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요양병원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및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윤순철(Soon-Chul Youn),권수혜(Suhye Kwon),강효정(Hyo-Jeong Ka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5

        본 연구는 요양병원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소진과 이직의도의 정도와 그 관계를 파악하며 이직의도 에의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K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에서 승인을 받았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8 월 12일부터 9월 30일까지이며, 자료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는 B광역시와 G도 소재 10 개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200명으로 구조화된 자기기입형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기술적 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요양보호사의 이직 의도는 감정노동(r=.372, p<.001), 직무스트레스(r=.471, p<.001), 소진(r=.411,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무스트레스(β=.29, p<.001), 소진(β=.24, p<.001), 취업 형태(β=.19, p<.001), 감정노동(β=.16, p=.017)으로 확인되었고, 이 변인들은 요양병원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를 총 32.6% 설 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요양병원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적절한 근무환경 개선 및 명확한 직무기술이 요구되며, 소진 및 감정노동의 경감을 위한 적극적인 심리사 회적 중재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xtent of and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labor, job stress,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turnover intention of care workers at long-term care hospitals. The study was approved by KUIRS, an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2 to September 30, 2015, and analyzed using the SPSS WIN 18.0 program.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00 care workers at ten different long-term care hospitals in B city and G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he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turnover intent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motional labor (r=.372, p<.001), job stress (r=.471, p<.001), and burnout (r=.411, p<.001). In the multiple regression, job stress (β=.290, p<.001), burnout (β=.239, p<.001), type of employment (β=.185, p<.001), and emotional labor (β=.157, p=.017) were identified as factors influencing the turnover intention. These factors explained 32.6% of the total variance in the turnover intention. Based on the results, in order to reduce the turnover intention, the improvement of work environment and clear job-descriptions are needed to reduce the job stress, and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proactive psycho-social interventions are necessary to reduce burnout and emotional labor in care workers at long-term care hospit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