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폐경 전후 여성에서 상완-발목 맥파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비교

        정찬경 ( Chan Kyung Chung ),윤보현 ( Bo Hyon Yun ),서석교 ( Seok Kyo Seo ),임경진 ( Kyung Jin Lim ),전영은 ( Young Eun Jeon ),양효인 ( Hyo In Yang ),이경은 ( Kyung Eun Lee ),조시현 ( Si Hyun Cho ),최영식 ( Young Sik Choi ),이병석 대한폐경학회 2010 대한폐경학회지 Vol.16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45∼56세 사이의 폐경 전후 여성을 대상으로 상완-발목 맥파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폐경과 동맥 경직도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2008년 1월부터 2009년 6월까지 강남세브란스병원 건강증진센터에 내원하여 건강검진을 받은 여성중 45세 이상이고 56세 미만이면서 상완-발목 맥파속도를 측정한 수검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의무기록을 바탕으로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폐경 전후 여성에서 상완-발목 맥파속도와 다른 변수들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귀 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으며, 폐경이 상완-발목 맥파속도의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단순회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에서 폐경 전 여성의 경우 이완기 혈압 (β=0.402, P=0.009)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으며, 폐경 여성의 경우 이완기 혈압 (β=0.329, P=0.021)과 호중구-림프구 비 (β=0.210, P=0.016)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이완기 혈압 (OR=1.112; 95% CI 1.034∼1.197), 공복혈당 (OR= 1.034; 95% CI 1.000∼1.069), 폐경 (OR=2.666; 95% CI 1.025∼6.937)이 증가된 상완-발목 맥파속도 (baPWV >1,300 cm/s)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결론: 폐경 전후 여성에서 상완-발목 맥파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르며, 특히 폐경 여성의 경우 염증반응이 상완-발목 맥파속도와 뚜렷한 연관성이 있었다. 또한 폐경이 상완-발목 맥파속도를 증가시키는 독립적인 인자였으며, 이는 폐경 이행기의 호르몬 변화가 상완-발목 맥파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factors which influence the brachial-ankle pulse wave velocity (baPWV) in pre- and post-menopausal women. We also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of menopause with arterial stiffness measured by baPWV.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review of 241 postmenopausal women who attended the health promotion center for a routine checkup.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parameters influencing baPWV in pre- and postmenopausal wome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independent parameters related to increased of arterial stiffness. Resul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diastolic blood pressure (DBP; β=0.402, P=0.009) was identified as an independent determinant for baPWV in premenopausal women, and DBP (β=0.329, P=0.021) and the neutrophil-to-lymphocyte ratio (NLR; β=0.210, P=0.016) were identified as independent determinants for baPWV in postmenopausal women. The odds ratio (95% CI) of menopause for a high baPWV was 2.666 (1.025∼6.937). Conclusion: The NLR is associated with arterial stiffness in postmenopausal women. Consequently, inflammation is thought to play a crucial role in increased arterial stiffness in postmenopausal women. Menopause is associated with a high baPWV, suggesting that changes in the concentrations of sex hormones during the menopausal transition may influence arterial stiffness in clinically healthy women.

      • KCI등재후보

        자궁절제술을 시행 받고 16년이 지난 폐경 여성에서 발견된 자궁내막증 1예

        이백 ( Paek Lee ),박정화 ( Jung Hwa Park ),윤보현 ( Bo Hyon Yun ),임경진 ( Kyung Jin Lim ),전영은 ( Young Eun Jeon ),서석교 ( Seok Kyo Seo ),조시현 ( Si Hyun Cho ),최영식 ( Young Sik Choi ),이병석 ( Byung Seok Lee ) 대한폐경학회 2011 대한폐경학회지 Vol.17 No.1

        자궁내막증은 자궁 이외의 부위에 자궁내막의 선 (gland)과 기질 (stroma) 조직이 존재하는 상태로 월경통, 만성 골반통 및 불임 등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가임기 여성의 5∼10%에서 발생하는 비교적 흔한 질환으로 주로 젊은 여성에서 발생하며, 병리기전이 명확히 규명되지는 않았지만 월경혈의 역류현상으로 복강 내에 도달한 자궁내막세포에 면역학적, 생물학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폐경 여성에서 자궁내막증이 진단되는 경우는 드물지만, 폐경 후에도 약 2∼5%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호르몬 치료와 연관되어 발생한다. 하지만 호르몬 치료를 받지 않았던 폐경 여성들에게서도 자궁내막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자궁내막증이 매우 복합적이고 복잡한 형태의 발병기전을 가진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저자들은 자궁근종으로 자궁절제술을 시행 받은 후 16년이 지난 폐경 여성의 좌측 난소에 발생한 자궁내막증을 복강경을 통해 제거하고 조직학적으로 확인한 1예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Endometriosis, which is the presence of endometrial glands and stroma in extrauterine locations, is a benign gynecologic disease that may cause dysmenorrhea, chronic pelvic pain and infertility. Endometriosis is a relatively common disease that is estimated to occur in 6∼10% of reproductive-aged women. Various theories have been proposed regarding the pathogenesis of endometriosis, but a definitive theory remains obscure. Diagnosis of endometriosis in postmenopausal women is rare, but it has been reported in 2∼5% of postmenopausal women receiving hormone therapy. However, endometriosis can also occur in postmenopausal women not receiving hormone therapy, altogether indicating the complex pathogenesis of endometriosis. We report left ovarian endometriosis in a postmenopausal woman who had a hysterectomy a uterine myoma 16 years ago and review the relevant literature. (J Korean Soc Menopause 2011;17:47-5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