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Viral Potential: 바이럴 효과성을 구성하는 요인에 대한 탐색적 고찰

        유현재 한국PR학회 2016 한국PR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1

        본 연구는 최근 일선 기업들에 제출하는 광고PR 기획서에서 대부분의 대행사가 품목과 사안에 관계없이 빈번하게 포함하는 바이럴 (Viral) 캠페인에 대한 탐색적 고찰이다. 바이럴 캠페인은 특히 SNS가 다수 기업의 주요 마케팅 수단으로 빠르게 자리 잡으면서 급격하게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영역이며, 기존 ATL로 표현되는 전통적 미디어들에 비해 비용 부담이 적고 기획자 혹은 클라이언트들의 의도가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반영될 수 있는 여지가 높다는 장점 등에 의해 유행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비용의 장점이란, 동시에 성공 여부의 불확실성도 담보하고 있다는 의미로서 실패의 위험성도 높은 장르인 것이 사실이라 하겠다. 실제로 바이럴 캠페인의 주요 아울렛인 유튜브와 페이스북 등을 통해 론칭되는 많은 캠페인이 일정 기간 유저들에게 호응을 이끌어내지 못하고 빠르게 사라지는 사례도 다수인 것으로 관찰된다. 하지만 반대로 투입한 비용 대비 실로 막대한 효과성을 확보함으로써 성공적 캠페인으로 등극하는 경우도 많다는 것도 주지의 사실이다. 유튜브 등을 통한 바이럴 캠페인으로 기획되어 높은 화제성을 확보한 다음, 각 언론을 통하여 확대 재생산됨으로써 결국 공중파 광고로 역제작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고 있을 정도이다. 따라서 대행사를 선택하는 기업들 입장에서는 성공 가능성이 높아 보이는, 즉 효과에 대한 가능성이 다분하다고 판단되는 바이럴 캠페인을 기획해서 제안하는 주체를 선호할 수 밖에 없는 환경이 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은 바이럴 캠페인이 중심이 되는 IMC가 유행하는 환경을 양산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금번 진행하는 연구는 이 같은 시장 환경, 즉 대다수의 클라이언트가 성공적인 바이럴 캠페인을 희망하고 실행하지만 결과는 상이하게 펼쳐지고 있는 비즈니스 상황에서 과연 바이럴 캠페인을 ‘바이럴’하게 만드는 변수들은 무엇인지 파악하는 탐색적 시도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실제 특정한 바이럴 캠페인을 기획하고 실행하는데 관여한 광고주 혹은 대행사에서 해당 업무를 경험한 바 있는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에 참여한 대상자들의 경험을 공유함으로써, 공통적으로 제기되는 바이럴 캠페인의 구체적 성공 요소들을 도출하고자 하는 노력인 것이다. 이 같은 탐색적 시도는 일부 선행 연구에서 활용된 바 있는 델파이 기법 (Delphi technique)을 차용한다고 볼 수 있으며, 실제로 관련 경험이 있는 전문가들의 견해를 근거로 최근 주요한 마케팅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는 바이럴 캠페인의 성공 요인, 즉 효과성을 예측할 수 있는 변수들을 파악해보는 기회를 가질 예정이다. 그 동안 소위 클릭수, 화제성, 전파성 등 일반적인 기준으로 판단하여 성공적인 캠페인으로 분류되는 일부 사례를 분석하는 케이스 스터디 과정을 거칠 것이며, 이후 전문가 섭외, 전문가 인터뷰를 위한 프로토콜 마련, 그리고 실제 인터뷰를 진행함으로써 해당 분야에 실무적, 학술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노력할 것이다.

      • KCI등재

        네이버(www.naver.com) 지식iN 건강/의료상담 서비스에 있어서 질문자와 답변 의사가 행하는 커뮤니케이션 유형에 대한 연구

        유현재,서영지,지홍래,Hyunjae Yu,Young Ji Seo,Hong Rae Ji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2014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Vol.11 No.-

        의사와의 면대면 커뮤니케이션을 제외하고, 대중들이 의료 및 건강과 관련한 정보들을 습득하는 경로는 최근 그 어느 때보다 다양해지고 있다. 텔레비전을 중심으로 의료와 건강에 관한 프로그램들이 다수 방영되어 큰 관심을 끌고 있으며, 그 외에도 국내 약 5,000여 개의 건강정보 웹사이트들이 운영됨으로써 대중들의 건강에 대한 각종 정보욕구에 대응하고 있는 중이다. 이 같은 추세와 더불어, 포털사이트인 네이버(www.naver.com) 가 2008년 9월 시작하여 운영 중인 지식iN 건강/의료상담 서비스가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이미 질문에 답하는 의료/건강 전 문가의 숫자가 1,700명을 넘었으며, 높은 조회수와 함께 제공되는 정보들 또한 구체적이고 환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본 탐사적 연구는 현재 한국의 헬스커 뮤니케이션 분야에서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네이버 지식iN 건강/의료상담 서비스에 있어서 사용자들이 특정한 정보에 대해 질문할 때 활용하는 커뮤니케이션 스타일과 일선 의사들이 대답에 활용하는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질적 분석기법을 활용해 비교, 분석해 보았다. 연구 결과, 환자들의 질문은 증상이나 질환의 구체적인 묘사보다는 감정만 전달하려는 경우가 많았으며, 내원 후 진단받은 검사결과의 재해석을 요구하는 사례도 다수 볼 수 있었다. 사용자들의 연령은 30세 미만이 80퍼센트를 차지할 만큼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의사들의 대답에 있어서는, 인터넷 상의 상담에 대한 한계를 언급하며 병원 치료를 반드시 권유하고 있었으며, 위협소구를 자주 사용하기도 하였다. 여전히 전문적 용어의 사용이 빈번함이 관찰되었고, 환자들에게 민간요법을 지양할 것을 권면하는 내용도 자주 볼 수 있었다. 이외에 환자의 질문 방식에 대해 의사가, 의사의 답변 방식에 있어서 환자가 희망하는 사항들도 다수 발견되었다. We have seen such a diversity in terms of the ways for people to search and get information about health besides inter-personal communication between doctors and patients. Not only the increase of TV programs dealing with health issues, there are also about 5,000 health-related websites which satisfy the people’s needs to know about health. Along with this trend, a popular portal site ‘www.naver.com’ have been running knowledge iN Health/Medical service which have been incredibly popular. The number of medical/public health professionals has been approaching about 1,700, and the information has been updated daily basis in order to provide more practical information people want to get. This exploratory study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vestigated the content seen in the service for a specific period of time and the styles used to communicate between the professionals and patients. As results, there have been many efforts by patients to provide some emotional pain, and to try to show the results from medical clinics to other professionals online. About 80% of the users were found less than 30 in the ages. We have seen many professional lingos from the professionals’ answers.

      • KCI등재

        상평통보의 주전이익과 활용

        유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7 한국문화 Vol.79 No.-

        This paper investigates how the Chosŏn government generated profits through the minting process and how they used this seigniorage during the latter part of the Chosŏn dynasty. The Chronicles and Hwang Yun-seok’s diary are used to come to this conclusion. Based on my research, the government tried to mint continuously from the 18th to 19th centuries. However, they could not meet the total demand due to the deficiency of raw materials which were mostly imported from Japan. In these circumstances, the government utilized the Three Armies Offices(三軍門) to reduce manufacturing cost for the Sangpyeong tongbo because they already had furnaces and well-trained technicians. They also adopted recoinage methods to amplify their profits. By employing these methods, the government enabled to provide “additional submissions”(‘Gaib’) to the Hojo ministry. During the 18THcentury, around five various offices provided monetary help that was enough to solve theHojo’s annual budget deficiency. However, at the turn of the 19th century, more than 10 offices took part in supplying additional aid to the Hojo ministry. It meant that the Hojo’s financial situation was getting worse and worse. In these circumstances, the government struggled to figure out how to alleviate the financial crisis, therefore they used the minting process for their political problems. Throughout twenty years, offices responsible for currency minting provided 20% of the total monetary contributions to the Hojo at irregular periods. The Sangpyeong tongbo’s role is to provide a medium of exchange for the people, generate profits for the government, and alleviate the financial problems of various government bodies, such as the Hoj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