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홍화씨 추출물이 조골모유사세포활성 및 골재생에 미치는 영향

        윤동환,신형식 원광대학교 치의학연구소 1999 圓光齒醫學 Vol.9 No.1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ell proliferation an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in osteoblastic cells and to compare the bone healing ability of rat calvarial defects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safflower seed extract treated group. Osteoblastic cells were obtained from calvariae of a fetal rat. Cells were cultured containing DMEM and safflower seed extract (10^-6g/㎖, 10^-3g/㎖) at 37℃ with 5% CO_2 in 100% humidity for 3 days. MTT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viability of the cells, an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was analyzed to examine the mineralization in vitro. Rat calvarial defects (5×5㎜) in 250g Sprague-Dawly were made using round bur. Rats were administrated with safflower seed extract (0.35g/㎏/day) for experimental periods. Calvarial defects were studied histopathologically and immunohistochemically at 1, 4, and 8 weeks. High concentration group (10^-3g/㎖) of safflower seed extract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cell proliferation and alkaline phosphatase synthesis in osteoblastic cells. The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and osteoclastic activities were decreased in the safflower seed extract treated group a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Bone maturation was accelerated in the safflower seed extract treated group as compared to control group. No difference in osteoinductive process was observed between the control and the safflower seed extract treated group. Immunohistochemical observation revealed that protein expression of TGF-β and osteonectin during early healing phase in the safflower seed extract treated group was slightly increased as compared to control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afflower seed extract promotes the healing process in bony defect of rat calvariae, and retains a potential applicability as an adjuvant therapeutic modality for regeneration of periodontal bony defect.

      • KCI등재

        감로도에 나타난 수륙재의 장엄 설단과 구성

        윤동환 남도민속학회 2015 남도민속연구 Vol.30 No.-

        The early days of the Joseon Dynasty, rituals table of the Suryukjae installed centre around the Yukbeopgongyang. At this time the number of bowls drawn on the table were always eight. Also, The Jimul symbolizing ancestral tablet of spirit set up backyard of table. This clearly show without distinction to the Mujugohon(無主孤魂, a forlorn wandering spirit that has no posterity to perform the memorial service) that the Gongyangmul installed on the table at the Suryukjae. The 17th century the Gamnodo follow form the previous period, but it was been changed with the times. The number of the Jimul differ each the Gamnodo, apparently that is ritual for the Mujugohon. At the end of 17th century they built pillar beside of ritual table for decoration of upper space and suspend the Bosangae(寶傘蓋, Umbrella-shaped ceremonial utensils). In the early years of the 18th century, It focused a bowl, a rice cake and biscuit decorated with flower, the Jimul belted with color band, a fruit, a flower vase, a candlestick, a censer. In the middle-end of the 18th century and the early 19th century, the ritual table be omitted or simplified the Gongyangmul. At this time, It was focused the Agwi(餓鬼) that need to save than the Buddhist ceremony. In the middle-end of the 19th century, the ritual decoration and the form of the ritual table gradually start to standardization. And It start to appeared the Jeonpae that wish live a long life of the royal family. The ritual table of the Suryukjae had been become bigger and more public performance. 이 논문은 수륙재(水陸齋)의 장엄(莊嚴) 설단(設壇)에 대해 주목한 글이다. 문헌자료에는 장엄과 설단에 대한 구체적 내용이 남아있지 않아 상황을 파악하기 쉽지 않다. 이 글에서는 수륙재와 밀접한 감로도(甘露圖)를 통해 그 안에 그려진 재단(齋壇)의 형태와 장엄구(莊嚴具)의 양식, 공양물(供養物) 등을 시대별로 살펴보았다. 조선전기 수륙재 장엄 설단은 육법공양(六法供養)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이 시기 재단에 그려진 분(盆)의 개수는 여덟 개로 정형화되어 있다. 또한 영가(靈駕)의 신위(神位)를 상징하는 지물(紙物)을 재단 뒤쪽에 설치하여 수륙재에서 재단에 진설된 공양물이 무주고혼(無主孤魂)에게 차별 없이 평등한 시식(施食)을 위한 것임을 분명히 했다. 특히 재단에 진설된 과일이나 채소는 동일한 계절에 수확할 수 없는 것으로 이상화된 공양물이다. 지역에 따라 공양물을 그 지방의 물산으로 대체하였고, 감로도의 꽃 역시 계절에 영항을 받는 생화(生花)보다는, 계절의 구애 없이 상상을 구현할 수 있는 지화(紙花) 또는 채화(綵華)로 대체하였다. 17세기 감로도는 이전 시기 감로도의 양식을 따르고 있으나 시대에 따른 변화를 보였다. 지물의 개수는 감로도마다 차이가 있으나 무주고혼을 위한 의례임을 분명히 하였다. 17세기 후반에는 재단 위쪽 공간을 장식하기 위해 재단의 양옆에 기둥을 세우고 보산개(寶傘蓋)를 거는 양식이 본격적으로 나타났다. 이후 18세기 초에는 공양물인 분, 꽃으로 장식한 병과(餠菓), 채지(綵紙)를 두른 지물, 과일, 화병, 촛대, 향로 등이 강조되다가, 18세기 중후기와 19세기 초기에는 재단이 완전히 생략되거나 공양물이 간소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 시기 감로도에서는 실재 거행하는 의례보다는 구원이 필요한 아귀(餓鬼)가 더욱 강조되었다. 19세기 중반부터는 재단의 양 옆에 기둥을 세우고 윗 공간을 화려하게 장식하였다. 이 시기부터 장엄용 의식구와 설단의 형태는 점차 정형화하였다. 수륙재의 재단에 왕실의 수명장수를 기원하는 전패(殿牌)가 재단에 등장하였고, 재단이 점차 대형화되었다. 재단 위의 공양물 중에 지화는 전 시대를 거쳐 끊임없이 진설되었지만, 시대에 따라 지화를 화분에 장식하는 방법에서 차이가 있다. 19세기까지 자연스러운 꽃꽂이나 팽이난등이 주를 이루었다면, 20세기 이후 부채난등이 나타나기 시작한 것이다. 통도사 광무4년 감로도(1900)에서 재단 오른쪽의 화분이나 청련사 원통암 감로도(1916)에서 재단의 꽃을 주시하면 이전과는 다른 기법인 부채난등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작화 방식의 변화는 육법공양의 하나로 꽃을 신에게 바친다는 의미가 퇴색하였음을 의미한다. 즉 신에게 바치는 공양물이 아닌 재단의 장식물로 변화한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수륙재가 의례적 성격의 범위를 넘어서 보다 대중적으로 공연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동해안 화랭이 송동숙의 삶과 예술

        윤동환 한국무속학회 2018 한국무속학 Vol.0 No.36

        Song Dong-suk's fleet settled in Uljin, and later became a shaman. Through the succession of the paternal succession, they passed the joblessness, and the grandparents' reputation was abundant. After that, he kept a livelihood as a shaman or wanderer, but it was not the case that the shaman was passed directly to Song Dong-suk. Song Dong-suk was a chance to choose between farming and good-for-profit as she went to her mother. At the age of 17, Song Dong - sook, the Japanese colonial rule, was taken out of the airfield, and went to Hokkaido. After returning home, they learned gut music, married and packed up their families, but they were dragged into the army during the Korean War.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situation of the times through the personal life such as the absence of father and grandmother, mother's ashes, personal family history, compulsory military rule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and experience of the Korean War. Song Dong-suk's Gut Music Learning can be seen as self-selection rather than inheritance from parents. Although he was in a kinship relationship, he learned Song Soon-taek, who has a great talent, and changed the law to his own. Song Dong-suk completed the technique of playing, and it is more complicated and gorgeous, and it has reached an outstanding level. I hope that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context of the age and to understand his life and the art world through the life history or microhistory of the shaman who did not notice it. 송동숙의 선대는 울진에 정착하였고, 이후 무업에 종사하였다. 부계 계승을 통해 무업을 전승하였고, 조부모 대에서는 명성이 자자했다. 이후 부모 대에는 무업 또는 유랑예인으로 생계를 유지했으나, 송동숙에게 직접 무업이 전승된 상황은 아니었다. 송동숙은 재가한 어머니에게 가면서 농사와 굿일 중에 선택하는 계기가 되었다. 일제강점기 송동숙은 17세의 나이에 비행장을 닦는 보급대로 차출되었고, 북해도로 강제징용을 갔다. 광복 후 귀국해서는 무악을 학습하고 결혼도 하여 가정을 꾸렸으나, 한국전쟁 시기에는 군에 갔다. 부친과 조모의 부재, 어머니의 재가 등 개인가정사와 일제강점기 강제징용과 한국전쟁의 경험 등 개인의 삶을 통하여 시대적 상황을 이해할 수 있다. 송동숙의 무학습은 부모로부터 계승보다는 자기 선택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비록 친족관계에 있지만, 무기예가 뛰어난 송순택에게 학습하고 타법 역시 자신에 맞게 변화시켰다. 특히 타악기를 연주할 때 꽹과리를 치는 손과 장구 열채를 치는 손이 겹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송동숙의 경우 오른손으로 꽹과리를 치고, 오른손으로 장구 궁채를 쥔다. 이러한 연주법을 구사하기가 쉽지 않고, 적지 않은 노력이 필요하다. 송동숙은 이를 완성하여 장구 궁편의 연주기법이 더욱 복잡하고 화려하여 탁월한 경지에 이른 것이다. 송동숙의 일생사를 통해 무당의 혼인·이주도 무권역의 확대와 밀접함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의 혼인은 모두 서로 다른 무계와의 결별 또는 결합과 관련 있고, 여러 곳으로 거처를 옮긴 이유는 새로운 단골을 개척하고 자신의 활동반경을 넓히기 위한 수단이었음을 알 수 있다. 주목하지 않았던 무당의 일생사 또는 미시사를 통해 시대의 맥락을 이해하고, 그의 삶과 예술세계를 이해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 SCIESCOPUSKCI등재

        홍화씨 추출물이 조골모유사세포활성 및 골재생에 미치는 영향

        윤동환,이승철,김명은,김은철,유형근,김윤철,신형식,Yoon, Dong-Hwan,Lee, Seoung-Cheul,Kim, Myung-Eun,Kim, Eun-Cheol,You, Hyung-Keun,Kim, Youn-Chul,Shin, Hyung-Shik 대한치주과학회 1998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28 No.4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ell proliferation an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in osteoblastic cells and to compare the bone healing ability of rat calvarial defects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safflower seed extract treated group. Osteoblastic cells were obtained from calvariae of a fetal rat. Cells were cultured containing DMEM and safflower seed extract ($10^{-6}g/ml$, $10^{-3}g/ml$) at $37^{\circ}$ with 5% $CO_2$ in 100% humidity for 3 days. MTT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viability of the cells, an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was analyzed to examine the mineralization in vitro. Rat calvarial defects($5{\times}5mm$) in 250g Sprague-Dawly were made using round bur. Rats were administrated with safflower seed extract(0.35g/kg/day) for experimental periods. Calvarial defects were studied histopathologically and immunohistochemically at 1,4, and 8 weeks. High concentration group($10^{-3}g/ml$) of safflower seed extract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cell proliferation and alkaline phos phatase synthesis in osteoblastic cells. The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and osteoclastic activities were decreased in the safflower seed extract treated group a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Bone maturation was accelerated in the safflower seed extract treated group as compared to control group. No difference in osteoinductive process was observed between the control and the safflower seed extract treated group. Immunohistochemical observation revealed that protein expression of TGF-$\beta$and osteonectin during early healing phase in the safflower seed extract treated group was slightly increased as compared to control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afflower seed extract promotes the healing process in bony defect of rat calvariae, and retains a potential applicability as an adjuvant therapeutic modality for regeneration of periodontal bony defect.

      • KCI등재
      • 신중신탈놀이 대본

        윤동환 무형유산학회 2020 무형유산학 Vol.5 No.2

        Sinjungsin Mask Play is a biography of Seongjusin (성주신). In other words, the story of the gods in folk beliefs Seongjusin met while going to Guiyang was recomposed into a masquerade. Seongjusin goes on the road and gets lost at the three-way intersection and meets Guksiseonghwang(국시성황). Seongjusin, through the question and answer with Guksiseonghwang, learns the identity and function of the national success, and the reason he suffered. Seongjusin went on the road, followed by Seonghwangsin(성황신), Madangjanggun(마당장군), Umulsin(우물신), Tongsijanggun(통시장군), Eopsin (업신), Samsin(삼신), Sansin(산신), Malmyeongsin(말명신), Gunungsin(군웅신). The gods of the folklore are the content that Seongjusin asks to teach when he gets the truth. Seongjusin gets sick on the way, and meets Hwarinseonsaeng (A doctor who saves people). At this time, it is converted from a masquerade to a puppet show, and the waiter and the patient come to chat with me, give a prescription to the patient, and then finish.

      • KCI등재후보

        근현대 생활문화유산 기록화 -군포 문화유산 조사와 기록을 중심으로-

        윤동환,신희라 무형유산학회 2022 무형유산학 Vol.7 No.2

        생활문화는 일상생활과 밀접하여 대중은 문화유산적 가치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생활문화유산은 인간이 역사 속에서 만들어온 물질적, 정신적 산물로써 개인이 간직한 생활유물 속에 담긴 추억과 이야기는 모두 생활문화유산이 된다. 2000년대 들어서면서 각각의 지자체에서는 상대적으로 소홀히 취급되었던 근현대 생활문화의 현황과 실태를 파악하고 체계적으로 보존 활용하기 위한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이는 지역 공동체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필수 과제이다. 이 글에서는 군포시를 대상으로 한 근현대 생활문화의 수집과 기록 방법에 주목하였다. 생활문화유산을 조사하고 기록하기 위하여는 자료부터 수집해야 한다. 근현대 문화유산으로서 가치 있는 유물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인터뷰를 진행하고 조사자료를 토대로 문화유산목록을 작성하였다. 생활문화유산의 수집과 기록을 위한 방법으로 시공간적 수집 범위를 정하고 생활문화유산을 파악한 이후에는 자료를 목록화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다시 ‘기초자료목록’과 ‘상세자료목록’으로 구분하였다. 군포와 관련된 근현대 생활문화사 이야기는 군포시 역사문화의 전승과정 및 변화양상을 살필 수 있는 기억 자료로서 의미가 있으므로 구술사 기록도 함께 진행하였다. 군포 조사에서 주목한 것은 조사한 내용을 어떠한 방법으로 기록할 것인가 고민하였다. 조사 기록을 위한 방법으로 앱(application)을 활용했다. ‘실시간문화자원 수집플랫폼(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Archives Application, 이하 TCROSA)’은 조사자료를 온라인에 탑재하고 목록화하는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이다. 이 글에서는 티시로사(TCROSA) 앱의 운영 프로세스와 자료수집방법, 활용 방법을 제시하였다. 티시로사는 조사한 내용을 기록하기에 용이하도록 개발했다. 군포시 생활문화유산 조사에서는 전문가뿐만 아니라 제보자, 일반 시민들도 문화자원을 티시로사에 탑재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티시로사는 소수의 전문가가 대표적인 제보자를 중심으로 문화자원을 목록화할 뿐만 아니라 시민 스스로가 조사자와 기록자가 되어 문화자원을 기록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시민 스스로가 자료를 탑재함으로써 문화유산을 인식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집단지성을 구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군포 문화유산 조사의 성과가 문화자원 플랫폼 활용을 통하여 목록을 정리한 것이라면, 앞으로의 과제는 문화자원 플랫폼을 시민들에게 어떻게 인식시키고 참여하게 할 것인가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문화자원 플랫폼에 대한 홍보와 함께 시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을 함께 모색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