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TEACOOH)-Montmorillonite 층간화합물의 형성 및 층 내에서의 고분자화 반응

        윤도우,조성준,Yun, Do-U,Jo, Seong-Jun 배재대학교 공학연구소 2005 공학논문집 Vol.7 No.1

        Na-Montmorillonite와 10-Carboxy-n-decyltriethylammonium bromide (유기 양이온) 사이의 양이온 교환반응에 의해 얻어진 [TEACOOH]-Montmorillonite 층간화합물을 유기 단분자인 $\varepsilon$-caprolactone을 반응시켜 [TEACOOH]-$\varepsilon$-caprolactone-Montmorillonite 층간화합물을 형성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TEACOOH]-$\varepsilon$-caprolactone-Montmorillonite 층간화합물을 $220^{\circ}C$의 온도 하에서 48시간 동안 가열하여 고분자화시켜 무기물질인 몬모릴로나이트와 유기 고분자인 폴리카프로락톤이 화학적으로 결합된 몬모릴로나이트/폴리카프로락톤 나노복합재료를 제조하였다. 고분자화반응을 수행한 후 얻어진 시료를 메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한 뒤 고진공 하에 $65^{\circ}C$로 24 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에 얻은 층간거리 값으로는 34.24 $\AA$이 얻어졌다. [TEACOOH]-Montmorillonite intercalations complex obtained from Na-Montmorillonite and 10-Carboxy-n-decyldimethylethylammonium bromide(organic cation) was reacted with the monomer($\varepsilon$-caprolactone) to achieve the [TEACOOH]-$\varepsilon$-caprolactone-Montmorillonite intercalations complex. From intercalations complex Montmorillonite/Polycaprolactone Nanocomposite in which montmorillonite(inorganic material) is chemically linked with the polycaprolactone(organic polymer) was formed at $220^{\circ}C$ for 48 h. The basal spacing for the sample obtained after polymerization, extraction with methanol and dried at $65^{\circ}C$ in high vacuum for 24 h was 50.7 $\AA$.

      • [TEACOOH]-Montmorillonite 층간화합물의 형성 및 층 내에서의 고분자화 반응

        윤도우,조성준 배재대학교 공학연구소 2005 공학논문집 Vol.7 No.1

        Na-Montmorillonite와 10-Carboxy-n-decyltriethylammonium bromide (유기 양이온) 사이의 양이온 교환반응에 의해 얻어진 [TEACOOH]-Montmorillonite 층간화합물을 유기 단분자인 ε-caprolactone을 반응시켜 [TEACOOH]-ε-caprolactone-Montmorillonite 층간화합물을 형성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TEACOOH]-ε-caprolactone-Montmorillonite 층간화합물을 220oC의 온도 하에서 48시간 동안 가열하여 고분자화시켜 무기물질인 몬모릴로나이트와 유기 고분자인 폴리카프로락톤이 화학적으로 결합된 몬모릴로나이트/폴리카프로락톤 나노복합재료를 제조하였다. 고분자화반응을 수행한 후 얻어진 시료를 메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한 뒤 고진공 하에 65oC로 24 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에 얻은 층간거리 값으로는 34.24 Å이 얻어졌다. [TEACOOH]-Montmorillonite intercalations complex obtained from Na-Montmorillonite and 10-Carboxy-n-decyldimethylethylammonium bromide(organic cation) was reacted with the monomer(ε-caprolactone) to achieve the [TEACOOH]-ε-caprolactone-Montmorillonite intercalations complex. From this intercalations complex Montmorillonite/Polycaprolactone Nanocomposite in which montmorillonite(inorganic material) is chemically linked with the polycaprolactone(organic polymer) was formed at 220oC for 48 h. The basal spacing for the sample obtained after polymerization, extraction with methanol and dried at 65oC in high vacuum for 24 h was 50.7 Å.

      • KCI등재

        자연산 규질 이암을 이용한 Na-A형 제올라이트 수열합성

        배인국,장영남,채수천,윤도우,조성준,이성기,류경원 한국자원공학회 2007 한국자원공학회지 Vol.44 No.1

        Na-A type zeolite was synthesized by a low temperature hydrothermal method without any heat treatment process, adding sodium aluminate and sodium silicate from siliceous mudstone, which is a tertiary periodic sedimentary rock and widely spreads around the Pohang area. In the hydrothermal synthesis only in a NaAlO2 solution, it was found difficult to make zeolite. However, Na-A type zeolite was successfully obtained from siliceous mudstone by adding NaAlO2 and NaO·3SiO2 solution because of easy dissolution of siliceous mudstone. The optimal synthetic conditions was Na2O/SiO2 ratio = 0.6, SiO2/Al2O3 2.0, H2O/Na2O 98.6 and reaction time 14-18 hr at 80℃. Besides Na-A type zeolite, the synthetic phase present was quartz as an impurity. The Na-A type zeolite has a crystallized form of homogeneous cubo-dodecahedron or cubic shape with the diameter of 2-3㎛. Its cation exchange capacity was determined to be around 180-200 cmol/kg accounting for about 72-80% of 250 cmol/kg for typical zeolite detergent. 포항부근에 널리 분포하는 제3기 퇴적암인 규질이암 (siliceous mudstone)은 알루민산 소다 및 규산 소다를 첨가하여 열처리 과정이 없이 Na-A형 제올라이트를 저온 수열법에 의해 합성되었다. 규질이암에 알루민산 소다 용액만을 첨가한 수열반응에서는 단일상의 Na-A형 제올라이트를 합성하기가 곤란한 조건이었다. 그러나 알루민산 소다와 규산 소다 모두를 첨가한 경우, 규질이암의 용해를 촉진하여 Na-A형 제올라이트를 쉽게 얻을 수 있었다. 합성 최적 조성은 Na2O/SiO2 = 0.6, SiO2/Al2O3 = 2.0, H2O/Na2O = 98.6이었고, 반응시간은 80 ℃에서 14~18 시간이었다. 합성상은 Na-A형 제올라이트 이외에 모두 석영이 불순물로 공존하였다. 합성된 Na-A형 제올라이트는 2-3 μm 정도의 균질한 cubo-dodecahedron형 혹은 입방형의 결정형태이었고, 양이온 교환능이 약 180-200 cmol/kg 범위로 250 cmol/kg의 상용 제올라이트와 비교하여 약 72-80% 로 비교적 우수한 품질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