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베이비부머 세대의 진로자기효능감이 은퇴준비에 미치는 영향

        윤성원(Yun, Sung-Won),김기승(Kim, Ki-Se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3 No.8

        2010년 베이비부머(baby boomer)의 맏형격인 1955년생이 정년퇴직하는 것을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베이비부 머 세대들이 현직에서 물러나고 있다. 베이비부머의 퇴직은 발달된 의학기술과 향상된 생활수준 그리고 주변 생활환 경의 개선 등으로 인하여 곧 기대수명이 길어진 노인계층으로 진입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매년 낮아지는 출산율과 맞 물려 고령 사회로의 진입 속도를 더욱 빠르게 하고 있다. 이에 베이비부머 세대들의 진로자기효능감과 관련하여 은퇴 준비를 알아보고자 첫째, 월 평균소득과 현재 직업에 따른 은퇴준비의 차이분석 둘째, 진로자기효능감이 은퇴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는 2012. 1. 17.~2. 16까지 1개월 동안 서울, 경기, 강원, 충남, 경 남, 전남, 제주도 등에 직접방문 및 우편발송으로 베이비부머 세대를 대상으로 총 5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443부 가 회수되었고 이 중 유효한 40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월 평균소득에 따른 은퇴준비는 경제적, 신체적 요인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현재 직업에 따른 은퇴준비는 경제적, 신체적, 사회적 등 모든 요인에서 유 의한 결과값이 보여졌다. 진로자기효능감이 은퇴준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경제적 요인이 가장 높은 58%의 영향력을 보이며 자기평가, 목표설정, 직업정보, 문제해결의 모든 요인에서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Beginning with retirement in 2010 of the leading group of baby boomer generation born in 1955, baby boomers are starting to retire from work in full-scale. Since retirement of baby boomers refers to increase in the senior class with longer life expectancies caused by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ies, enhancement of living standards, and improvement of surrounding environments, annually decreasing birthrate is further accelerating entry of our society into an aged society. Accordingly to examine baby boomer generation's preparation for retirement in relation to career self-efficacy, first, difference in retirement preparation according to mean monthly income and current occupation was analyzed. Second, the effect of career self-efficacy on retirement preparation was studied. The survey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one month between January 17 and February 16, 2012 in Seoul, Gyeonggi, Gangwon, Chungnam, Gyeongnam, Jeonnam, and Jeju. 500 surveys were distributed to baby boomer generations through direct visit and mail, among which 443 responses were returned. 400 effective responses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the study. As a result, preparation for retirement according to mean monthly income was verified to be significant in terms of economic and physical factors. Significant results were shown in all factors including economic, physical and social factors for retirement preparation according to current occupation. Career self-efficacy had greatest influence of 58% on retirement preparation with economic factors. It also influenced all factors including self assessment, objective setting, occupational information, and problem solving.

      • KCI등재

        덴마크 복지국가, 노동시장 모델의 발전과정과 한국에의 함의

        윤성원(Sung-won Yun)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2 한국과 국제사회 Vol.6 No.3

        본 연구는 현재 빠른 발전과정에 있는 한국 복지국가에 대한 함의를 찾고자 하는 목적에서 덴마크 모델에 대해 분석한다. 덴마크는 의료나 연금 분야보다는 경제성장과 친화성이 높은 사회투자성 복지지출 규모가 큰 ‘사회투자형 복지국가’로서 복지제도와 경제성장이 선순환을 이루는 모델을 만들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또한, 덴마크 유연 안정성 모델로 유명한 덴마크의 노동시장은 유연하면서도 적극적노동시장정책을 통해 안정성도 일정 정도 보장한다는 점에서 좋은 노동시장 모델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복지국가와 노동시장 개혁과정에서 사회적 합의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여 갈등을 최소화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복지정책과 노동시장정책 측면에서 덴마크 모델의 특징과 형성 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한국 복지국가가 나아가야 할 방향은 무엇인지에 대한 함의를 찾고자 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Danish model for the purpose of finding the implications for the Korean welfare state, which is currently in the rapid development process. Denmark is evaluated as a ‘social investment-type welfare state’ with a large scale of social investment welfare expenditure, and has created a virtuous cycle of welfare system and economic growth. In addition, Denmark's labor market, famous for its ‘flexibility’ model, is evaluated as one of the good labor market models in that it is as flexible as United States but guarantees some degree of stability through active labor market policies. In the process of reforming the welfare state and the labor market, they minimize conflicts through social consensus.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and formation process of the Danish model in terms of welfare policy and labor market policy, and tries to find implications for the Korean welfare state.

      • KCI등재

        행정이론을 통한 한국 지방의회의 조례 분석-제7기 광역의회를 중심으로-

        윤성원 ( Yun Sung-won ) 한국자치행정학회 2020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4 No.4

        본 연구는 지방의회에 관한 탐색적 연구로서, 기존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국의 지방의회가 어떠한 방식으로 입법활동을 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원국가론에 따라 지방정부가 과연 사회적 생산보다는 소비 중심의 활동을 펼치고 있는지 확인하고, 레짐 이론을 따라, 한국 지방정부 레짐의 분화에 관해 확인하였다. 그리고 단체장과 의회의 권력 구도나 당파성이 조례 제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4개의 7기 광역의회의 제정 조례를 분석한 결과, 한국의 지방의회는 손더스가 이원국가론에서 상정하고 있는 것처럼 전반적으로 ‘사회적 소비’라고 할 수 있는 사회복지 분야에 집중하고 있었다. 진보정부가 단체장과 의회를 모두 장악하고 있는 지역에서 사회복지 관련 조례의 비율이 10%가량 많았지만, 다른 지역에서도 모두 다른 분야들에 비해서 사회복지 관련 조례의 비율이 높았기 때문에 당파성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특이한 것은 정책 분야별 우선순위뿐 아니라, 조례의 내용 측면에서도 지역별로 유사한 모습을 보인다는 것이다. 한 정책 분야 내에서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조례가 존재하기는 하나 전체 비율로 보면 소수이고, 대체로 유사한 내용에 이름만 조금씩 다른 조례가 많았다. 이런 점으로 미루어 보아 아직 한국의 지방의회는 레짐 이론에서 상정하고 있는 정도로 분화하지는 못했다고 해석할 수 있다.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study on the Korean local council. Based on the existing theories, we analyzes how the local councils in Korea are doing legislative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the dual-state theory, we analyzed whether local governments are more concentrating on social consumption rather than social production. We also analyzed how the power structure and partisan power of the governor and the local council influenced the enactment of the ordinance. According to the result, Korean local councils concentrated on the social welfare sector, which is generally called 'social consumption', as Saunders suggests in dual-state theory. In the regions where the liberal government dominated both the governor and the parliament, the rate of social welfare ordinances was 10% higher than other regions. What is unusual is that they look similar in each area, not only in terms of policy priorities but also in the content of the ordinances. Although there are ordinances that reflect regional characteristics within a policy area, there is a few in terms of the overall ratio, and there are many ordinances that have similar contents. In this regard,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local council of Korea has not yet differentiated to the extent that regime theory suggests.

      • KCI등재

        청년패널 데이터를 통해 본 한국과 일본의 청년실업

        윤성원 ( Yun Sung-won )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2021 日本硏究 Vol.- No.87

        本研究では、2010年以来、相反の推移を示す韓国と日本の若者失業について分析する。韓国と日本の若者の失業推移変化の原因を分析するための前提作業で、韓国と日本の若者の失業に関する現況を両国の青年パネルデータをもとに確認することか研究の目的である。両国の若者失業決定要因と職業訓練、雇用斡旋(PES)などのの若者失業対応政策プログラムとの関係を確認したい。総合的には、韓国と日本両国で失業状態に置かれている若者の間で大きな差はなかった。若者失業決定要因も大きな差が ありませんでしたし、職業訓練サービスとの関係も、すべて、長期的には肯定的だった。若者失業対策の具体的な効果は、サービスの質の面で見ると、韓日の間に若干の違いがあった。職業訓練サービスは、仕事の満足度、正媚戠かどうかについて概ね曰 本側で'もう少し肯定的な関係があった。これらの違いが発生する原因については、今後の比較研究などを通じて検証してみる必要がある。 This study deals with youth unemployment in Korea and Japan, which show contradictory trends since 2010. As a preliminary work to analyze the causes of changes in youth unemployment trends in Korea and Jap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youth unemployment in Korea and Japan based on youth panel data from both countri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determinants of youth unemployment and effect of policy programs to respond to youth unemployment such as vocational training and PES in both countries. Overall,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young unemployed people in both Korea and Japa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terminants of youth unemployment, and the effect of vocational training services was also positive in the long term. In terms of the specific effect of vocational training services and the quality of service, there were slight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Japan. Vocational training services generally had more positive relationship on job satisfaction and full-time employment in Japan. The cause of this difference will need to be verified through comparative studies in the future.

      • KCI등재

        청년 니트(NEET) 발생의 사회 구조적 원인에 관한 연구

        윤성원 ( Yun Sung-won ),양재진 ( Yang Jae-jin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8 사회보장연구 Vol.34 No.4

        본 연구에서는 OECD 17개 국가를 대상으로, 청년 니트 비율을 높게 만드는 사회경제적인 요인들이 무엇인지 그리고 어떠한 요인들이 결합해 높은 청년니트 비율을 만들어 내는지를 퍼지셋 질적 비교분석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필요조건과 충분조건 분석을 통해 니트 비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해 본 결과, 경제성장률, 제조업 비중, 정규직 고용보호 수준,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이 필요조건과 충분조건 검정을 모두 통과하여, 높은 니트 비율을 설명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높은 청년니트를 야기하는 결합요인은 크게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는데, 고용보호수준이 높으면서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에 대한 지출이 낮을 때, 제조업의 비중이 낮고,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에 대한 지출이 낮을 때, 그리고 경제성장률이 낮으면서 고용보호 수준이 높을 때이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socioeconomic factors that cause the youth's NEET ratio of 17 OECD countries and what kind of factors combine to create high youth NEET.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NEET ratio through the analysis of requirements and sufficiency conditions showed that the economic growth rate, the proportion of manufacturing, the level of full - time employment protection, and the active labor market policy pass both the requirements and the sufficiency test,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e combination of factors that cause high NEET can be summarized in three points: when the level of employment protection is high, the expenditure on active labor market policy is low, the proportion of manufacturing is low, and the expenditure on active labor market policy is low, And the level of employment protection is high while the economic growth rate is low.

      • KCI등재

        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및 사각지대 발굴체계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윤성원(Sung-won Yun)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3 한국과 국제사회 Vol.7 No.1

        본 연구는 최근 다시금 논란이 되는 복지 사각지대 문제를 다룬다. 먼저, 현재 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어떤 제도들이 있는지 확인하고, 현 제도의 한계가 무엇인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현 제도의 한계를 바탕으로 제도적 개선점이 무엇인지를 고민해보고자 한다. 논의는 크게 세 측면에서 이루어진다. 먼저 저소득층 대상 복지제도의 핵심인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개선 방향이다. 두 번째는 복지 사각지대 발굴체계 개선에 관한 논의이다. 마지막으로, 기존 제도가 아닌 대안적 사회보장제도에 관한 논의를 짧게 소개하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앞으로 복지 사각지대 문제 개선을 위한 과정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welfare blind spot issue of South Korea. First of all, this study confirms what systems are in place to lessen the blind spot in welfare system, and what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ystem are. And based on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ystem, We would like to discuss what institutional improvements are needed. The discussion takes place in three main aspects. First,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the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Program, which is the core of the welfare system for the low-income class. The second is a discussion on improving the welfare blind spot discovery system. Finally, I would like to briefly introduce the discussion of alternative social security systems. Based on these discussions, we intend to contribute to the process of improving the welfare blind spot problem in the future.

      • KCI등재

        대학생의 통제소재가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윤성원(Yun, Sung-Won),김기승(Kim, Ki-Se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3 No.2

        글로벌경제의 경기침체 우려가 현실로 나타나면서 대졸자의 취업난이 그 어느 때보다도 심각한 상황이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취업을 해야 하는 대학생들은 고민과 갈등으로 많은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과연 대학생들이 자신의 운명을 무엇이 통제한다고 믿는지에 기인된 내적 통제소재와 외적 통제소재에 따라 취업스 트레스의 하위요인 환경적, 신체적, 심리적, 예민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는 2011. 10. 5.~10. 20까지 15일 동안 서울과 수도권 및 지방의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총 550부의 설문 지를 배포하여 480부가 회수되었고 이 중 유효한 43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취업스트레스에서 환경적인 영향이 49%로 높게 나타나는 반면 신체적 영향은 7%로 나타났다. 둘째, 취업스트레스와 통제소재의 상관분 석을 실시한 결과, 외적 통제소재는 환경과 신체, 심리, 예민 행동에서 정적인 영향을 보이고 있으며, 내적 통제소재 에서는 모두 부적인 상관을 보이고 있어 보다 다양한 진로정보가 제공되어야 하겠다. 청년실업률과 직결되는 대학생 들의 침체된 진로효능감을 높이고 취업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다양하고 적극적인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With rising concerns on downturn of global economy, college graduates are experiencing a serious unemployment crisis. In this reality, undergraduates preparing for employment face much stress from worries and conflict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belief of destiny on sub factors of employment stress such as environmental, physical, psychological and keen behaviors according to internal and external locus of control. 550 surveys were distributed to four-year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capital area and rural area for 15 days from October 5 until October 20, 2011. 480 surveys were returned, among which 430 were effective as study subjects.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environmental influence on employment stress was high at 49% while physical influence was 7%. Second, as a result of performing correlation analysis on employment stress and locus of control, external locus of control showed positive influence in environmental, physical, psychological and keen behaviors. Internal locus of control showed negative influence in all behaviors, suggesting that more diverse career information must be provided. Since increase in career efficacy and reduction of employment stress in university students are directly linked to unemployment rate of youths, diverse and active methods are deemed necessary.

      • 독일의 탈원전 정책결정과 영향

        윤성원(Sung Won Yun),류재수(Jae Soo Ryu),김연종(Yeun Jong Kim)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11

        2017년 6월 19일 고리 원전 1호기 영구정지 기념식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탈원전’ 선언을 계기로, 국내에서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탈원전으로 복귀한 독일의 사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다. 독일은 1986년 체르노빌 원전 사고 이후 탈원전에 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이루지면서 집권정부의 성향과 사회⋅경제적 요인에 따라『2000년 탈원전 선언 → 2010년 탈원전 보류 → 2011년 탈원전 복귀』의 결정 과정을 거쳤다. 이러한 정책 변화의 배경에는 간헐성의 재생에너지를 뒷받침(back-up)할 수 있는 자국의 풍부한 갈탄 매장량, 지리적으로 주변국과 연결된 전력망을 통해 전력을 상시 주고받을 수 있는 전력수급 환경, 탈원전에 대한 정부·국민·산업계의 40여년에 걸친 합의형성 등 ‘독일 자국의 실정을 반영한 정책적 판단’이 자리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직후 독일의 즉각적인 탈원전 복귀는 화석연료 사용의 증가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 재생에너지 보조금 증가 및 송전망 확대로 인한 전기요금 상승, 간헐성의 재생에너지로 인한 불안정한 전력 수급, 과잉 생산된 전력의 수출로 인한 주변국 전력계통 혼란 등의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독일의 탈원전 정책이 ‘어떤 정책결정 과정을 거쳤으며, 현실적으로 어떤 문제에 직면해 있는지’를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에너지 수급 현실을 반영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적극적노동시장정책과 청년실업

        윤성원 ( Yun¸ Sung-won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社會科學論集 Vol.51 No.2

        본 연구는 2010년 이후 한국과 일본의 청년실업 추이 변화의 원인으로서 양국의 노동시장정책의 차이에 주목한다. 한국과 일본의 노동시장정책은 정책의 주요 지출 분야, 정책 관리 주체, 전달체계, 중복 수준측면에서의 차이가 두드러졌다. 전체적으로 한국과 일본의 GDP 대비 적극적노동시장정책(ALMP)의 지출구조를 보면, GDP 대비 지출비율 자체는 일본보다 한국이 높았다. 그러나 세부적으로는 한국은 직접일자리창출 분야에 대한 지출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일본은 헬로워크와 같은 고용서비스(PES)항목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많은 선행연구와 본 연구에서 청년실업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된 고용서비스 중심으로 지출이 구성된 것이 현재 일본의 청년실업 대응 체제의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정책 관리측면에서는 후생노동성을 중심으로 일원화된 관리체계를 갖추고, 지방정부가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일본에 비해 한국은 정책 관리 주체가 중앙, 지방정부, 대학으로 나뉘어 있고 서로 간에 연계가 부족한 측면이 있었다. 반면 일본은 직접 알선은 헬로워크, 알선 전 단계는 지방정부나 서포스테가 담당하는 것으로 업무영역이 명확히 분리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유사중복 문제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중앙정부의 헬로워크와 지방정부의 잡카페에서 모두 청년 전담 창구를 운영 중인 일본보다 한국은 청년세대 전담 전달체계가 전반적으로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현재 한국의 고용서비스 전달체계는 청년세대에 대한 맞춤형 대응이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differences in the labor market policies of the two countries as the cause of the change in youth unemployment trends in Korea and Japan since 2010. The labor market policies of Korea and Japan were markedly different in terms of the major expenditure areas of the policy, the policy management, the delivery system, and the level of overlap. Overall, when looking at the spending structure of the Active Labor Market Policy (ALMP) to GDP of Korea and Japan, the ratio of spending to GDP itself was higher in Korea than in Japan. However, in detail, most of the expenditures in the field of direct job creation were accounted for in Korea, and in Japan, public employment services (PES) such as Hello Work accounted for most. It can be said that Japan's current system for responding to youth unemployment is that expenditures are organized around employment services that have been analyz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youth unemployment in many preceding studies and in this study. In terms of policy management, compared to Japan, which has a unified management system centered on the Ministry of Health, Labor and Welfare, and where local governments play a subsidiary role, in Korea, policy management bodies are divided into central, local government, and universities, and there is a side of lack of linkage between them. On the other hand, in Japan, Hello Work is in charge of direct mediation, and local governments or supporters are in charge of the pre-mediation stage.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Korea had a general lack of a dedicated delivery system for young generations than Japan, where the central government's Hello Work and the local government's job cafes both operate dedicated youth corners. Due to these problems, it seems that the current employment service delivery system in Korea is difficult to respond tailored to the young gen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