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카메라 검정 방법과 내부표정 요소 적용에 따른 UAS 기반의 DSM 정확도 평가

        유재진,손승우,박현수,전형진,윤정호,Yu, Jae Jin,Son, Seung-Woo,Park, Hyun-Su,Jeon, Hyung-Jin,Yoon, Jeong-Ho 대한원격탐사학회 2017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3 No.5

        본 연구에서는 각기 다른 방법으로 내부표정 요소를 산출하였다. 내부표정 요소를 영상처리 과정에 적용하여 총 5개의 DSM(Digital Surface Models)을 제작한 뒤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내부표정 요소를 DSM 정확도의 독립변수로 활용하기 위해 DSM의 정확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비행요소와 외부표정 요소를 단일 고정변수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campaign 3-2의 RMSE가 0.0305 m로 가장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실험실 환경에서 카메라 검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내부표정 요소를 확인한 뒤, 최적화를 통해 획득한 수정된 내부표정 요소를 이용해 DSM을 제작하는 것이 가장 정확도가 높은 DSM을 구축하는 방법으로 판단된다. In the present study, the interior orientation parameters were computed by using various kinds of methods. Five DSMs (Digital Surface Models) in total were produced by applying interior orientation parameters to the image processing, and the accuracy was evaluated. In order to use interior orientation parameters as independent variables of DSM accuracy, flight parameters and exterior orientation parameters that can affect the accuracy of DSM were set to be the only fixed variables. From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the RMSE of campaign 3-2 was found to be 0.0305 m, which was the most favorable result. Thus, it is advisable to produce DSM by adjusted interior parameters after figuring out the interior orientation parameters using a camera calibration program at laboratory environment.

      • 삼성의 LCD-SPVA 및 -PSVA모드 개발사(開發史)와 액정주입 ODF 공정

        유재진,신성태,Yu, Jae-Jin,Sin, Seong-Tae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21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Vol.22 No.4

        90년대 초 LCD (Liquid Crystal Display)는 연관된 반도체 산업과 함께 제2산업의 쌀로 불리며 정부와 관련업계의 높은 관심 속에 큰 성장을 이루었다. 삼성은 일본 기업에 비해 LCD 개발을 늦게 시작했지만 패널 대형화와 넓은 광시야각을 구현한 PVA (Patterned Vertical Alignment) 모드 (mode)를 실현하고, 여기에 더하여 측면 시인성 문제까지 해결한 공정이 단순하며 높은 대비비를 구현하는 SPVA (Super Patterned Vertical Alignment) 및 PSVA (Polymer-Stabilized Vertical Alignment) 모드를 개발하였다. 이와 동시에 새로운 액정 주입 방식인 ODF (One Drop Filling) 기술을 최초로 양산에 접목함으로써 LCD 산업에서 경쟁사들이 따라올 수 없는 훨씬 앞선 제1 주자가 되었다. 이 보고서는 삼성이 SPVA와 PSVA 모드를 역경 속에서 타사들과 어떻게 경쟁하며 발전시켜 왔는가에 대한 내용과 ODF 기술에 대해 삼성의 고유 자산권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서술하고자 한다. ※ 대비비: 화면의 백색상태 (white state)와 암흑 상태 (black state)의 광비 (光比)

      • KCI등재

        泉鏡花「星あかり」論

        유재진(兪在眞, Yu,Jae-Jin) 일본어문학회 2009 일본어문학 Vol.47 No.-

        本校は泉鏡花作「星あかり」を初出「みだれ橋」から定稿「星あかり」までの本文異同を検討しつつ、明治30年代の同時代言説を踏まえながら作品分析を試みた。「星あかり」は、鏡花が本格的な幻想小説を書きはじめる前に発表された短編小説であり、同時代の言説や風潮の影響を多く見せていた。怪談じみた物語を語りながら、それらの現象を「気の違ひ」であると解説した作品末尾の一文からは、幻覚や幽霊など明治以前までの超自然現象を明治の文明開化に伴って導入された精神病医学によって解釈した明治30年代に顕著に見られた科学主義の影響が窺われる。また、随所で物語の舞台である由比ヶ浜やその近辺の地名を具体的に明記することによって、語りの内容とは不釣り合な近代的リゾート地のイメージを浮彫りにしている。しかし、これら精神医学的言説やリゾート地という物語背景は、怪談じみた物語内容やその語りに施されている工夫とは作中で拮抗しており、これら近代的要素が一つの意匠として使われているに過ぎないことを考察した。

      • KCI등재

        충청남도 남동부에서 나타나는 논매기소리의 분포와 전파에 관한 연구 -지형요소를 중심으로-

        유재진 ( Jae Jin Yu ),장동호 ( Dong Ho Jang ) 한국지형학회 2014 한국지형학회지 Vol.21 No.2

        본 연구는 충청남도 남동부 지역에서 나타나는 논매기소리 분포와 전파 양상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얼카덩어리 류는 충청남도 서북부가 문화중심으로 여겨지며, 연구지역의 북쪽에서 북동-남서 방향으로 달리 는 차령산맥을 통해 전파된 후 남하하여 금산 지역까지 전파되었다. 상사 소리 류는 전라도 지방과 교류한 것으로 보이며, 그 경로는 소백산맥의 북서사면의 평야지대 또는 서사면 근처의 내륙 산간 지대로 유추할 수 있다. 잘하네 류는 충청북도 남부가 문화중심으로 여겨지며 대전 또는 금산 지역을 통해 전파된 것으로 보인다. 연구 지역 내에서 나타나는 논매기소리의 분포는 주로 구조선이 하도의 발달을 유도한 지류 하천의 유로를 따라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농업문화로서 논매기소리의 전파는 구조선의 배열과 이에 따라 유도되는 지류 하천의 방향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tudy on distribution and diffusion of a weeding songs at Southeastern Chungcheonganamdo. The origin of The Eolkadeongeori may come from Charyeong Mountainous Range extended from NW to SW direction above the research area and continued to Geumsan area. The Sangsa is may interchanged with Jeollado. The entry of this song may traverse across through the path passes the plain facing the NW slope of Sobaek Mountainous Range or the path passes inland mountainous region. The Jalhane can be considered as cultural center of the southern Chungcheongbukdo and distributed to Daejeon and Geumsan area. Development of the channel branch and also lowering this area during time caused by lineament structure appear in this region, make this channel a proper way to exchange culture. The distribution of the weeding song is appeared according to channel of branch induced by lineament. Finally, distribution and diffusion of the weeding song as a culture is affected by the direction of the channel branch and lineament structure.

      • KCI등재

        UAS 기반 DEM 분석을 통한 단기간의 파도리 해빈 지형변화 분석: 태풍 솔릭 통과 전후를 중심으로

        유재진 ( Jae Jin Yu ),김동우 ( Dongwoo Kim ),윤정호 ( Jeong Ho Yoon ),손승우 ( Seung Woo Son ) 한국지리학회 2018 한국지리학회지 Vol.7 No.3

        본 연구에서는 UAS(Unmanned Aerial System) 기반 DEM을 구축한 뒤 차연산(DEM of Difference, 이하 DoD)하여 태풍 솔릭 전후에 해빈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해빈 지형변화는 DoD 결과와 기상 및 해양 자료를 기반으로 해석하였다. 연구결과, 체적은 약 60㎥이 감소되어 체적 변화는 미미했다. 연구기간 동안 파고가 높고 풍속이 강한 날이 있었지만 해당 시기에 낮은 조위로 인해 파도리 해빈에 큰 지형변화를 유발하지 못했다. 연구기간 동안은 저파랑 환경이 우세하여 해발고도 약 3m부근에서 범(berm)이 성장하고 커습(cusp)이 발달하였다. 결과적으로 태풍 솔릭으로 인한 파도리 해빈 지형변화는 미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morphological changes on beach before and after the Typhoon Soulik using UAS (Unmanned Aerial System) based DoD (DEM of Difference).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beach were explained using DoD results, weather and marine data. As a result, a slight volume reduction of about 60 m3 were detected. Even with days of high wave height and wind speed, low tidal height during the period caused slight morphological changes on beach. Berm and cusp were developed around 3 m above mean sea level, under low wave height environment during the study period. In conclusion, morphological changes of Pado-ri beach by Typhoon Soulik were insignificant.

      • KCI등재

        안면도 바람아래 할미섬 주변의 시계열적 침식,퇴적환경 변화 분석

        유재진 ( Jae Jin Yu ),김장수 ( Jang Soo Kim ),장동호 ( Dong Ho Jang ) 한국지형학회 2016 한국지형학회지 Vol.23 No.1

        In this study, datum points measurement have been collected and then weather data have been analyzed to figure out erosion and deposition environmental change around Halmi-island, Baramarae. First of all, it was difficult to analyze geomorphological change which is caused by climate change because of quite short term of collection period of data. However, differences in spatial distribution of erosion and deposition have locally been shown. In all season, the wind is blowing in north and north-west direction mostly except in summer which is shifted to south direction. However, since its ratio which are above 5m/s is much lower than the north and north-west wind, its effect on geomorphological process is very tiny. In order to look at a tendency of erosion and deposition environmental change around Baramarae Halmi-island, the periphery of Halmi-island was classified to east and west part, then accumulated erosion and deposition values have been calculated. As a result, generally, the datum points are located in the west part which are mostly depositional sites. On the other hand, the datum points are located in east part showed the dominant erosion patterns.

      • KCI등재

        해안지역의 시계열 지형변화 분석을 위한 UAS 활용 가능성 평가: 안면도 바람아래해변을 대상으로

        유재진 ( Yu Jae Jin ),박현수 ( Park Hyun-su ),양윤정 ( Yang Yun Jung ),장동호 ( Jang Dong-ho ) 한국지형학회 2016 한국지형학회지 Vol.23 No.4

        In this study, we took time-series photos of the Baramarae beach in Anmyeon-do utiliz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in order to develop digital surface models (DSMs) of the area. The accuracies of these DSMs were then evaluated. After that, in order to verify whether UAS(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has proper applicability to figure out coastal geomorphological changes, DSMs have been differentiated. We differentiated the DSMs to verify whether our UAV system (hereafter, UAS) had a general applicability for detecting coastal geomorphological changes. In more particular, the DSMs were evaluated whether their errors lay within the error range of work provisions suggested by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Therefore, quantitative vertical positional accuracies calculated additionally. We found very high positional accuracies with RMSEs ranging from 0.065 m to 0.14 m and R2 varying from 0.9979 to 0.9743, respectively. Erosion and sedimentation patterns were also checked with the verified DSMs. Hence, we conclude that the UAS employed in this research has an appropriate applicability for detecting geomorphological changes in coastal areas.

      • KCI등재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한 애추 분포 가능지역 추출 -Weight of evidence 기법을 중심으로-

        유재진 ( Jae Jin Yu ),장동호 ( Dong Ho Jang ) 한국지형학회 2014 한국지형학회지 Vol.21 No.4

        애추와 같이 인간의 접근이 쉽지 않은 지형의 현장조사에서는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기 위해 실제 현장조사 전에 대상 지형자원의 범위를 줄이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 지형자원의 현장조사 범위를 줄이기 위해 기존 지형의 위치와 기타 GIS 정보 사이의 관계를 확률로 표현하는 자료유도형(targetdriven) 공간통계기법인 Weight of Evidence 기법을 적용하였다. Weight of Evidence 기법을 적용하기 위해 애추와 관련된 지형요소를 선정한 후 지형요소와 GIS 정보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를 근거로 우도비를 산출하였다. 각각의 주제도에 대한 경우의 수를 산정한 후, SRC 및 AUC 방법을 이용하여 애추 분포 가능지수가 가장 큰 조합을 찾았다. 애추 분포 가능지수가 가장 큰 주제도의 조합은 사면향도와 지질도, 경사도, 토지피복도, 유효토심도, 토양배수도의 조합으로, 애추 분포 가능지 면적비가 74.47%로 나타나 상당히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Reducing the range of target landform, is required to save the time and cost before real field survey in the case of inaccessible landform such as talus. In this study, Weight of Evidence modeling, which is a Target-driven spatial analysis statistics methods, has been applied to reduce the field survey range of target landform. In order to apply the Weight of Evidence analysis, a likelihood ratio was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geomorphic factors and GIS information after selection of geomorphic factors regarding talus. A best combination, which has the biggest possibility for Talus Potential Index, was found by using SRC and AUC methods after calculating the number of cases for each thematic maps. This combination which includes aspect, geology, slope, land-cover, soil depth and soil drainage factors, showed quite high accuracy by 74.47% indicating the ratio of real existent talus to potential talus distrib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