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상치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한 TDOA와 FDOA 기반 이동 신호원 위치 추정 기법

        유호근,이재훈,Yoo, Hogeun,Lee, Jaehoon 중소기업융합학회 2020 융합정보논문지 Vol.10 No.9

        This paper presents the outlier detection algorithm in the estimation method of a source location and velocity based on two-step weighted least-squares method using time difference of arrival(TDOA) and frequency difference of arrival(FDOA) data. Since the accuracy of the estimated location and velocity of a moving source can be reduced by the outliers of TDOA and FDOA data, it is important to detect and remove the outliers. In this paper, the method to find the minimum inlier data and the method to determine whether TDOA and FDOA data are included in inliers or outliers are presented. The results of numerical simulations show that the accuracy of the estimated location and velocity is improved by removing the outliers of TDOA and FDOA data. 본 논문은 다수의 전자전 센서에서 추출된 시간지연 차이정보와 도플러주파수 차이정보를 이용하는 Two-step weighted least-squares 기반의 이동 신호원 위치 및 속도 추정 기법에서, 수집 정보의 이상치를 검출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고자 한다. 다수의 전자전 센서에서 추출되는 정보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정보에 이상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효과적으로 검출하고 데이터 융합과정에서 이상치를 배제하여 이동 신호원의 위치와 속도 추정의 정확도를 높이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상치를 제외한 최소의 정상치 정보 집합을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나머지 정보의 이상치 여부를 확률적으로 판단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모의실험을 통해, 정보의 이상치가 효과적으로 제거되어 위치 및 속도 추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정상치 거리정보 잡음이 20dB 이하인 경우, 이상치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Cramér-Rao lower bound에 근접한 위치 및 속도 추정 정확도를 얻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동북아 질서의 전환 가능성

        유호근(Yoo Ho-keun) 21세기정치학회 2013 21세기 정치학회보 Vol.23 No.2

        There has been a change of international order in Northeast Asia. It has been caused by the fact that an unpredicted crisis has been amplified since the emergence of the Kim Jung-eun regime. In particular, the 3rd nuclear test committed by North Korea regarded as one of the nuclear haves has an effect on the dynamic situations of political change in Northeast Asia derived from the North Korean variables. Based on this critical mind, this study explores the nature of the nuclear power influencing an international political order in Northeast Asia and analyzes the implications of the 3rd nuclear test initiated by North Korea. This study also looks over the nature of change in the state of affairs of the region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This paper focuses on the possibility of transformation in the security environment initiated by USA and China regarded as independent variables in the international political affairs in Northeast Asia. Lastly, this thesis looks for South Korean government's enthusiastic reactions on this issue.

      • KCI등재

        한국의 아프리카 외교 패러다임의 변환

        유호근(Ho Keun Yoo),설규상(Gyoosang Seol)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15 OUGHTOPIA Vol.30 No.2

        아프리카 지역은 오랫동안 세계체제의 주변부에 머물면서 저평가되어 왔다. 그러나 21세기 진입 이후 정치·경제적 역동성을 바탕으로 이 지역이 새로운 관심의 대상으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풍부한 부존자원과 함께 이 지역의 성장 잠재력이 제고됨에 따라 중국, 일본 등 이웃 국가들은 일찌감치 아프리카의 가치에 주목하고 정상교류, 개발원조, 협력포럼 등 소프트파워 자산을 활용하여 이 지역 국가들과의 관계 강화에 주력해왔다. 그런데 한국의 아프리카에 대한 관심과 정책적 고려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에 머물러 왔다. 이런 점에서 아프리카가 한국에게 부여하는 의미를 찾아보는 작업은 중요할 뿐만 아니라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한국과 아프리카 국가들과의 관계 수준은 어떠하고, 그 관계 및 방향성은 어떠해야 하는가? 본 연구는 이러한 기본적인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하여 한국 외교의 내포와 외연이라는 관점에서 대 아프리카 외교 현황을 검토하고, 이로부터 향후 외교 패러다임의 방향성 및 과제를 논한다. 특히 이 질문을 다루는데 있어 본 연구는 소프트파워의 논리적 설명이 제시하고 있는 공감과 매력을 통한 목표 성취가 체화된 한국적 ODA를 중심으로 한 정책적 함의를 탐색하고자 한다. African region has been undervalued for a long time while it remained as the periphery in world system. But This region is emerging as a new object of attention with its political and economic dynamism after entering the 21st century. Especially, as the growth potential of this region has been raised with its affluent natural resources, the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China and Japan have early strived for consolidating their relations with countries in this region with assets of soft power such as leaders exchanges, development aids and cooperation forums while noticing the worthiness of the region On the contrary, the concern and policy-related considerations for Africa in Korea has remained at a lower level. In this regard, the work to find the implication Africa provide to Korea is not only meaningful but also necessary. How is the degree of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African countries? And how should their relationship and direction be? Starting from the basic recognition like this, this paper examines the development of diplomacy towards Africa from the point of the implication and connotation of Korean foreign policy in advance. And the paper goes on to argue the future direction of diplomatic paradigm and the challenges to it. Especially while addressing those questions, this paper tries to explore the policy implications revolving around the Korean ODA where achieving the goal through empathy and attraction is embodied which the logical explanation about soft power presents.

      • KCI등재

        한반도 주변 국제지형의 현상변경 가능성: 북한의 4차, 5차 핵실험과 미ㆍ중 변수를 중심으로

        유호근 ( Yoo Ho Keun ) 한국세계지역학회 2016 世界地域硏究論叢 Vol.34 No.3

        한반도를 둘러싼 정세변화의 유동성이 증대되어 기존의 질서가 근본적인 변환의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한국의 입장에서는 국제 환경의 변화에 따른 적응과 발전을 위한 새로운 활로의 방향성이 안개 속에 놓여 있다. 특히 2016년 연이어 감행된 북한의 4차, 5차 핵실험과 미국과 중국의 관계 변화가 동북아 세력질서의 현상유지를 변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공유하면서 우선, 한반도 정세의 동태성이라는 차원에서 최근의 북한 핵 문제에 따른 한반도 주변 정세의 불안정성에 대하여 살펴본다. 둘째는, 동북아 정세 변화의 중요한 변수로서 미중관계의 갈등적 변환 가능성의 중요한 요소들을 짚어본다. 또한 동북아 정치지형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나타나고 있는 질서 변화의 양태에 대하여 살펴본다. 마지막으로는 기존의 관성적 역학관계에서 탈피하면서 가변성이 증대되고 있는 동북아 지역정세 변환의 과정속에서 한국의 전략적 입장과 함의를 탐색해본다. As the variability of political situation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is increasing, a possibility of fundamental transformation in existing political order in the region is also growing. Korea`s new direction to adjust to these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 is not clear, yet. In particular, the fourth and the fifth nuclear test in North Korea plays as a factor changing the status quo of Northeast Asia. In addition, structural changes in the US-China relations may have impacts on the status quo in Northeast Asia. In this context, this study looks at the relative instability of the situation around the Korean Peninsula due to the recent North Korean nuclear issue. Second, I would discuss US-China relations as an important variable which makes impacts on the Northeast Asia conflict structure. Finally, I look at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moving away from the existing relations of inertia, and try to explore the implication of the transformation to Korea and South Korea’s strategy to cope with it.

      • KCI등재

        일반논문 : 냉전기 스포츠 외교의 역사적 전개과정 -한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유호근 ( Ho Keun Yoo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정치연구소 2009 글로벌정치연구 Vol.2 No.2

        스포츠를 통한 국제적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스포츠 영역은 각 국가들의 실질적 혹은 상징적 각축장으로 변모하게 되었다. 또한 ‘올림픽 보이코트’ 혹은 ‘핑퐁외교’의 사례는 스포츠가 외교의 또 다른 수단임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본 연구는 구체적으로 한국의 경우를 상정하여 냉전기 스포츠외교의 역사적인 추이를 성찰하였다. 한국 스포츠 외교의 전개과정을 정부수립이후 이승만 정부에서부터 전두환 정부에 이르기까지 그 특징적 양태를 추출하기로 한다. 또한 분석대상이 되는 시기별로 스포츠외교의 외적인 틀로서 환경적 요인을 구성하고 있는 국내외 정세를 개관하고 스포츠외교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한국 스포츠외교의 과정에 대한 체계적인 정리는 향후 전개될 한국형 스포츠 외교의 중요한 토대를 구축하는 것이고, 또한 다른 스포츠외교의 반면교사로서 새로운 변화와 발전의 좌표를 수렴하여 재정립될 스포츠외교에 있어서도 중요한 함의를 담고 있을 것이다. As competition among countries through sports became severe, the sports arena was changed into a symbolic arena of competition among nations. Such cases as “Olympic boycott” and “Ping-pong diplomacy” clearly revealed the truth that sports are another means of diplomacy.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sports diplomacy during the Cold War, focusing on Korea. This article will cover the time period from the Lee, Seungman government to the Jeon, Duwhan government and find the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sports diplomacy. This article document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sports diplomacy, with a view to the development of both internal and international situations, which are the environmental factors for sports diplomacy. This systematic study about the development of Korean sports diplomacy is not only set to lay a serious foundation for future studies on Korean sports diplomacy, but also to contribute to revising sports diplomacy that will reflect new changes and developments that will overcome earlier forms of Korean sports diplomacy.

      • KCI등재

        스포츠와 정치 그리고 국가: 한국을 중심으로

        유호근(Yoo, Ho-Keun)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09 동서연구 Vol.21 No.2

        스포츠는 언제 어디서나 행해지고 있으며, 그에 열광하는 사람들도 시ㆍ 공간을 불문하고 항상 접할 수 있다. 오늘날 스포츠는 국가의 안과 밖을 넘나드는 정치ㆍ사회 현상으로 부각되었다. 이에 따라 스포츠와 정치는 밀접한 상관관계를 맺고 있다. 스포츠와 정치의 만남이 어디에서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는가? 이것이 본 연구의 기본적인 문제의식이다. 문제의 한 측면은 정치의 틀이 스포츠의 성격과 의미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느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스포츠와 정치사회를 다룬 기존의 논의들을 개괄적으로 살펴본다. 특히, 스포츠에 대한 국가의 역할에 주목한다. 또 다른 측면은 그 영향에 따라 스포츠에 대한 정책적 맥락이 어떤 식으로 현실화되었는가 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국가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적 현실 속에서 파악하려고 하였다. 스포츠에 대한 정치적 관심과 더불어서 정책적 틀의 정립이 이루어지기 시작한 1960년대의 박정희 정부시기 에서부터 1990년대 말까지의 노태우 정부시기에 이르기까지를 분석대상으로 하여 스포츠와 정치의 만남의 양상을 국가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시기별로 고찰하였다. 결론적으로 한국에서 스포츠에 대한 국가개입의 특징적 양태를 도출한다. Sports prevails everywhere. It is said that people are easy to be enthusiastic over sports and to get acquainted with them regardless of time and space. Today sports have been regarded as an important political and social phenomenon which is closely related wi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issues. In particular, sports have become one of important political means in real politics. If so, how are they connected with each other? How far does politics affect the character and meaning of sports. Under what contexts, policies associated with sports have been mad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swer these questions. To achieve this goal, the author will sum up previous discussions which have dealt with the issues on relations between sports and political societies. The author will also examine the role of the state on the development of sports. In particular, by focusing on Korean contexts, this study explores the pictures of the encounters between sports and politics from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of early 1960s to the Rho Tae-woo Administration of 1990s. From this inquiry, the author will draw the distinctive aspects of state intervention toward sports in Korea.

      • KCI등재

        비전통안보 이슈로서 식량안보

        유호근(Ho Keun Yoo)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14 OUGHTOPIA Vol.29 No.2

        탈냉전 이후 안보문제의 중점은, 자국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국가 중심적 사고에 기반 한 전통적 군사부문과 관련된 쟁점으로부터 자연재해, 에너지, 식량문제 등 다양한 비전통적인 이슈들로 전이되면서 다양한 쟁점들이 안보담론을 구성하고 있다. 새로운 안보담론 중에서도 주목 받는 영역이 바로 식량 문제이다. 식량문제는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욕구이며, 생존권과 직결되는 이슈이다. 이 문제는 적절히 다루어지지 않는다면 국제관계의 새로운 갈등 및 분쟁으로 전화될 가능성이 매우 크며, 향후 개인, 사회, 국가 그리고 국제 사회의 심각한 불안정성을 야기할 수 있다. 세계안보지형의 또 다른 변화의 요인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비전통안보 차원에서의 식량이슈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식량안보 문제에 천착한다. 식량안보의 제 측면을 공급, 수요, 배분의 측면에서 살펴보면서 국제적, 국가적 차원에서 분석한다. 또한 식량안보에 대한 정책적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주요 국가들의 식량안보 대책 등을 검토한다. 즉, 고위정치의 영역과 저위정치의 영역이 중층적으로 작용하는 식량안보문제의 복합성을 인식하면서 한국의 식량안보 이슈에 초점을 맞추어 그 과제와 정책적 함의를 살펴본다. The concept of security has undergone significant change in the past cold war decades. Traditionally thought in terms of the state-centric, militarily focused, realist discourse, the concept of security has been broadened to include a greater number of potential threats and issues. This study analyzes the concept of nontraditional security. It has gained increasing importance as the post-cold war international community has begun to recognize that the promotion of security requires not only the maintaining of territorial and military security but also safeguarding of individuals or groups from all threats including unconventional, non-military risks. Particularly, Food security out of these nontraditional security issues has become one of the defining global problems to be hammered out at local, regional and international levels. The food issue is a serious one which is associated with basic needs of human beings and is directly connected to their rights for living. Without being properly addressed, this issue is very likely led into new conflict and dispute between nations. In addition, it can henceforth cause a serious societal, domestic and even international instability. to say nothing of a personal instability. This issue now turns up as another factor which prompts change of the international security landscape. Thus, in this paper, I inquire into the issue of food security in a context of complicity with Korea, which is unfolding in a dimension of non-traditional security. With regard to this question, I analyze the issue of food security at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level, with scrutinizing it in terms of demand, supply and distribution. I also examine the measures for food security which major countries take on a policy level. In other words, with recognizing overlapped attribute that the problem of the food security hangs between the realm of high politics and that of low politics, I suggest the task and policy implication with the focus of Korea’s food security.

      • KCI등재

        미,중의 상호인식과 동북아 질서 변환: 현상과 전망

        유호근 ( Ho Keun Yoo ) 한국세계지역학회 2015 世界地域硏究論叢 Vol.33 No.3

        작금의 동북아시아 지역의 국제체제는 구조적 변동이 촉발되고 있다. 말하자면 기존의 구조가 붕괴되고 새로운 행위자가 구조변화의 촉매적 역할을 하게 되면서 역내 안보구조의 불안정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중국의 군사현대화, 북핵문제, 일본의 집단자위권 확장 움직임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다. 이 때문에 동북아 지역 정세의 불확실성은 그 어느 때보다 증대되고 있다. 동북아 국제질서는 다른 지역보다 훨씬 복합적이고 다층적 구조 속에서 변화의 양상이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미국 오바마 행정부가 대외정책의 초점을 아시아·태평양 지역으로 전환하면서 미국과 중국 간의 역내 질서 재편과정을 둘러싼중층적 상호작용이 진행되고 있고 역내 질서 전환 과정의 중요한 축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정치·경제·안보 등의 차원에서 협력과 경쟁이라는 이중적 특성을 노정하고 있는 미·중관계가 복합적이고 다층적인 세력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동북아 정세와 어떻게 연계되어 있으며, 특히 지역 패권경쟁 가능성 차원에서 미국 오바마 행정부와 중국 시진핑체제의 군사·안보전략이 지역 과정에 어떤 식으로 투영되고 있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우선, 21세기 들어 새로운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는 미중관계의 역사적맥락을 추적한다. 둘째, 양국의 상호인식의 저변과 인식의 실제에 관하여 분석한다. 셋째, 이를 바탕으로 전개되고 있는 양국의 정책 투사와 정책 지향성을 탐색한다. 결국 역내 과도적변환의 가능성을 내재하면서 조성되고 있는 미·중의 구조적 세력구도에 관하여 분석 및 전망하고 그 정치적 함의를 살펴본다. The current situation in the region has been affected by several factors such as China``s military modernization,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Japan``s collective self-defense as the expansion moves. Because of the uncertainty of the situation in the region it has been increasing more than ever. In addition, the Northeast Asian international order is being deployed in a multi-layered structure in much more complex, than in other regions . Among these , while switching the focus of the Obama administration``s foreign policy in the Asia- Pacific region, the United States and around the middle interaction between regional orderly reorganization process is underway in China and has been an important axis of regional order in the conversion process. This study analyzes the political, economic and security that the US-China relationship, which exposed the dual nature of cooperation and competition in the context of such a complexity, form a multi-layer power relationships in Northeast Asia and how are linked. In particular the military and security strategy of the Obama administration and the US regional hegemony, China Xi Jinping Leadership from potential competition dimension aims to analyze whether the project is in some way to the local course. First To do this, the 21st century will trace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US-China relationship is being developed as a new aspect. Second, with respect to the actual analysis of the underlying and the recognition of mutual recognition of the two countries. Third, deploy them, and explores the policy based on the projection and policy orientation of the two countries. Finally analysis and prospect about the structural composition of US-China forces, as it implied the possibility of transient transformation.

      • KCI등재

        동북아 국제정치지형과 한반도 : 20세기 영일동맹과 21세기 미일동맹을 중심으로

        유호근(Ho-Keun Yoo)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06 동서연구 Vol.18 No.2

        본고는 20세기 영일동맹 축의 동북아 국제정치 지형과 21세기 미일동맹 중심의 정치지형을 분석하고 그 유사성과 차별성에 주목한다. 이것이 한반도 안보와 동북아 지역질서에서 지니는 정치적 함의 및 정책적 시사점을 탐구한다. 영일동맹이 러시아의 위협에 대처하기 위한 유효한 수단으로 선택 되었다면, 현재의 강화된 미일동맹은 부상하는 중국을 염두에 둔 전략적 선택의 결과물로 읽혀진다. 차이점은 21세기 미일동맹의 전환이 한국을 배제하고 전략적 선택의 희생물로 삼았던 20세기 영일동맹의 재현은 아닐 것이다. 따라서 한국의 배제를 막기 위 해서는 한국이 전략적으로 한미동맹을 양국간 긴밀한 협력이 원활하게 작동되는 관계로 심화시켜야 한다. 그러나 한편으로 한국이 과거 러시아 대상의 영일동맹처럼 전적 으로 중국 대상의 미일동맹의 일방적 틀에 편승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장기적으로는 다자주의의 틀에서 중국의 협력적 참여를 배제하지 않아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ses the security environment in Northeast Asia between the 20th century Anglo-Japanese Alliance and the 21st century U.S.-Japan Alliance. This study focuses on the similaritie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wo historical ev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nglo-Japanese Alliance is an effective means to respond to the Russian threat. The U.S.-Japan Alliance currently much more reinforced is a strategic step to cope with the advent of China as a great power in this region. Second, there was an exclusion of Korea from their alliances. It is also showed that the U.S.-Japan Alliance does not reconstruct the event of the Anglo-Japanese Alliance with respect to Korea. Third, to avoid an exclusion of Korea from their alliance, the ROK-U.S. Alliance should be gradually transformed into a more deepening mechanism. In the mean time, Korea could not be jumping on a bandwagon of the U.S.-Japan Alliance which is one-sided framework confronting China. Moreover, for the long term a 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framework including China is needed to peacefully resolve the current problem on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

        보훈외교의 정치 경제

        유호근(Yoo, Ho-Keun) 한국정치정보학회 2015 정치정보연구 Vol.18 No.1

        웨스팔리아 체제가 지배하는 과거의 국제관계가 명령적 능력에 기반을 둔 하드 파워적 국가의 힘을 중심으로 한 패러다임에 기초했다면, 오늘날 탈근대의 국제사회는 개방된 상호 공감 과정을 통한 설득과 이미지 교환, 그리고 매력에 근거한 영향력을 바탕으로 하는 소프트 파워를 중시하는 새로운 관점으로 이행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현상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제 국가 간의 관계도 소프트 파워와 연계된 소위 공공외교의 함의가 현실적 중요성을 갖게 되고 있다. 보훈 외교는 이러한 공공외교의 속성을 다양한 차원에서 함축하고 있다. 특히 한국전쟁에 참가한 국가들과 참전용사들은 우리의 보훈정책 수행의 중요한 외연을 이루고 있다. 이들과의 외교적 유대와 네트워크의 형성은 보훈을 통한 공공외교 수행의 중요한 기반일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본고에서는 우선 국력의 속성이 변화되고 소프트 파워가 강조되면서 부각된 공공외교의 의미를 탐색한다. 또한 한국전쟁이라는 한국적 경험이 체화되면서 소프트 파워의 중요한 원천으로 기능할 수 있는 보훈외교의 제 측면을 공공외교의 차원에서 살펴본다. 새로운 외교 영역의 확장과 실천으로서 보훈외교의 정치 경제적 맥락과 의미를 살펴본다. 나아가서 한국 보훈외교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해본다. The dominant paradigm of international relations in the past was founded on hard power in terms of commanding capability. Today international community of post modern era have been shifted to a new perspective based on the image exchange, mutual empathy which can have an open process through persuasion and attraction. This change is a phenomenon. Thus, the significance of soft power is emphasized. That is the reason to hav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major implications for so-called public diplomacy. Veterans diplomacy implied public diplomacy at different levels of the property. In particular, countries and War veterans which was attended to Korean War have achieved important extension of policy implementation. These diplomatic ties with them and the formation of the Veterans Affairs will be an important basis of the implementation of public diplomacy. This thesis with a sense this problem explores the meaning of the public diplomacy which surfaced, while the property of the national power have changed and soft power will be highlighted. We try to see the various aspects of the Veterans diplomacy that can function as an important source of soft power in the level of public diplomacy. This article is to examine a Veterans diplomacy as foreign expansion and the practice of the new diplomatic zone. This paper shall analyze the implications of such a political economic context of Veterans diplomacy. Finally, This paper shall try to shape the policy implications for Veterans diplom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