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철을 주제로 한 어린이 박물관 전시연출에 관한 연구

        김지원 ( Jiwon Kim ),유진형 ( Jinghung Yo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0 No.5

        (연구배경 및 목적)국내 철 관련 전시공간은 역사관, 갤러리, 홍보관 등 불리 우는 명칭만큼 설립 목적도 다양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전시 공간들은 철강기업에서 제공한 상업성 짙은 공간으로써 철의 본질적인 의미를 전달시키기 보다는 주로 기업의 기술력 과시 및 판매를 위한 제품 홍보에 맞춰져 있다.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된 소재에 속하는 철(Fe)은 인류에게 문명을 가져다 주었고, 모든 생물체에게 필수적인 원소이다. 이렇듯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소재인데 비해 철을 이야기하는 공간 및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약한 실정이다. 철에 대해 잘 모르는 혹은 알고 있지만 더 배우고 싶은 어린이들이 방문해 철에 대한 정보를 배워가는 곳으로 교과서와 강의를 중심으로 한 주입식 교육에서 벗어나 어린이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고, 또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는 철을 주제로 한 어린이 박물관의 전시연출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어린이 박물관 교육의 특징과 전시연출의 동향을 이론적 고찰 하고, 2010년 이후에 개관하여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어린이 박물관과 철과 물이라는 특정한 하나의 주제로 공간 전체를 구성한 어린이 대상 전시관을 현장 방문하여 주제, 형태와 색체, 개념 및 전략을 분석하였다. 어린이의 관람특성을 고려한 전시매체 및 연출기법을 영역별로 나눠 살펴보며 어린이 철 박물관 전시연출의 계획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결과) 단편적인 공간구성과 일회성 놀이 위주의 체험공간으로 머물러 있던 과거와는 달리 어린이들의 발달 수준과 정서를 충분히 반영한 풍부한 콘텐츠와 볼거리를 기반으로 소통과 체험을 중시한 쉽고, 밝고, 감성적으로 다가가는 어린이 철 박물관 전시연출이 되어야 한다. (결론) 철이 가지고 있는 성질을 분석하고 공간의 형태에 반영하여 전시공간과 전시 연출의 연결고리를 형성함으로써 철에 관한 주제를 다각도로 흥미롭게 구성하여 어린이들의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며 공간 전체에서 철을 경험하고느낄 수 있도록 한다. 어린이 관람객 입장에서 내용이 쉽게 다가올 수 있도록 하고 수많은 정보와 성과에 대한 자랑이 아닌 비움, 공유, 그리고 소통으로 철에 대한 가치와 이미지를 새롭게 하는 경탄의 장소이며 감성소비와 디지털 시대에 효율적인 정보교류의 장으로, 강렬한 체험, 감동을 수반하는 공간이 되고자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Domestic iron-related exhibition facilities have been established with various purposes so that their name have been called History hall, Gallery, Promotion hall and etc. But all of them are commercial spaces planned by steel enterprises. Therefore when you closely look into them, you know that stories about iron are a few and their focus is on boasting their technology and promoting products for sale. It has brought civilization to humanity and is an essential element for living organisms. Like this it is a critical material indispensable to our life, while the space and research to talk about iron is relatively tenuous in re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the exhibition display of children``s museum with the theme of iron for the children who are not familiar with iron or know it but want to learn it more to visit here to understand and learn its information in an easy and fun way free from cramming education focusing on textbooks and lectures.(Methods)The study tried to consider the education characteristic of children``s museum and the latest trends of exhibition display theoretically. The researcher visited the children``s museum that has been successfully operated since the opening in 2010 and the children``s exhibition hall that organized the space with one specific theme, iron and water, to analyze theme, type & color, concept and strategy. It tried to seek the planning direction of exhibition display of children``s iron museum by reviewing and dividing domestic iron-related exhibit practices and overseas children museum practices into spatial configurations & images, directing media and experiencing methods. (Results) Unlike the past focusing on simple space structure and experience space based on one-time play, the exhibition display of children iron museum should be easy, bright and emotional focusing on communication and experience based on rich contents and attractions fully reflecting the developmen tlevel and emotions of children. (Conclusion)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iron and reflect it to the shape of spaces to form a chain between exhibition spaces and exhibition display. And it is also necessary to make up the topic of iron interestingly from various angles to stimulate children``s curiosity, and make them experience and feel the iron from the entire space. The museum should enable children visitors to understand the contents easily. It should be the place of wonder to renew the value and the image of the iron through emptiness, share and communication, not be the place of boasting lots of information and performance. In this emotional consumption and digital age, it should become a space which involves intense experiences and emotion as a place of effective information exchange.

      • KCI등재후보

        서비스디자인 요소를 적용한 프라이빗뱅킹 고객을 위한 공간 연구

        김동희 ( Donghee Kim ),유진형 ( Jinghung Yo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0 No.3

        (연구배경 및 목적) 금융 산업의 발달과 그 규모가 커지면서 우리사회는 급격하게 성장해왔고 구조가 복잡하고 세분화되어졌다. 그러면서 모든 산업분야에서 서비스디자인과 더불어 vip를 위한 서비스에 관심을 가지고 그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금융의 기능과 고객을 연결하는 가장 중요한 역할이 공간이다. 대고객 접점인 영업점의 환경에 이르는 모든 금융의 기능을 적극적으로 연결시키게 된다. 고액자산가들에게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금융회사에는 서비스를 통한 가치 창출을 위한 공간으로 기업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vip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경험에 의한 고객의 니즈에 접근해야한다. 감성적인 만족감을제공하는 것에서 최근 들어 고객의 니즈와 새로운 변화를 통한 가치를 부여하고자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 서비스를 디자인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라는 개념을 넘어서 고객의 니즈와 경험을 파악해 개선 방향을 제시해주는 중요한 개념인 서비스디자인이 모든 산업분야에서 대두되고 있다. 프라이빗 뱅킹의 공간을 분석하고 다양화된 고객의 욕구를 대처하기 위한 공간 활용 연구 분석이 필요하다.(연구방법)이 연구는 서비스디자인의 개념정의와 특징을 기반으로 이론적 고찰을 한다. 프라이빗 뱅킹의 공간구성에 대해 알아보고, Vip 고객들이 이용하는 점포의 사례를 분석을 통해 현재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공간에 대해 알아본다. (결과)프라이빗 뱅킹 PB센터에는 주로 이벤트룸을 이용해 서비스 제공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 고객들은 더 앞서가고 시각적으로나 물리적으로나 최상의 것을 원하고 있다. 새로운 문화와 라이프스타일을 추구하는 프라이빗 뱅킹으로 점포별로 특징에 맞게 공간계획을 할 필요가 있었고, 앞으로 계속 연구되어야할 가치가 있는 공간이다. (결론) 서비스디자인의 다양한 사고를 바탕으로 이벤트 룸을 각종 세미나를 개최하는 등의 효율적인 공간으로 제시하여 고액자산가 VIP들의 호응을 얻고 있다. 금융시장은 고객입장에서 금융상품과 더불어 여러 가지 다양한 문화혜택 등을 제공해 고객의 만족도를 높여 그로 인해 더 많은 가치 창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고객에게 제공하는 종합적인 자산관리 외의 시각적 물리적 환경을 최적화하여 최상의 만족도를 제공할 수 있는 프라이빗뱅킹의 공간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프라이빗 뱅킹 고객의 만족도를 증대시키고 더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공간계획연구는 계속 연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Our society has grown at a rapid pace, as has the advancement of the financial industry. Furthermore, the structure of the financial industry has become more complex and fragmented, leading to a growing interest in and importance of services for VIPs in addition to relevant service design in all the industrial fields. Space plays a vital role in connecting the functions of finance with meeting customer needs. That is, space actively connects all of the functions of finance via the environment of the bank branch, which is the point of contact for customers. Financial firms that provide services to wealthy people have spaces to create value through services. This can be deemed as an essential function. It is imperative to approach the needs of clients based on experience. Recently, more emphasis has been placed on values created through customer needs and new changes, rather than providing emotional satisfaction. Design services beyond the concept that provides users with significant improvements that offer direction to catch the customer``s needs and experience, the concept of service design are emerging in every industry. In other words, it is essential to study and analyze space utilization in order to analyze the space of private banking and cope with the diverse desires of clients. (Method) This study conducts a theoretical review of the concept and attributes of service design. It also examines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private banking and the currently available service space through a case study on actual bank branches used by VIP clients. (Results) Services using event rooms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at private banking (PB) centers. Clients want the best possible service both visually and physically.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make a plan for the space for each bank branch, because private banking pursues a new culture and lifestyle. It is worthwhile to study bank space on a continuous basis going forward. (Conclusions) Financial firms have received positive responses from VIPs (wealthy people) by efficiently leveraging event rooms for a variety of seminars based on diverse ideas of service design. The financial market aims to create more value by improving customer satisfaction with a variety of cultural benefits as well as financial products. To this end, it is imperative to continue to study space to provide better service and improve the satisfaction level of private banking clients. Thus, it is necessary to designate adequate space in private banking to ensure the highest degree of satisfaction can be achieved by optimizing the visual and physical environment, in addition to meeting customers’ comprehensive asset-management needs. It is therefore imperative to conduct space planning research in order to increase customer satisfaction and provide customers with better services in relation to private banking.

      • KCI등재

        팔림프세스트 이론에 기초한 골목길 유형에 관한 공간리듬 연구

        표승화(제1저자) ( Seunghwa Pyo ),유진형(교신저자) ( Jinghung Yo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0 No.6

        (연구배경 및 목적) 길은 도시가 형성되기 이전부터 보행과 같은 이동의 수단으로 형성되어왔다. 산업혁명을 기준으로 과거의 길은 보행자가 스스로 원활한 이동과 판단에 의해 자의적으로 만들어졌었다. 그러나 산업혁명으로 길의 주요 이용자는 자동차가 되었다. 그래서 현대의 길은 자동차가 원활히 이동할 수 있는 구조와 형태를 지니게 되었다. 이러한 급진적 발전으로 인해 길의 주요 이용자였던 사람은 도시계획에 의해 자동차의 길을 함께 사용하는 제2의 사용자가 되었다. 도시의 급진적 발전은 보행의 방향과 방법을 만들어 사용자에게 강요하는 일방적 상호관계를 맺게 되었다. 이러한 도시의 일방적 소통방식은 다양한 도시문제를 야기 시켰다. 인구공동화, 주간인구, 도넛화현상과 같은 문제들이 발생하면서 도시의 범죄율은 높아지고 ‘도시계획은 편리하고 안전하다.’ 라는 증명되지 않은 계획을 사용자에게 끼워 맞추기 식의 도시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도시의 현상을 줄이고자 각 지역에서는 도시재생에 대한 계획을 진행하고 있다. 도시의 혈관이라고 할 수 있는 길은 도시재생과 함께 연구되어야 하는 중요한 도시의 요소이다. 이 연구는 사용자의 자의적 판단으로 형성된 골목길을 통해 현재의 도시디자인 현상에서 골목길의 중요성과 가치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도시 내의 길을 두 가지 유형인 보행자가 스스로 계획한 길과 도시계획이 계획한 길을 구분하여 길이 갖는 흔적을 연구한다. 팔림프세스트 이론을 흔적연구의 이론적 기반으로 삼아 골목길과 도시계획으로 형성된 길에서 유·무형적 기억과 흔적이 길에 끼치는 영향을 사례를 통해 분석한다. 또한 골목길의 흔적과 공간리듬이 어떠한 상관관계를 맺는지 밝힌다. (결과) 앞서 분류된 두가지 유형의 길은 공통적으로 사용자와 시간에 의해 리듬과 흔적을 갖고 있다. 하지만 골목길에서는 공간리듬과 흔적이 다양하며 가변적이고 돌발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골목길의 리듬과 흔적은 대상공간의 특징이자 지역자산으로 유형을 변형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대상공간의 도시문제와 음성적 요소를 양성화하는 매개체의 역할을 수행한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계획이 진행되고 있는 도시재생계획들이 기존 도시계획에서 보여 졌던 악순환을 지양하고자 하는 사회적 관점을 뒷받침한다. 또한 도시재생에 있어서 골목길은 공간리듬이 가장 활발하고 유기적인 공유공간으로써 지역의 흔적과 기억을 갖고 있는 주요 자산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Roads were formed to facilitate transportation, especially walking, even before cities were built. During the Industrial Revolution, roads were planned arbitrarily for and by pedestrians to enable smooth transportation. However,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vehicles became major users . Therefore, modern roads are structured and formed for smooth transportation of vehicles. Due to this rapid development, humans, who were the primary users of roads, have changed into secondary users to allow for vehicles.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cities, new directions and techniques of pedestrian walking have been established, which people have been forced unilaterally to follow. Such one-sided urban planning has caused several social problems. Various problems such as “doughnut phenomenon” and increasing daytime population have increased the crime rate in cities, and the unproven claim “Urban planning is convenient and safe” has been used to support the indiscriminate development of cities. To resolve these urban problems, each area is planning an urban regeneration. As blood vessels of cities, roads are important urban components to be studied along with urban regeneration. This paper discusses the importance of alleys, which have been incorporated into urban designs arbitrarily by the users. (Method) To analyze the traces on urban roads, this study classified the roads into those planned by pedestrians and those included in urban planning. Applying the Palimpsest theory as a foundation for trace research,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tangible and intangible memories and traces in alleys and on roads included in urban planning, based on related cases. Further, the correlation between traces in alleys and spatial rhythms was considered. (Results) The abovementioned types of roads are marked by rhythms and traces depending on users and time. However, alleys are majorly characterized by various spatial rhythms and traces, which are variable and accidental. As major characteristics of target spaces and regional assets, these rhythms and traces can transform the alleys as well as fix urban issues and the negative factors affecting target spaces. (Conclusions) These findings reveal the social significance of urban regeneration plan that replace the vicious circle of previous urban regeneration plans. Moreover,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in urban regeneration, alleys are a major asset with regional traces and memories and can be used as shared spaces demonstrating the most active and organic spatial rhythms.

      • KCI등재

        공유공간에 나타난 리좀적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김형자 ( Hyungja Kim ),유진형 ( Jinghung Yo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6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 사회는 사람 간의 관계 맺음의 밀도가 낮아져 소통의 부재로 인한 인간 소외 현상과 소속감 상실이 만연하는 반면,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기술의 발달은 끊임없이 새로운 변화를 요구하고 제약된 경계들을 허물어 무한한 창발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현대 사회의 이중적 문제의 방안으로 자유로운 참여를 통해 소통의 앙상블을 이루는 사회공간으로 공유공간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또한 ‘관계’를 철학적 사유의 근간으로 하는 후기 구조주의 철학자 들뢰즈와 가타리(Deleuze and Guattari)의 사유 체계인 ‘리좀’ 개념이 문제 해결에 중요한 철학적 사유라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공유공간’을 위한 ‘리좀’적 가치의 필요성을 파악하고 공유공간에서 리좀적 공간 구성 요소와 특성을 연구하여 공유공간의 방향성과 활성화 방안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은 첫째, 선행 연구 및 문헌 자료를 통해 사회적 공유공간의 필요성과 의미를 연구하였다. 둘째, 들뢰즈와 가타리(Deleuze and Guattari)의 사유 체계인 ‘리좀’의 공간 특성을 분석하여 공유공간과의 관계성을 도출하였다. 셋째, 리좀적 특성이 나타나는 공간 구성 요소를 도출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분석을 위한 모형을 구축하고 사례를 분석하였다. (결과) 사례 분석의 대상을 도시 공공시설에서 정의하는 공공/문화체육시설 중 사회적 공유공간의 대표적 공간인 학교, 문화시설, 도서관으로 범위를 한정하여 분석한 결과 비 물질성, 무작위적 연결, 프로그램, 보이드, 경계의 모호함이 리좀적 공간 구성 요소에서 공통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리좀적 공간은 모든 공간 구성 요소가 평균적으로 그 발현이 고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특정 공간 구성 요소의 두드러짐으로 완성되는 공간이 아닌 공간 구성 요소 간의 통합적인 연결성을 가졌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자율적인 활동공간의 앙상블을 이루는 사회공간으로써 공동체(코뮨)의 공유공간은 공간 구성, 동선, 프로그램, 경계의 공간구성 요소 간의 통합적인 연결성을 가진다. 이러한 사회적 공유공간은 누구나 자유롭게 넘나들 수 있는 리좀적 공간으로 타자에게 접속하기 쉽고 개방된 공간이며 다양한 기능이나 목적으로 공간이 확장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사회적 관계를 위한 공유공간의 활성화를 꾀할 수 있는 공간 특성으로 공간의 가치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Modern society is characterized by the prevalence of phenomena, such as human alienation and loss of a sense of belonging brought on by a decrease in the establishment of relationships between people and a lack of communication, while the rapid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demands continuous change and infinite emergence, along with the destruction of restrictive boundaries. The sharing space, a social space where social assembly is encouraged through voluntary participation, is proposed as a measure to address such paradoxical problems. Rhizome is also a philosophical concept developed by post-structuralism philosophers, Deleuze and Guattari, and used as a thought framework to describe “relationship” as an important concept for solving these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refore, to investigate the value of rhizome in the “social sharing space” and contribute to determining the orientations and activation strategies of sharing spaces by identifying rhizome space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sharing space. (Method) First,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were reviewed to validate the necessity and meaning of social sharing space. Secon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rhizome and their relationship to sharing space were discerned. Third, spatial elements that displayed rhizome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and an analytical model was developed and case studies performed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Results) Case studies were limited to schools, cultural facilities, and libraries, representative social sharing spaces in public and cultural/athletic facilities defined within the urban public facility system.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howed that the most common characteristics in the composition of rhizome space were non-materiality, random linkage, programs, voids, and boundary ambiguity. It was also shown that the rhizome space possesses all spatial elements in equal measure, meaning that the space is one that isn’t completed by a prominence of a specific spatial element but through integrative linkage between spatial elements. (Conclusions) Thus, the sharing space is communal as a social space, where integrative linkages among spatial elements, such as spatial composition, moving routes, programs, and boundaries are recognized among the set of spaces dedicated to voluntary activities. It was found that these social sharing spaces are rhizome spaces, where each agent visits voluntarily, access to others is open and easy, and spatial extensions for various purposes are permitted. This is expected to add value to a space as a place that promotes sharing through social relationshi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