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에너지·환경분야 연구자의 셀프리더십이 자기효능감, 직무만족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유현희(Hyeon-Heui Yu),현병환(Byung-Hwan Hyu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10

        본 연구는 에너지 · 환경 분야 연구자의 셀프리더십이 자기효능감,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연구가설들을 수립하고 실증분석을 추진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한 자료는 약 3주 동안 회수된 200건의 설문지 중 에너지, 환경 분야 연구자 165명의 설문결과를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신뢰도, 빈도, 기술통계,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Sobel-test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자의 셀프리더십은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 직무성과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연구자의 자기효능감은 직무만족과 직무성과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은 셀프리더십, 자기효능감과 직무성과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연구자의 직무성과 제고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셀프리더십과 자기효능감 제고를 위한 소속기관의 인적자원관리 제도 마련과 교육 활성화가 필요하다. 또한 연구자가 직무에 대한 즐거움, 만족감, 신뢰 등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적절한 보상체계 마련이 필요하다. 특히 자기효능감은 직무성과에 대해 매우 중요한 영향 인자이므로 연구자의 자기효능감 강화를 위한 기관 차원의 전략마련이 요구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research hypotheses and conduct empirical analysi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self-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of researchers in the energy and environment fields. Data were extracted from questionnaires returned by 165 researchers in the field of energy environment among 200 questionnaires collected for approximately three weeks. The reliability,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test were examined using the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The self-leadership of the researcher has a positive (+) effect on self-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and the researcher"s self-efficacy has a positive (+) influence on both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In addition, the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job performance. Therefore, to improve the job performance of the researchers,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 system for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the affiliated institutions and revitalize the education for the self-leadership and self-efficacy improvemen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 appropriate compensation system to satisfy the researchers" enjoyment, satisfaction and trust in their jobs. In particular, because self-efficacy is a very important factor for job performance, it is important to prepare an institutional strategy for strengthening the self-efficacy of resear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