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공공시설물의 적정입지 선정에 관한 연구

        유창호,이왕무,박성현,신승식 한국지적정보학회 2017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19 No.3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proper location selection of public facilities. Among the various public facilities, there are a large number of users and a constantly growing number of public libraries. Currently, variou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However, research on the selection of the location of public libraries is being carried out from the perspective of most provid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ocation of public librarie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which requires additional construction of public libraries. The most important difference is the fact that library users have used it as an analysis index by analyzing the appropriate location analysis index derived from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of the study,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 public library need a total of 8 areas, suggesting the appropriate location derived from the user 's point of view for each required area. 본 연구는 공공시설물의 적정입지 선정에 관한 연구로 다양한 공공시설물 중에서 이용자수가 많으며, 지속적으로늘어나고 있는 공공도서관을 그 연구대상으로 하고 있다. 현재 이와 관련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나, 대부분공급자 중심의 관점에서 공공도서관 입지 선정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추가 건립을 계획하고 있는 광주광역시를 대상으로 이용자 관점에서 공공도서관 적정입지 도출을 위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1차 평가 지표를 도출하였고, 도출된 공공도서관 적정 입지 분석 지표를 도서관 이용자 인식조사를 통한 검증을 받아 이용자 관점의 공간분석을 수행하였다는 점은 타 연구와 차별성이 있다고 판단한다. 연구 결과8개의 공공도서관 추가 건립계획을 가진 광주광역시의 8개의 공공도서관 건립 적정지역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1920년대 어느 식민지 지식인의 서해도서 ‘巡禮’

        유창호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한국학연구 Vol.0 No.36

        Dong-A Daily News (東亞日報) published a 73 part ambitious serial, “A Pilgrimage to the Islands,” from June 22nd to September 12th, 1928. Seven journalists were sent to the islands on the West, South, and East Sea, where they studied legends, investigated historical remains, and examined the living conditions of residents. It was a cultural movement by bourgeois-nationalists in 1920s, too, who tried to include islands, which had been considered as the territorial boundaries, among the national space, and to encourage national solidarity. Clearly, this serial was different from the serials published by government-run press or the accounts of a journey written in 1910s, for example, the travelogue of Choi Nam-Sun (崔南善):The former advertised the results of colonialization and modernization, while the latter sublimated a trip across the country into a religious ritual. “Pilgrimage” was used to catch a glimpse of lives of people who overcame contradictions of the times, natural disaster, and the hardship of life, as well as to diffuse knowledge of the national territory and the historical remains. Paradoxically, in the “imagination” of the cultural elites, they were the model of the nation lost long time ago. The author reviews the situation in islands on the West Sea in 1920s, focusing on “Baengnyeongdo Area (白翎島 方面)” by Kim Dong-Jin, the 6th article of “A Pilgrimage to the islands.” He grew up in Russia, while he was a man of national consciousness just like the other journalists, as a result of the education and experience in Koreatown, Yunhaeju (沿海州). He felt a strong sense of fraternity by the warm welcome of residents, and wept with an old soldier’s patriotism. In Daecheong Island (大靑島), he praised Kim Hak-Sun (金學善) that he established “an idealistic autonomous town,” who tried to isolate the island from outer world and to maintain the tradition. Also, according to his detailed information on the folk religion, until 1920s at least, lots of residents believed in Im Gyeong-Eop (林慶業) in Yeonpyeong Island, Emperor Shun of Wen (元順帝) in Daecheong Island, and Big Bamboo Tube (王竹筒) in Baekryeong Island. On the other hand, in 1920s, there was a gradual change in the social structure in the islands on the West Sea, from agricultural society to fisheries society. As a result, worshipping Im Gyeong-Eop, the God of fishery, became the typical religion in the islands on the West Sea. 1928년 6월 22일부터 9월 12일까지 총 73회에 걸쳐 연재된 「島嶼巡禮」시리즈는 『동아일보』가 서해, 남해, 동해의 주요 도서에 7명의 기자를 파견하여 각 섬들의 고적과 전설 등을 조사하고, 섬 주민의 생활상을 살펴본 야심찬 기획이었다. 이는 전통시대 王의 敎化가 미치기 힘든 문화적 최외곽[夷], 그리고 단순히 내지와 구분되는 국토의 境界로만 인식했던 도서지역을 민족 내부의 공간으로 포섭하고 민족 간의 연대감을 높이려는 1920년대 부르주아민족주의운동 노선의 ‘文化運動’의 일환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점들은 같은 시기 식민정책과 근대화의 성과물로서 지방의 발전상을 선전한 관제언론들의 연재물들은 물론 1910년대 이후 국토순례를 종교적 차원의 祭儀 행위로까지 찬미한 崔南善 등의 국토기행문과도 엄연한 차별성을 지니고 있다. 다만 ‘巡禮’라는 표제를 사용한 이유는 국토와 고적에 대한 지식 보급 외에도 식민지 모순과 자연재해, 생활고를 극복하고, 민족의 정체성과 역동성을 잃지 않는 기층민중의 삶을 엿보기 위함이었다. 역설적이게도 이는 중심부의 문화적 엘리트들이 자신들에게는 이미 오래 전에 잃어버린 민족의 典範으로 ‘상상’하게 만들었다. 본고에서는 「島嶼巡禮」의 여섯 번째 순례에 해당하는 金東進 기자의 ‘白翎島 방면’ 기사를 중심으로 1920년대 西海島嶼의 상황을 살펴보았다. 김동진은 청소년기와 청년기를 러시아에서 보낸 인물이지만 沿海州의 韓人村에서 받은 남다른 교육과 경험으로 인해 다른 기자들에 못지않은 민족적 의식을 나타내고 있었다. 그는 서해도서 주민들의 환대에 뜨거운 동포애를 느꼈고, 백령도 늙은 군인의 애국심에 눈물 흘리었다. 그리고 외부 사회와 철저히 고립시킨 채 전통적인 미풍양속을 유지시키려는 大靑島의 有志 金學善의 활동을 ‘理想的인 自治村’의 건설이라고 찬사를 보내었다. 아울러 그는 延平島, 大靑島, 白翎島 등 서해도서의 민속신앙에 대해서도 자세한 정보를 제공해 주고 있는데, 이를 통해 우리는 적어도 1920년대 말까지는 이들 세 섬에 ‘林慶業’, ‘元順帝’, ‘왕대통[王竹筒]’ 신앙이 각 섬의 대표적 신앙으로 군림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1920년대는 근대화의 과정 속으로 서해도서의 사회구조가 점차 변화를 맞고 있던 시기였음을 부인할 수 없다. 전통시대 水軍鎭 중심의 농업사회 구조가 서서히 해체되고, 근대어업기지를 중심으로 하는 어업사회로 사회구조가 변환함에 따라 서해도서의 민속신앙은 이후 급속한 변화를 가져왔다. ‘어업의 신’으로 추앙받는 ‘임경업’ 신앙은 굳건히 살아남았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인근 도서로 확산되어 서해도서의 대표적 민속신앙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 KCI등재

        Magneto-Mechatronics : A New Approach to Sensors and Actuators for Next-Generation Biomedical and Rehabilitation Devices

        유창호,김성훈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16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10 No.3

        Magnetic sensors and actuators have been widely used in industry and medical fields. Integrated systems based on sensors and actuators are defined as mechatronics that is the general combination of mechanics and electronics. Recently, magnetic wireless sensors and actuator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at a systematic level. In particular, their mechanisms depend on magnetic, such as magnetic material and physical phenomena. However, their research boundary has not been clear. Researchers talk of magnetic micro-robots, magnetic actuators and sensors. Therefore, a new and correct definition is required. In this study, we introduce the advanced and extended concept of mechatronics, which is a magneto-mechantronics for biomedical and rehabilitation. Among various applications, we focused on wireless pump and sensing system for blood vessel rehabilitation and local motion capture, respectively.

      • 지상라이다를 이용한 사면파괴 거동분석

        유창호,최윤수,김재명,Yoo, Chang-Ho,Choi, Yun-Soo,Kim, Jae-Myeong 한국공간정보학회 2008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6 No.3

        자연재해로 인한 수많은 피해 중 특히 산사태 등 사면붕괴로 인한 피해는 인간에게 많은 인적/물적 자원의 손실을 가져왔다. 이런 사면붕괴로 인한 피해를 줄이고자 사면붕괴 예방을 위해 다양한 계측장비를 이용하여 사면붕괴 예 경보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하지만 대상사면에 접근성 문제를 해결하고 위험 사면 전체에 대한 안전성 평가를 실시할 수 있는 효율적인 계측장비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사면붕괴예방을 위한 효율적인 계측장비로서 측량학적인 접근 방법으로 사면거동의 정확한 계측을 위해 지상라이다시스템을 이용하여 사면붕괴 예방을 위한 시스템의 활용가능성 판단을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으로 조성되어 사면안정화 공법이 적용된 토사사면에 사면상부에서 단계별로 실물 하중을 가하여 하중에 따른 사면의 거동을 Total Station과 지상라이다시스템을 이용하여 계측하였다. 두 시스템을 이용하여 계측한 성과의 정확한 비교 분석을 위해 두 시스템의 계측 결과를 동일한 좌표계로 일치시키는 3D Similarity Transformation을 통해 서로 다른 좌표계를 가지고 있는 두 좌표계를 하나의 좌표계로 통일시켜 사면이 실물하중에 어떤 거동이 일어나는지를 분석하였다. 타켓중심의 사면거동 분석결과, 지상라이다 시스템은 Total Station과 비교해 X축으로는 1cm이내의 차이가, Y축으로는 규칙적이지 않는 거동의 경향이 발생하고, Z축으로는 서로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연속된 점에 대한 사면지동 분석결과, Y축의 위치에 따라 사면 하부에서 상부의 방향으로 사면거동의 경향이 다르게 나타나 Total Station에서 분석하기 어려웠던 사면의 연속적인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지상라이다 시스템은 Total Station에 버금가는 측량성과를 획득하여 효율적인 사면모니터링을 위한 계측장비로 판단되었으며 기존의 사면모니터링기법의 한계를 대체 할 수 있는 측량학적 분석방법으로 많은 활용이 기대된다. Landslide, one of the serious natural disasters, has Incurred a large loss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Recently, many forecasting or alarm systems based on various kinds of measuring equipment have been developed to reduce the damage of landslide. However, only a few of these equipments are guaranteed to evaluate the safety of whole side of land slope with their accessibility to the slope. In this study, we performed some experiments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a terrestrial LiDAR as a surveying tool to measure the displacement of a land slope surface far a slope collapsing protection system. In the experiments, we had applied a slope stability method to a land slope and then forced to this slope with a load increasing step by step. In each step, we measured the slope surface with both a total station and a terrestrial LiDAR simultaneously. As the result of Slope Fracturing analysis using all targets, the LiDAR system showed that three was 1cm RMSE on X-axis, irregularity errors on Y-axis and few errors on Z-axis compare with Total Station. As the result of Slope Fracturing analysis using continuous targets, the pattern of Slope Fracturing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continuous targets and we could detect a continuous change which couldn't be found using Total station. The accuracy of the LiDAR data was evaluated to be comparable to that of the total station data. We found that a LiDAR system was appropriate to measuring the behaviour of land slope. The LiDAR data can cover the whole surface of the land slope, whereas the total station data are available on a small number of targets. Moreover, we extracted more detail information about the behavior of land slope such as the volume and profile changes using the LiDAR data.

      • KCI등재후보

        지상라이다를 이용한 사면파괴 거동분석

        유창호,최윤수,김재명 대한공간정보학회 2008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16 No.3

        Landslide, one of the serious natural disasters, has incurred a large loss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Recently, many forecasting or alarm systems based on various kinds of measuring equipment have been developed to reduce the damage of landslide. However, only a few of these equipments are guaranteed to evaluate the safety of whole side of land slope with their accessibility to the slope. In this study, we performed some experiments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a terrestrial LiDAR as a surveying tool to measure the displacement of a land slope surface for a slope collapsing protection system. In the experiments, we had applied a slope stability method to a land slope and then forced to this slope with a load increasing step by step. In each step, we measured the slope surface with both a total station and a terrestrial LiDAR simultaneously. As the result of Slope Fracturing analysis using all targets, the LiDAR system showed that three was 1cm RMSE on X-axis, irregularity errors on Y-axis and few errors on Z-axis compare with Total Station. As the result of Slope Fracturing analysis using continuous targets, the pattern of Slope Fracturing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continuous targets and we could detect a continuous change which couldn’t be found using Total station. The accuracy of the LiDAR data was evaluated to be comparable to that of the total station data. We found that a LiDAR system was appropriate to measuring the behaviour of land slope. The LiDAR data can cover the whole surface of the land slope, whereas the total station data are available on a small number of targets. Moreover, we extracted more detail information about the behavior of land slope such as the volume and profile changes using the LiDAR data. 자연재해로 인한 수많은 피해 중 특히 산사태 등 사면붕괴로 인한 피해는 인간에게 많은 인적/물적 자원의 손실을 가져왔다. 이런 사면붕괴로 인한 피해를 줄이고자 사면붕괴 예방을 위해 다양한 계측장비를 이용하여 사면붕괴 예·경보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하지만 대상사면에 접근성 문제를 해결하고 위험 사면 전체에 대한 안전성 평가를 실시할 수 있는 효율적인 계측장비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사면붕괴예방을 위한 효율적인 계측장비로서 측량학적인 접근 방법으로 사면거동의 정확한 계측을 위해 지상라이다시스템을 이용하여 사면붕괴 예방을 위한 시스템의 활용가능성 판단을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으로 조성되어 사면안정화 공법이 적용된 토사사면에 사면상부에서 단계별로 실물 하중을 가하여 하중에 따른 사면의 거동을 Total Station과 지상라이다시스템을 이용하여 계측하였다. 두 시스템을 이용하여 계측한 성과의 정확한 비교 분석을 위해 두 시스템의 계측 결과를 동일한 좌표계로 일치시키는 3D Similarity Transformation을 통해 서로 다른 좌표계를 가지고 있는 두 좌표계를 하나의 좌표계로 통일시켜 사면이 실물하중에 어떤 거동이 일어나는지를 분석하였다. 타켓중심의 사면거동 분석결과, 지상라이다 시스템은 Total Station과 비교해 X축으로는 1cm이내의 차이가, Y축으로는 규칙적이지 않는 거동의 경향이 발생하고, Z축으로는 서로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연속된 점에 대한 사면거동 분석결과, Y축의 위치에 따라 사면 하부에서 상부의 방향으로 사면거동의 경향이 다르게 나타나 Total Station에서 분석하기 어려웠던 사면의 연속적인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지상라이다 시스템은 Total Station에 버금가는 측량성과를 획득 하여 효율적인 사면모니터링을 위한 계측장비로 판단되었으며 기존의 사면모니터링기법의 한계를 대체 할 수 있는 측량학적 분석방법으로 많은 활용이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