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루프형 세관 히트 파이프의 열전달특성에 관한 연구

        윤석훈,최재혁,Yoon, Suck-Hun,Choi, Jae-Hyuck 대한기계학회 2000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24 No.3

        In this paper,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a loop type capillary heat pipe wer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for the effect of several fill charge ratios of working fluid and heat loads. This type of heat pipe consists of a heating section, a cooling section and an adiabatic section. The heat pipe used has a 0.002m internal diameter, a 0.34m length in one turn and consists of 19 turns. Heating and cooling sections each have a length of 70mm.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measure the temperature distributions and the pressure variation of the heat pipe. Heat transfer performance, effective thermal conductivity, boiling heat transfer and condensation heat transfer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for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of heat pipe and it was found that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this type heat pipe were very excellent. As shown by this experimental study, this type of heat pipe operates by oscillatory flow caused by pressure and temperature oscillations.

      • KCI등재

        Minimizing the total completion time in a two-stage flexible flow shop

        윤석훈,Yoon, Suk-Hun Convergence Society for SMB 2021 융합정보논문지 Vol.11 No.8

        이 논문은 단계 1에 기계 한 대, 단계 2에 2대의 병렬 기계가 있는 유연 흐름 생산 스케줄링 문제를 다룬다. 목적 함수는 평균 완료 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이 문제를 혼합 정수 2차 문제로 정식화하여 혼합 시뮬레이티드 어닐링을 이용하여 풀었다. 혼합 시뮬레이티드 어닐링은 유전자 알고리즘의 탐색 능력을 이용하고 시뮬레이티드 어닐링을 적용하여 너무 이른 수렴 현상을 줄이는 방법이다. 실험을 통하여 혼합 시뮬레이티드 어닐링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This paper addresses a two-stage flexible flow shop scheduling problem in which there is one machine in stage 1 and two identical machines in stage 2. The objective is the minimization of the total completion time. The problem is formulated by a mixed integer quadratic programming (MIQP) and a hybrid simulated annealing (HSA) is proposed to solve the MIQP. The HSA adopts the exploration capabilities of a genetic algorithm and incorporates a simulated annealing to reduce the premature convergence. Extensive computational tests on randomly generated problems are carried out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HSA.

      • Evolution of Neogene Sedimentary Basins in the Eastern Continental Margin of Korea

        윤석훈,조성권,Yoon Suk Hoon,Chough Sung Kwun The Korean Society Of Petroleum Geology 1993 한국석유지질학회지 Vol.1 No.1

        한반도 동해 대륙주변부에서 취득한 에어건 탄성파 탐사자료에 의하면, 이 지역에는 포항-영덕분지, 묵호분지, 후포분지 등, 세 개의 주요 신제삼기 퇴적분지가 대륙붕 및 대륙사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퇴적분지에서의 탄성파층서 및 구조분석 결과, 분지의 형성과 퇴적물 충진은 주향이동신장성(transtensional) 및 차후의 압축성(contractional) 광역지구조운동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동해 후열도분지가 확장되기 시작하던 올리고세와 전기 마이오세 동안, 한반도 동해 대륙주변부에는 신장성 전단력(tensional shear stress)이 작용하여 후포단층과 양산단층을 따라 우수주향이동 단 층운동이 일어났으며, 이들 평행한 두 단층 사이의 중첩부에는 당겨열림작용(pull-apart opening)에 의해 포항-영덕 분지가 형성되었다. 한편, 한국대지(Korea Plateau)와 접한 동해 대륙주변부에서는 블럭단층운동으로 인해 융기된 고기저(basement highs) 사이에 묵호분지가 형성되었다. 그 후 중기 마이오세 말에 동해가 닫히기 시작하면서, 연구지역의 응력장은 신장성에서 압축성으로 전환되었으며, 후기 마이오세와 전기 플라이오세, 두 번에 걸쳐 지각변형이 일어나면서 분지를 충진한 퇴적층이 변형되었고, 일부지역에서는 융기가 일어났다. 특히, 전기 플라이오세 동안에는 후포단층이 사교이동양상(oblique-slip sense)을 보이면서 재활성화 되었으며, 이로 인해 반지구(half-graben)형태의 후포분지가 형성되었다. Seismic reflection profiles from the eastern continental margin of Korea delineate three major Neogene sedimentary basins perched on the shelf and slope regions: Pohang-Youngduk, Mukho and Hupo basins. The stratigraphic and structural analyses demonstrate that the formation and filling of these basins were intimately controlled by two phases of regional tectonism: transtensional and subsequent contractional deformations. In the Oligocene to Early Miocene, back-arc opening of the East Sea induced extensional shear deformation with dextral strike-slip movement along right-stepping Hupo and Yangsan faults. During the transtensional deformation, the Pohang-Youngduk Basin was formed by pull-apart opening between two strike-slip faults; in the northern part, block faulting caused to form the Mukho Basin between basement highs. As a result of the back-arc closure, the stress field was inverted into compression at the end of the Middle Miocene. Under the compressive regime, two episodes (Late Miocene and Early Pliocene) of regional deformation led to the destruction and partial uplift of the basin-filling sequences. In particular, during the second episode of compressive deformation, the Hupo fault was reactivated with an oblique-slip sense, which resulted in an opening of the Hupo Basin as a half-graben on the downthrown fault block.

      • 다중변수 순차층서 모델 개발을 통한 울릉분지 남서부 대륙주변부의 층서연구

        윤석훈,박세진,조성권,Yoon Seok Hoon,Park Se Jin,Chough Sung Kwun 한국석유지질학회 1997 한국석유지질학회지 Vol.5 No.1

        본 연구에서는 기존 Exxon group의 순차층서 모델이 갖고 있는 적용의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다중변수 순차층서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 모델에서는 2~3차수의 주기성을 갖고 변화되는 범세계적 해수면 변동, 지구조운동, 퇴적물 공급 등의 영향요소를 모두 변수로 간주하며, 이들 요소에 의해 순차층의 내부구성과 경계면 타입이 결정된다. 순차층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로 해석적 층서단위인 퇴적계 연합체(systems tract)대신, 내부 지층의 집적형태에 의해 구분되는 기술적 층서단위인 부순차층세트(parasequence set)를 채택하였으며, 부순차층세트의 타입은 상대적 해수면 변동과 퇴적물 공급속도의 변화를 반영한다. 따라서 본 순차층서 모델은, 네 가지 타입의 상대적 해수면 변동과 세 등급의 퇴적물 공급 변화 사이의 조합으로써 예상되는 단일 또는 $2{\~}4$개의 부순차층세트로 구성된 7가지 타입의 순차층을 보여준다. 다중변수 순차층서 모델을 울릉분지 남서부 대륙주변부에 적용한 결과, 순차층의 타입은 울릉분지의 형성과 닫힘에 따른 3단계의 분지주변부 지구조 운동의 변화를 잘 반영한다. 즉, 순차층을 구성하는 부순차층세트 조합의 변화와 울릉분지 지구조 운동의 타입과 속도가 시기적으로 일치 한다. 해저면의 급격한 침강을 동반한 울릉분지의 후열도 열개 동안에는 분지의 급격 한 침강으로 인해 상대적 인 해수면은 지속적으로 상승되었고, 많은 양의 퇴적물이 공급되어 1개의 부순차층세트로 구성된 순차층이 형성되었다. 이후, 압축성 변형을 동반한 울릉분지의 닫힘 동안에는, 분지 침강이 느려지고 국지적으로 융기가 일어나 하강 또는 상승우세의 상대적 해수면 변동이 야기되었고, 또한 지구조적 요인에 의해 통제되는 퇴적물 집적속도의 지역적인 차이로 인하여 변형대와 비변형대에서 상이한 순차층이 형성되었다. 분지 닫힘단계 이후에는 다시 해저면이 전반적으로 침강되면서, 상승이 우세한 상대적 해수면 변동과 보통 또는 빠른 퇴적물 집적속도가 결합하여 2-3개의 부순차층세트로 구성된 순차층을 형성하였다. This study presents multi-variable sequence model for a broader application of sequence concept proposed by Exxon group. The concept of the multi-variable model is based on the fact that internal organization and boundary type of the sequences are determined by three varying factors including 3rd-order cycles of eustasy, and tectonic movement and sediment influx with 2nd-order changes. Instead of Exxon group's systems tracts, this model adopts parasequence sets as the fundamental building blocks of the sequence, because they are descriptive stratigraphic units simply defined by internal stacking pattern, reflecting interactions of accommodation and sediment influx. Seven sequence types which vary in number and type of internal parasequence sets are formulated as associations of four types of accommodation development and three grades of sediment influx. In the southwestern margin of Ulleung Basin, the multi-variable sequence analysis of shelf-slope sequence shows systematic changes in stratal patterns and the numbs, of constituent parasequence sets (i.e. sequence type). These changes are interpreted to reflect temporal and spatial changes in type and rate of tectonic movement and sediment influx, as a result of back-arc opening and closing. During the back-arc opening, rapid subsidence, continuous rise of relative sea level, and high sediment influx gave rise to sequences dominantly of single progradational parasequence set. In the early stage of back-arc closing accompanied by local contractional deformation, different types of sequences contemporaneously formed depending on the spatial changes in tectonically-controlled accommodation and influx rates. During the subsequent slow back-arc subsidence, rise-dominated relative sea-level cycle was coupled with moderate to high sedimentation rate to have resulted in sequences consisting of $2~3$ parasequence sets.

      • KCI등재

        남자 육상 단거리 100 m 선수 기량 차이에 따른 질주 기술의 운동역학적 일관성 비교

        윤석훈 ( Suk-hoon Yoon )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16 스포츠사이언스 Vol.33 No.2

        그동안 많은 연구들이 남자 100m 경기의 경기력 향상을 위하여 수행되어 왔으나 대부분의 연구는 움직임의 일관성 같은 선수의 전체적인 경기력을 평가한 것이 아니라 일정순간의 기술차이 같은 단편적인 경기력을 비교해 왔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 100m 육상경기선수중 기술수준이 다른 두 선수집단의 질주 구간시 움직임의 일관성을 비교하여 경기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데 있다. 총 10명의 대학육상경기연맹에 등록 되어있는 K대학 육상선수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들은 경기력 수준에 따라 우수집단(전국대학 랭킹 5위 이내; 나이: 22.0±0.9 years, 신장: 178±6.0 cm, 체중: 71.4±6.9 kg)과 비우수집단(전국대학랭킹 10위 이상; 나이: 22.8±4.1 years, 신장: 180±4.3 cm, 체중: 72.2±4.2 kg)으로 나누어 실험되었다. 선수들은 질주훈련인 지면반력기가 장착된 트레드밀에서 레피티션 트레이닝 상황을 가장 근접하게 구현하였으며, 훈련 중 움직 임의 일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7대의 적외선 카메라와 1대의 지면반력기가 사용된 3차원 동작분석이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인 그룹간 움직임의 일관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 t-test가 실시되었으며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한 결과 다음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체공구간에서 그룹간 신체중심의 ROM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그룹간 왼발의 지지시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셋째, E4 순간에서 두 그룹 간 오른 발목각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넷째, P4 구간에서 두 그룹간에 왼쪽 발목각도의 ROM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다섯째, 두 그룹간에 오른 발목의 모멘트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남자 100m 경기의 경기력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So far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improve 100m runner’s performance. Most of studies, however, have focused on fragmentary factors at a given moment(i.e., skill difference) rather than athletes’ overall performance(i.e., consistency of movem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movement consistency between two different skilled level groups during 100m running. Total of 10 college level athlet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SG: skilled group; LSG(less-skilled group) according to their skilled level. SG consists of 5 athletes who ranked in the top five position at the nationalwide college level(age: 22.0±0.9 years, height: 178±6.0 cm, weight: 71.4±6.9 kg) and LSG consists of 5 athletes who ranked out of ten position at the national wide college level(age: 22.8±4.1 years, height: 180±4.3 cm, weight: 72.2±4.2 kg). Each subject was asked to performed repetition training and a 3-D motion analysis with 7 infrared cameras (200 Hz; MCU-240, Qualisys Inc., Sweden) and instrumented dual belt treadmills (2000Hz; Bertec Corporation, USA) were performed. Eight running strides were captured and analyzed during the movement and each stride was divided into 5 events in this stu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significant ROM of COM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groups in the swing phase(p<.05). Second, significant left foot support time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groups(p<.05). Third, significant right ankle angle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groups in E4 (p<.05). Fourth, significant left ankle ROM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groups in P4(p<.05). Fifth, significant right ankle resultant joint moments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groups (p<.05).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100-m sprint training in men.

      • 탄화수소류로부터 카본블랙에 의한 수소생산

        윤석훈(Yoon, Suk-Hoon),한기보(Han, Gi-Bo),박노국(Lee, Jong-Dae),이종대(Park, No-Kuk),류시옥(Ryu, Si-Ok),이태진(Lee, Tae-Jin),윤기준(Yoon, Ki-June)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5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5 No.11

        수소는 자원이 무한하고 청결한 에너지이다. 수소는 무공해 청정 대체연료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풍부한 자원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수소에너지는 물을 분해하여 얻거나 화석연료를 수증기개질 또는 부분산화 시킴으로써 얻을 수가 있다. 수소에너지는 1차 에너지를 변환시켜 얻을 수 있는 2차 에너지로서 환경에 대한 부하가 거의 없어 향후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가장 가능성이 높은 에너지이며, 연료전지의 상용화를 앞두고 있어 중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수소를 생산하는 방법 중 가장 이상적인 방법으로는 물분해함으로써 수소를 제조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물분해에 의한 수소생산은 제조비용이 비싸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점과 수소의 대량생산에 필요한 기술확보가 여의치 않아 어렵다. 그러므로 수소를 저 비용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수소 제조 기술의 확보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수소제조방법은 거의 석유나 천연가스의 수증기 개질에 의한 수소 제조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유해 환경 물질인 CO나 CO₂를 배출하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키 위한 수소 제조공정의 대안 중 하나는 탄화수소연료의 수소와 탄소로의 직접분해에 의한 수소생산이다. 이 중 원하는 생성물인 수소 외에 부산물이 카본이 동시에 얻을 수 있는 메탄분해에 의한 수소생산방법은 생산된 수소의 약 15%만 연소시킴으로서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으며, 동시에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CO 또는 CO₂가 생성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메탄을 분해하기 위해서는 매우 높은 에너지가 필요로 하게 된다. 이에 반해 프로판은 메탄보다 낮은 열원에서 분해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메탄보다 분해하기 쉬운 프로판을 직접 분해하여 수소를 생산하고자 하였다. 프로판 직접분해반응는 500sim750?C의 온도 범위에서 이루어 졌으며, 촉매로서는 국내에서 생산되는 상용촉매인 카본블랙을 이용하였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부탄의 직접분해로부터 수소 생산을 위한 카본블랙의 촉매적 작용

        윤석훈(Yoon, Suk-Hoon),한기보(Han, Gi-Bo),박노국(Park, No-Kuk),류시옥(Ryu, Si-Ok),윤기준(Yoon, Ki-June),한귀영(Han, Gui-Young),이태진(Lee, Tae-Jin)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6 신재생에너지 Vol.2 No.4

        The butane decomposition over the catalyst is an attractive method for the hydrogen production. The objective of the work was investigated the catalysis of carbon black in butane decomposition reaction. The Butane decomposition was performed over carbon black catalyst in a range of 500-1100?C. The butane conversion of thermal decomposition and catalytic decomposition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reaction temperature The butane conversion of the thermal decomposition was higher than the butane conversion of the catalytic decomposition. Hydrogen and methane were mostly observed in the butane decomposition over 1000?C. Especially, the hydrogen yield was steadily increased with raising the reaction temperature, It could be known that the hydrogen yield of the catalytic decomposition was higher than one of the thermal cracking because the hydrogen productivity was improved by the catalyst. The deactivation of the catalyst was not observed in the reactivity test. The surface and crystalline of the fresh and used catalysts were characterized by TEM, BET surface area and XRD analysis, respectively. The fresh carbon black particles had mostly smoothly round-shaped surfaces. In the surface of the carbon black after the reaction, the deposited carbon was formed as the protrusion-shaped carbon and the cone-shaped. The proper peaks of carbon black appeared in XRD analysi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