 하나의 정책으로 시행되고 있지만 수용자들이 가석방제도의 시행과정에서 느끼는 긍정적, 부정적 인식은 제도의 정당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간과할 수 없는 측면이다. 제도의 시행에 있어서 제도의 대상이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파악하고 정책집행에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In o rder to understand how p risoners p erceiv ed the current p arole system, this study collected the candidates for parole preliminary examination and examined various opinion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parole system. In order to collect opinions of prisoners from various facilities, 409 people were selected from the four regional correctional offices and 14 prisons across the country. In addition, the requirements and procedures of parole were reviewed 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parole system was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first, most of the inmates awaiting the parole decisions were the offenders of property crimes and of the first offence. In addition, Most were remorseful for their crimes and the remaining prison sentences were less than one year. In other words, there was a high probability that parole would be granted for prisoners who are first offenders, have high execution rates, are not violent criminals. Second, most of them felt that they had few chances of paroles and that they believed that many crimes were excluded at the beginning. On the contrary, many of the respondents thought the system of corrective scoring and parole screening were fairly just. Also, they tried to lead an exemplary prison life without v iolating the rules in order to be granted parole. Third, concerning to the question of how to improve the current parole system, they thought that the participation of external experts in the classification and treatment committee should be encouraged and that the inmates entitled to parole were given opportunity to speak in front of the committee. Although the parole system is implemented as a policy by the correctional authorities to control prisoners, it can not be overlooked that the positive and negative perceptions of prisoners dur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parole system affect the legitimacy of the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