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axonomic Review of the Genus Diaphanosoma (Branchiopoda, Ctenopoda, Sididae), with a Redescription of Diaphanosoma dubium in Korea

        윤성명,김원,Yoon, Seong-Myeong,Kim, Won The Korean Society of Systematic Zoology 2000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Vol.16 No.1

        Diaphanosoma dubium Manuilova, frequently confused with the species group of D. brachyurum Lieven and misidentified as an invalid species of D. leuchtenber-gianum Fischer in the Far East, was redescribed and illustrated. Redescription was based on the materials collected from various freshwater habitats at 76 localities in South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May 1978 to June 1999. Previous records of Diaphanosoma species from Korea were examined. D. dubium is well distinguished from other related species by having large head, longer swimming antennae with a thin seta on the outer distal side of basipod, carapace lacking dorsal spine at the posterior carapace margin, and fewer denticles on the ventro-posterior carapace margin.

      • KCI등재

        Description of Daphnia obtusa Kurz(Branchiopoda, Anomopoda, Daphniidae) in Korea, with Noteson Distribution and Ecology

        윤성명,김사흥,김원,Yoon, Seong-Myeong,Kim, Sa-Heung,Kim, Won The Korean Society of Systematic Zoology 1996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Vol.12 No.4

        1980년 5월부터 1996년 5월 사이의 기간 동안에 남한의 13개 지점의 다양한 담수역에서 채집된 몽당물벼룩의 표본들을 검토하였다. 한국산 재료에 근거하여 종을 기재하고 도판을 작성하였으며, 종의 분포와 생태학적 특성에 대하여 논하였다. The speciemens of Daphnia obtusa collected from various freshwater habitats at 13 localities in South Korea during the period form May 1980 to May 1996 were examined. In this paper D. obtusa in Korea is described and figured, and discussed with distribution and ecology.

      • KCI등재

        A Taxonomic Study on Genus Moina (Branchiopoda, Cladocera, Moinidae) of Korea

        윤성명,김원,Yoon, Seong-Myeong,Kim, Won The Korean Society of Systematic Zoology 1992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Vol.8 No.1

        The specimens belonging to genus Mina collected from various freshwater habitats at 65 localties in South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July 1983 to July 1991 were examined. As a result of the present study, three species were identified and one of which was newly reported from Korea. We provided a key to four species of the genus Moina occurring in Korea and described and illustrated males and ephipoidal females poorly known in Korea as well as parthenogenetic females of the three species. 1983년 7월부터 1991년 7월까지 남한의 각종 담수역 65개 지점에서 채집된 모이나물벼룩류의 표본들을 검토한 결과 한국미기록종 1종을 포함한 3종이 동정되었다. 한국산 Moina속 물벼룩류 4종에 대한 검색표와 함께, 본 연구에서 동정된 3종에 대하여 단위생식하는 암컷 뿐만이 아니라 국내에서 잘 알려져 있지 않았던 수컷 및 휴지란 등을 기재하고 도판을 작성하였다.

      • Redescription of Triops longicaudatus(LeConte, 1846) (Notostraca, Tripidae) from Korea

        윤성명,김원,김훈수,Yoon, Seong-Myeong,Kim, Won,Kim, Hoon-Soo The Korean Society of Systematic Zoology 1992 Korean Journal of Systematic Zoology Special Issue Vol.3 No.-

        경남 창녕 및 삼천포의 논에서 채집된 투구새우류 1종, Triops longicaudatus(LeConte,1846)을 재기재한다. 이것은 국내 최초의 배갑류에 대한 기록이다. Triops longicaudatus(LeConte, 1846), a tadpole shrimp collected from ricefields at Ch'angnyong and Sarnchonp'o, Korea, is redescribed and illustrated. This is the first record of notostracan fauna in Korea.

      • 조간대 저서무척추동물 군집에 미치는 태안화력발전소 온배수의 영향

        윤성명,정석훈,백경환,김시욱,정혜광,이정섭 조선대학교 부설생명과학 연구소 1999 생명과학 연구 Vol.7 No.-

        태안화력발전소의 온배수 유출이 주변 해역 조간대의 저서무척추동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가 1998년에 수행되었다. 현지조사는 발전소 주변 조간대의 배수구 정점과 대조정점인 취수구 정점의 2곳에서 계절별로 진행되었다. 출현종수 및 출현종 구성과 생물량 분포, 다양도지수의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배수구 정점의 조간대 저서무척추 동물 군집은 대조정점의 군집과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생물량의 면에서는 배수구 정점의 군집 생물량이 대체적으로 대조정점 군집의 생물량보다 많은 결과를 보였는데, 이러한 것은 특히 겨울철 조사에서 뚜렷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조사지역 발전소의 온배수가 조간대 저서무척추동물 군집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거의 없으며, 오히려 해수온도를 높여 군집의 생물량 증가에 기여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e effects of heating overflow produced from the Taean Thermoelectric Power Plant on the intertidal invertebrate community in the adjacent sea to were studied in 1998. The invertebrate community of the station near the waterway showed no remarkable differences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station in the respect of the number of species, species composition, biomass distribution, and diversity index. Heating overflow of the power plant had a tendency to effect positively on the increase of intertidal invertebrate biomass, especially in winter seas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heating overflow of the power plant nearly does not effect negatively on the intertidal invertebrate community in the study area. On the contrary, it may effect positively on the invertebrate community in increasing the biomass by promoting the growth of organisms.

      • KCI등재

        울산만과 온산만 저서동물군집의 공간분포

        윤성명,고철환,신현출,Yoon, Seong-Myeoung,Koh, Chul-Hwan,Shin, Hyun-Chool 한국해양학회 2001 바다 Vol.6 No.3

        1997년 11월에 울산만과 온산만의 저서동물군집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가 실시되었다 저서동물군집의 평균서식밀도는 535 개체/$m^2$이었으며, 출현종수는 117종이었다. 이 중 다모류가 최우점 동물군이었으며, 출현종수는 총 63종, 서식밀도는 380 개체/$m^2$이먼다. 다모류를 비롯한 저서동물은 울산만 상단과 온산항에서 가장 서식밀도가 높았으며 , 두 만의 사이 해역에서 낮았다. 저서동물중 주요 우점종은 Cirratulrus cirratulas(22.7%), Tharyx sp.(16.6%), Ruditapes philippinarum(16.1%), Lumbrineris longifolia(10.3%) 등이다. 본 조사해역의 가장 큰 특징은 우점종들의 특정 분포 해역이 뚜렷이 차이가 난다는 것으로, 울산만에서는 Tharyx sp., R. philippinarum, Grandidierella sp.1가, 온산만에서는 L. longifolia, Euchone sp.가, 그리고 두 만에 공통적으로 C. cirratulus, Cirriforimia tentaculata 가 우점하고 있다. 집괴분석 결과, 조사해역은 크게 4개의 해역-울산만 북단, 울산만 중앙역, 울산만과 온산만 사이 외해역 , 온산만-으로 대별되었다. 울산만 북단 정점군은 저서동물의 출현종수는 적으나, 서식밀도가 가장 높은 지역으로, C. cirratulus, R. philippinarum, Tharyx sp.가 주요 우점종이다. 울산만 중앙역 정점군은 갑각류 Grandidierella sp.1가 특징적으로 출현하고 있다. 울산만과 온산만 사이 외해역은 저서동물의 서식밀도가 매우 빈약한 해역이나, 출현종수는 매우 많다. 온산만 정점군은 출현종수도 많으며, 서식밀도도 매우 높다. 대표적 종은 고. L. longifolia와 Euchone sp.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acrobenthic community in Ulsan Bay and Onsan Bay, in November of 1997. The density of benthic animals was 535 md./m2, and the number of species was 117. Polychaeta was the most dominant faunal group, comprising a total of 63 species, and its density was 380 md./m2 The most dominant benthic macrofauna was Cirratulrus cirratulas (2.7%), and followed by Tharyx sp. (16.6%), Ruditapes philippinarum (16.1%), Lumbrineris longifolia (10.3%) and so on. The dominant species occupied their distinct unique distribution area. Tharyx sp., R. philippinarum and Grandidierella sp.1 occurred mainly in Ulsan Bay, L. longifolia and Euchone sp. in Onsan Bay, and C. cirratulas and Cirriforimia tentaculata in both bays. By cluster analysis, study area was divided into 4 station groups: Northern Ulsan Bay (Al), the middle area of Ulsan Bay (Bl), offsea area between Ulsan Bay and Onsan Bay (Bll), and Onsan Bay (C). Northern Ulsan Bay was characterized by low species number and high density. The dominant species were C. cirratulas R. philippinarum and Tharyx sp. The middle area of Ulsan Bay was by low species number and density, and its characteristic species was Grandidierella sp.1. The offsea area between Ulsan and Onsan Bay was by high species number and low density. Onsan Bay was by high species number and high density, and its important species were L. longifolia and Euchone sp.

      • A Taxonomic Studv on the Recent Conchostracans of Spinicaudata (Crustacea, Branchiopoda) from Korea

        윤성명,김원,Yoon, Seong-Myeong,Kim, Won The Korean Society for Integrative Biology 1992 동물학회지 Vol.35 No.4

        The specimens of the recent conchostracans belonging to order Spinicaudata collected from freshwater habitats at 13 localities in South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May 1981 to May 1992 were examined. As a result of the present study, two species were identified: Caenestherielru gifuensis (Ishikawa, 1895), and Eurimnodio braueriona Ishikawa, 1895. The two species were described and figured in this paper. This is the first report of the recent conchostracan fauna from Korea.

      • Redescdption of Two Chydorid Species of Genus Leydigia Kurz, 1875 (Branchiopoda, Anomopoda, Chydoridae) from Korea

        윤성명,김원,Yoon, Seong-Myeong,Kim, Won The Korean Society for Integrative Biology 1993 동물학회지 Vol.36 No.3

        The freshwater cladocerans collected from the riverside of Han-gang and from the ricefields at Kojedo were identified as Leydigia leydigi (Schoedler, 1863) and L. ciliata Gauthier, 1939. These two species are redescrihed with illustrations. This is the first report of the chydorid species belonging to the genus Leydigia from Korea. 한강변과 거제도의 논에서 채집된 담수산 물벼룩류의 표본들에서 넓은배물벼룩 Leydigia leydigi과 좁쌀줄무늬넓은배물벼룩 Leydigia ciliata Gauthier, 1939의 2종이 동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2종을 재기재하였으며 도판을 작성하였다. 이것은 넓은배물벼룩속의 종들에 대한 한국 최초의 기록이다.

      • 태안화력발전소 주변 해역의 동물성 플랑크톤 군집의 특성

        윤성명,정석훈,백경환,김시욱,정혜광,이정섭 조선대학교 부설생명과학 연구소 1999 생명과학 연구 Vol.7 No.-

        온배수 유출의 영향을 받고 있는 태안화력발전소 주변 해역의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가 1998년에 수행되었다. 현지조사는 발전소 주변 해역의 8개 정점에서 계절별로 진행되었다. 요각류는 동물성플랑크톤 군집에서 출현종수나 생물량 모두에서 가장 우점적인 무리인 것으로 나타났다. 겨울철에는 발전소의 온배수가 동물성플랑효톤 군집의 생물량 증가에 긍정적인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겨울철을 제외한 다른 계절에는 내만성 지역의 정점들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생물량을 보였다. 출현종수와 다양도지수에서는 계절에 관계없이 조사정점들 사이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해수온도가 낮은 겨울철을 제외하면 온배수 유출보다는 내만성과 관련된 다른 환경 요인들이 조사 해역 동물성플랑크톤의 분포와 생물량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Ecological study on the zooplankton community in the adjacent sea to the Taean Thermoelectric Power Plant was performed over eight study stations through four seasons in 1998. Copepods was the dominant group within the zooplankton community both in the number of species and the biomass. Heating overflow of the power plant effected positively on the increase of zooplankton biomass in winter. Relatively large biomass appeared at the study stations near the bay. Zooplankton communities at eight different study stations showed no remarkable differences each other both in the number of species and/or the diversity index through the yea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zooplankton communities in the study area are more strongly affected by the environmental factor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y such as the tidal current and the geographical features rather than by the heating overflow of the power plan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