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에바그리우스 폰티쿠스의 신비신학에 나타난 영적 성장의 역동적 구조에 대한 연구

        유재경 한국실천신학회 2016 신학과 실천 Vol.0 No.52

        기독교 영성학의 핵심 주제 가운데 하나는 영적 성장에 대한 이론이다. 영적 성장에 대한 이해는 중세 뿐 아니라 현대 교회에서도 다양하게 논의 되고 있다. 최근 윌로우크릭 교회의 연구팀이 영적 성장의 단계와 이행 과정을 심층 분석하여 Reveal Where Are You? 과 Follow Me란 제목의 책을 내 놓았다. 제임을 파울러(James W. Fowler)는 물론이고, M 스캇 펙(M. Scott Peck) 같은 정신의학자도 인간의 영적 세계의 성장과정을 분석하고 있다. 이와 같이 오늘날 인간의 영적 성장 과정에 대한 논의는 기독교 영성학, 발달심리학, 교육학 등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탐구되고 있다. 기독교 영성학의 영적 성장 이론 역시 이러한 학문과의 관계 속에서 탐구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필자는 초기사막 교부인 에바그리우스 폰티쿠스의 영성 이해를 통해 영적 성장이론의 원형적 이해를 찾아보고자 한다. 무엇보다 에바그리우스는 4세기 이집트 사막에서 사막교부들의 영성을 체계화 했고, 자신의 많은 저서를 통해 동방교회와 서방교회의 수도원 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에바그리우스의 중요작품을 통해 드러난 영적 성장의 이론들을 분석하여 그의 영적 성장 이론이 어떻게 체계화되었는지를 밝힐 것이다. 에바그리우스는 신플라톤 철학과 오리게네스의 신학에 따라 그의 영성학의 기초를 세웠다. 하지만 그의 영적 성장 이론의 내면 구조는 그 자신이 경험한 독특한 영적 체험과 이해에 근거하고 있다. 사실 그의 영적 성장 이론의 외적 구조는 신플라톤 철학과 오리게네스의 우주론과 인간이해를 바탕으로 한 세 단계 이론으로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그는 인간 정신의 역동적인 관계를 탐구하면서 영적 성장의 기본적 구조를 세 단계가 아닌 두 단계로 이해하고 있다. 물론 에바그리우스는 영적 성장 과정의 다양한 단계를 인정하고 있지만 근원적으로 활동적인 삶과 관상적인 삶이라는 두 단계로 영적 성장의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이것이 그가 영성 경험을 통해 새롭게 체험한 인간 이해와 인간 정신의 역동적 관계를 통해 체계화한 영성 이론이다. 이러한 에바그리우스의 영적 성장 이해는 오늘날 영성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오늘날 많은 학자들이 영적 성장의 단계를 다양하게 설명하지만 영적 성장의 과정에 나타난 육체와 정신의 상호작용에 관해서는 깊이 다루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영적 성장의 과정에서 인간 정신의 각 기능들이 어떤 역할을 하고, 서로 어떠한 영향 속에서 영적 성장이 이루어지는지를 밝히고 못하고 있다. 하지만 에바그리우스는 집요하리만큼 우주론과 인간 이해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영적 성장을 연구해 왔다. 그리고 그는 육체와 인간 정신의 관계, 인간 정신 사이의 관계를 탐구하면서 어떻게 영적 성장이 이루어지는지를 밝히고 있다. 따라서 에바그리우스의 영적 성장의 과정에 대한 연구는 오늘날 기독교 영성학의 학문적 탐구뿐 아니라 목회적 돌봄에도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The work of Evagrius Ponticus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Journey of Spirit'. The theology of spiritual growth is also fully displayed in the work like 'Biblical Scholia, 'Prayer', 'Letter to Melania' as well as his core trilogy. Therefore, the shortcut to Evagrius' understanding of Spirituality can be found in the property of spiritual growth that are evident in his works. Generally the stages of spiritual growth according to Evagrius is known to be in three parts. He explains the epistemological transformation of human spirits using the three constituents of a human being. All his work describe the spiritual transformation through the psychological changes and the function of three constituents of the human spirit. Henceforth, from the modal perspective, his ideology on the basic structure of spiritual growth can be claimed to have been founded on the three stages theory. Nevertheless, the inner system of his theory on the spiritual growth is thoroughly based on his understanding of a human being. His understanding of a human being is formed in three parts; 'Nous', 'Soul' and 'Body'. However the driving force for a human to reach out to God is found in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the spirit and the body. Thus, his understanding of the spiritual growth can be distinguishing into materialistic(body) part and spiritual (mind) part. The practical purpose of the materialistic factor is in achieving the Apatheia and that of spiritual factor lies in meditation or contemplation. His theory consists of the spirit and body of the fallen human, and claims that the route back to God is a practical life or a life. Therefore, the inner composition of Evagrius' spiritual growth is built in two stages. The scholars of Spirituality today can discuss the various theories on the spiritual growth with the help of psychology. However, as shown by Evagrius' system, the understanding of the spiritual growth must begin from the understanding of the human. Although he believes in tripartite exterior with bipartite inner system, he leaves the door of spiritual growth to be understood in many different stages.

      • KCI등재

        Gene Expression and Phenotypic Analyses of Transgenic Chinese Cabbage Over-expressing the Cold Tolerance Gene, BrCSR

        유재경,이기호,이상춘,박영두 한국원예학회 2014 Horticulture, Environment, and Biotechnology Vol.55 No.5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characterize the BrCSR (B. rapa Cold Stress Resistance) gene and to analyzethe expression pattern of genes related to cold response under low temperatures in Chinese cabbage. A transgenicChinese cabbage line was generated using expression vector pSL101 containing the BrCSR full length CDS. Fivetransgenic plants of T1-progeny that were selected by PCR and southern hybridization showed approximately 2-foldhigher expression than the wild-type control under cold stress conditions. These transgenic plants showed lesssusceptibility to chilling injury compared to the control. To evaluate genes that are functionally related to BrCSR andcold-responsive genes, a gene co-expression network had been preferentially constructed, and then B. rapa 135KcDNA microarray was subsequently analyzed. BrCSR was strongly associated with PDP1, NYC1, and CYP72A11, whichare involved in the cold stress tolerance response. Expression levels of genes related to the biosynthesis of succinateand thiamine, which have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cold tolerance, significantly changed in the gene co-expressionnetwork.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BrCSR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he adaptation of plants to lowtemperature conditions.

      • KCI등재

        영국 청교도 영성의 한국교회의 수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

        유재경 한국실천신학회 2016 신학과 실천 Vol.0 No.48

        영국의 청교도 운동은 유럽의 개신교 정통주의 신학에 생명을 불어 넣었고, 영국 국교회의 로마 가톨릭적 잔재를 청산하는 새로운 종교 운동이었다. 한국 개신교의 신앙과 깊은 연관이 있는 청교도 영성을 탐구하는 것은 오늘날 한국교회 영성 형성을 논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청교도 운동이 가진 영성적 특징을 다양하게 해석할 수 있지만 필자는 세 가지 패턴으로 분류하여 분석고자 한다. 첫째는 역리적 상승 패턴(illogical ascent pattern)이다. 청교도 영성 형성에는 영적 진보의 개념은 있지만 진보의 마지막인 연합(union)이 최종적 목적이 아니라 영적 삶의 시작이고, 과정으로 나타난다. 그러므로 청교도 영성은 칭의로 거듭난 신앙이 하나님과의 지속적인 관계 그 자체를 지향하는 영성이다. 둘째는 지성적 카타페틱 패턴(intellectual kataphatic pattern)을 가지고 있다. 청교도 영성은 설교, 성경묵상, 숙고, 자아성찰 등의 방법으로 하나님과의 관계 유지에 깊은 관심을 가진다는 점에서 지성적이다. 그리고 하나님께 나아가는 영적 상승의 과정에 언어와 이미지를 사용한다는 의미에서 카타페틱적이다. 이러한 점은 동양 종교가 추구하는 무념이나 공의 세계에 떨어지지 않고, 하나님의 말씀의 탐구와 하나님의 형상으로 주어진 인간의 지성에 기초를 둔 영성임을 말해 준다. 셋째는 금욕적 율법주의적 패턴(ascetic nomistic pattern)이다. 청교도는 하나님의 율법에 복종하는 영성을 추구했다. 그들은 일상 가운데 어떻게 영적인 생활을 할 것인지 매뉴얼을 가지고 있었다. 이와 같은 청교도 영성의 특징을 분석하여, 청교도 영성의 한국적 수용 가능성을 찾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사막 교부영성, 그리스 정교회 영성, 로마 가톨릭 영성이 혼재한 한국교회에 프로테스탄트 영성 훈련의 새로운 형태를 제공하므로 기독교 영성학과 한국 신앙인들의 영성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이것을 위해 먼저 경건과 영성의 관계를 해명하므로 청교도 경건이 곧 영성임을 밝힐 것이다. 그리고 청교도 영성이 역사적으로 어떤 사상의 영향을 받아,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그 배경과 과정을 분석할 것이다. 나가가 청교도 신학자들의 사상을 통해 청교도 영성의 본질을 분석하여 청교도 영성 형성의 특징적 유형을 밝혀 낼 것이다. 마지막으로 청교도 영성 형성의 특징적 유형을 통해 한국교회의 영성 형성에 기여할 점을 제안할 것이다. Many scholars have studied the core concepts of the spiritual formation in Puritanism. In particular, Brauer’s analysis of Puritanical spirituality can b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four patterns- Lawful spirituality, Gospel-led spirituality, Rational spirituality, Supernatural spirituality. However, the author would to like to suggest the following three characteristics of Puritanical spirituality in Britain by referencing a numerous classifications of spirituality observed in the Christian traditions. They are Illogical ascent pattern, Intellectual kataphatic pattern, and Ascetic onomastic pattern. Through these unique characteristics, the paper will explore the possibility of accommodating the Puritanical spirituality in Korean Churches. Firstly, the illogical ascent pattern has the principles of progressive spirituality within the spiritual formation of Puritanism. However, it’s conclusion is that the union, which is the end point of progress, is not the ultimate goal but a beginning of the spiritual life and the journey that ensues. Therefore, Puritanical spirituality shows that the faith born out of justification supports the continuing relationship with God. Secondly, the intellectual kataphatic pattern suggests that Puritanical spirituality maintains the relationship with God through methods like sermons, bible studies, and self-reflection. It is kataphatic because languages and images are used in the spiritual ascension towards God. Such spirituality does not fall within the ideals pursued by the Eastern religion such as impassivity and justice, rather, it helps form oneself through the words of God and by using the human intellectual capabilities given by God when he created humans in his form. Thirdly, the ascetic onomastic pattern demonstrates the spirituality that obeys the laws of God. Puritans have a manual for their every day living to help them live a spiritual life. For those who follow the laws of God, it is important to know how to control the innate human desires. These three patterns of Puritanical spirituality will play important roles in the spiritual formation within Korean churches. Firstly, there is no danger for christians to fall into the traps of nature mysticism or Oriental mysticism during the spiritual formation stage. Secondly, we will continue to strive towards living a spiritual life without becoming arrogant and complement in our faith. Thirdly, we will not fall into the emotional spirituality but aim for a balanced spirituality when rational and emotions aspects come to harmony. Fourthly, instead of falling into the world of justice and nothingness which dominate the Eastern religions, we will have a spiritual mindset with a clear and defined object of our faith, God, the Holy Trinity. Fifthly, We will find the route to a spiritual life in God’s words. Sixthly, we will live a humble life as a Christian through self-restraints. Lastly, we will live a healthier spiritual life through the study of traditional Christian spirituality. Therefore, Puritanical spirituality within Korean ideology and culture, will help promote spirituality that will strengthen Korean Christianity.

      • KCI등재

        『성 안토니의 생애』에 나타난 영성 훈련에 대한 소고

        유재경 한국실천신학회 2021 신학과 실천 Vol.- No.73

        이 논문은 사막교부이며, 수도승의 아버지로 알려진 안토니우스의 삶에 나타난 영 성훈련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의미를 밝히는 데 있다. 초기 기독교 영성생활의 원형 으로 평가받았던 안토니우스의 영성훈련의 연구는 그 자체로도 의미가 있지만 우리 기독인들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올바른 영성생활을 지향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안토니우스의 영성생활은 첫째, 은둔적 독거는 홀로 세상과 하나님을 대면하는 시 간이다. 안토니우스는 ‘홀로 있기’를 통해 진정한 자기 자신이 누구인지를 발견했다. 그는 독거 가운데 사탄의 유혹과 세상의 유혹을 경험하지만 홀로 있기를 통해 모든 유혹을 물리치고 진정한 자기 자신을 발견한다. 둘째, 의식 성찰은 자신의 내면을 바라보는 시간이다. 의식 성찰은 하나님의 영이 우리의 삶 속에서 어떻게 움직이고, 쉬는지를 민감하게 알아차리는 훈련이다. 안토니 우스는 이러한 영성훈련을 자기를 이해하고, 하나님의 이해하면서 영적 변화를 경험 했다. 셋째, 식별(discernment)은 다른 것과 분리 구분하여 바르게 판단하는 능력이다. 식 별은 이해하고, 해석하고, 기술적으로 참되게 적용할 수 있는 힘이다. 안토니우스는 어느 교부보다 식별에 대해 구체적으로 가르치고 있다. 안토니우스는 선한 영의 활동, 악한 영의 활동뿐 아니라 영의 종류, 그 영의 특징, 그리고 교회와 사회의 문제까지, 즉 인간사의 모든 것이 식별의 영역임을 밝혔다. 그는 식별을 통해 하나님의 뜻을 바 로 해석함으로 하나님을 뜻을 이 땅에 실현하는 삶을 살았다. 코로나19로 언컨택트 시대가 성큼 다가왔다. 언컨택트의 시대에 한국교회가 어떻 게 신앙생활을 해야 할 것인가. 안토니우스의 생애에 밝혀진 네 가지 영성훈련이 우 리의 신앙생활에 새로운 길을 제시해 줄 것이다. 무엇보다 안토니우스의 영성생활인 홀로 있기 훈련, 의식 성찰, 금욕, 식별의 훈련은 특히 언컨택트 시대를 살아가는 신 앙인들의 영적인 갈증과 해결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thesis will explore the spiritual training in the life of Antonius, an Egyptian Desert Father, who is also known as the Father of All Monks. The study of Antonius’s spiritual training was regarded as the prototype of the early Christian spiritual lif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larify the meaning of this spiritual training through systematic analysis and classification of the spiritual training in “The Life of Anthony” Antonius’s spiritual life is, firstly, a reclusive life that allowed him to meet God and the world alone. Antonius discovered who he truly was through “being alone”. While being alone, he experienced the temptations of Satan and the world. However, he resisted all temptations and found out who he truly was through “being alone”. Secondly, Antonius practised consciousness examen which is the practice of looking at your inner self. Consciousness examen is a discipline that allows one to recognize how the Spirit of God moves and rests in our lives. Antonius’s spiritual training is now appearing in the form of the the “Jesus Companion Diary” in the Korean church. Thirdly, Antonius emphasises on the importance of discernment and teaches more specifically about it than any other Desert Fathers. Discernment is the ability to judge correctly by separating from others. Antonius reveals not only the activities of the good and evil spirits but also the type and characteristic of spirits. He teaches that the problems of church and society, that is, everything in human history, is in the realm of discernment. With Covid19, the era of uncontact has come. How should the Korean church live a spiritual life in the age of uncontact? Shouldn’t we find a way in this spiritual training that Antonius sought in the Bible?

      • KCI등재

        요한 카시아누스의 영성지도와 방법에 대한 연구

        유재경 한국실천신학회 2019 신학과 실천 Vol.0 No.63

        A term “soul-care” best describes the meaning of spiritual direction. Soul care is an all round process where through a soul’s healing, advocacy, reconciliation and guidance, one gets closer to the Holy trinity God. Desert Fathers share the purpose of abstinence with the spiritual direction. The spiritual direction of the early churches were guided by the teachings of the directors and elders, and by the church community. The monks who went out to the desert received teachings and spiritual direction through personal relationships with the spiritual Abba and spiritual Amma. Through the life in the desert of Egypt, John Cassian systematised and compiled a survey of the lives and spiritual direction of the Desert Fathers. He claimed that a person who disregards mentor’s teachings, and disobeys rules and regulations that need tobe obeyed, cannot fulfil on the road of spiritual path. More importantly, we can see that there are methods of spiritual direction in his writings. Methods that can lead to fulfilling the purpose of spiritual direction – a spiritual transformation, or deification. Some other methods can include 'purification of mind’, ‘devotion of observation’, ‘meditation of beatitude’,’spiritual friendship’, ‘obedience’, ‘humility’, and ’spiritual grace’. However, John Cassian’s methods include ‘purification of mind’, ‘gradual correction’, ‘benefit of flexibility within rigidness’, ‘activities and observation’, and ‘discernment.’ According to John Cassian, ‘purification of mind’ has three broad roles in the spiritual direction. It purifies one’s mind, allows love, and frees one from sins. Also, one needs various abstinence trainings and time in the spiritual direction, but it is a gradual process.’Strictness and condescension’ is one of the concepts in the spiritual direction and it explains that flexibility can remove dangerous sentiments and is important for effective spiritual direction. There is a path of ‘activities and observation’ and one must spiritually lead whilst maintaining the harmony.’Discernment’ plays the role of restoring humans to their true forms through God’s grace. John Cassian’s spiritual direction is not limited to the walls of monasteries. His spiritual direction is centred around monastery communities but it also opens the door for the monasteries – to connect with the world. Therefore, his spiritual direction and methods can also offer guidepost to the modern churches and societies. 영성지도에 대한 학문적 논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목회적 차원의 관심은 여전히 낮다. 학문적 연구도 ‘영성지도의 개론적 이해’와 ‘특정인의 영성지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다. 영성지도의 필요성을 공유하기 위해서는 영성지도에 대한 ‘성경적 기초’와 ‘초기 교회의 이해’를 폭넓게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은 기독교 초기전통인 사막교부들의 영성지도, 특히 요한 카시아누스의 영성을 탐구하므로 영성지도의 기독교적 전통의 근원과 방법론적 특징을 찾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는 한국교회가 나아갈 영성지도의 방향과 방법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카시아누스의 영성지도의 이해와 형태를 탐구를 위해서 먼저 현대 영성지도의 관심과 초기교회의 영성지도의 근원을 찾을 것이다. 영성지도의 의미를 가장 잘 표현하는 기독교적 용어는 ‘영혼의 돌봄’이다. 영혼의 돌봄은 영혼의 치유, 지지, 화해, 지도를 통해 삼위일체 하나님께 나아가는 전인적 과정이다. 사막 교부들의 영성지도는 금욕적인 목표와 깊은 관련이 있다. 초기교회의 영성지도는 감독과 장로들의 가르침과 교회 공동체에 의해서 주도되었다. 또한 사막에 들어간 수도사들은 영적 아버지(abba)와 영적 어머니(amma)와 개인적 관계를 통해 가르침과 영성지도를 받았다. 카시아누스의 영성지도의 방법은 그의 두 작품 『담화집』과 『제도집』 잘 나타나고 있다. 그는 먼저 영성지도의 목적을 영적인 변화(transformation) 또는 신화(deification)에 있다고 밝혔다. 따라서 그의 영성지도의 이해는 영적인 여정의 관점에서 내면의 움직임과 변화를 올바른 방향으로 지도하는데 있다. 이러한 영성지도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방법으로 그는 ‘마음의 정화’, ‘관상에 대한 헌신’, ‘하나님을 관조하는 것’ ‘영적 우정’, ‘복종’,‘겸손’,‘성령의 은혜’등을 제시했다. 하지만 카시아누스의 영성지도의 방법은 ‘마음의 정화’, ‘점진적 교정’, ‘엄정함 속에 유연함의 유익’, ‘활동과 관상’, ‘분별’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우선 그는 ‘마음의 청결’이 영성지도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세 가지 측면에서 밝혔다. 그리고 그는 영성지도의 과정을 점진적 변화로 이해하고 분석했다. 또한 효과적인 영성지도를 위해서는 유연함의 중요성을 강조했을 뿐 아니라 영성지도에서 활동과 관상의 조화롭게 활용해야 한다고 했다. 마지막으로 분별(discernment)의 이해와 역할을 통해 영성지도의 본질을 밝히고 있다. 이와 같이 카시아누스는 다양한 영성훈련 방법이 영성지도에서 어떤 기능을 하는지, 그것을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를 밝히고 있다. 이러한 카시아누스의 영성지도는 수도사들을 위한 것이었지만 세속 교회까지 영향을 미쳤다. 즉 영성지도는 수도 공동체적이지만 많은 면에서 수도원과 세상을 연결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었다. 이러한 카시아누스의 영성지도와 방법론의 탐구는 현대 사회와 교회가 지향해야 할 영성지도의 길을 제시해 줄 것이다.

      • KCI등재

        플라톤의 코라(Chora)의 관점에서 본 성안토니의 생애에 나타난 공간

        유재경 한국교회사학회 2020 韓國敎會史學會誌 Vol.57 No.-

        언컨택트의 문제는 결국 공간의 문제와 연결된다. 코로나19로 성큼 다 가온 언컨택트 시대에 교회는 공간의 문제를 고민할 수밖에 없다. 이 논문 에서는 플라톤의 코라(chora)로서의 공간 개념을 통해 알렉산드리아의 감 독 아타나시오스의 공간이해를 탐구하고자 한다. 특히 아타나시오스가 쓴 성안토니의 생애는 초기 교회의 공간이해에 대해 많은 것을 시사하고 있 다. 따라서 이 논문은 플라톤의 코라(공간) 개념을 바탕으로 아타나시오스 가 쓴 성안토니의 생애에 나타난 공간의 본질과 기능을 논구할 것이다. 플라톤의 코라는 사물과 형상 사이에 있고, 데미우르고스가 형상에 따라 사물을 만드는 공간이다. 플라톤의 코라로서 공간은 텅 빈 공간이 아니라 아직 형태나 성질이 확정되지 않은 혼돈의 상태로 물질들이 미래에 형성될 힘(dynamis)인 가능성이다. 이러한 코라로서 공간은 공간적 측면과 구성적 측면을 함께 지니고 있다. 그런데 아타나시오스는 On the Incarnation에서 플라톤 의 코라의 이미지를 사용하고 있다. 성안토니의 생애에 나타난 사막 공간은 안토니오스 자신이 자신의 깊 은 내면을 직시하는 공간이었고 하나님의 현존을 경험하는 순수한 공간이 었다. 안토니오스의 생애에 나타난 공간의 역할과 기능은 첫째, 자아와 욕망이 드러나는 공간이었다. 안토니오스의 공간은 자기의 기억, 욕망의 실 체를 만나는 자리였다. 그리고 외부의 힘이었던 사탄의 실체가 무엇인지 여실히 드러나는 곳이었다. 코라의 공간은 자기 폭로의 공간, 완전한 타자 를 경험하는 공간, 진정한 자신으로 다시 태어나는 공간이다. 둘째, 안토니 오스는 이 공간에서 자아를 통합하고, 자기 변화를 경험했다. 안토니오스 는 코라의 공간에서 슬픔, 쾌락, 기쁨, 낙담의 마음이 어떻게 순화되고 변 화되었는지를 보여준다. 셋째, 안토니오스의 코라로서 공간은 거룩한 실 체들을 관상하는 곳이었다. 코라(chora)로서 공간은 장소의 개념이 아니다. 코라는 인간이나 사물의 활동 공간을 말하는 것이다. 플라톤의 코라는 생성되는 모든 것에 장소(위 치)를 마련해주면서도 장소에 그치지 않고 존재를 향하고, 수용자로서 생 성의 터가 된다. 공간은 생성하는 곳이면서 생성 그 자체에 관여한다. 아타 나시오스가 이해한 공간 역시 장소적 의미를 배제하지 않지만, 그 공간은 하나님이 역사하는 공간, 인간의 자기 변화를 경험하는 공간, 하나님을 받 아들이는 수용의 공간이다. 이와 같은 공간 이해를 통해 기독교는 코로나 이후의 시대를 대비해야 할 것이다. The problem of uncontact life is ultimately related to the problem of space. In the era of uncontact with Covid19, the problem of space is bound to emerge in church and theology.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understanding of space by Alexandria’s director Athanasius through Plato’s concept of space as chora. Especially, “The Life of St Anthony”, written by Athanasius, suggests a lot about the understanding of space in the early church. Therefore, this paper will discuss Athanasius’ understanding of space, the nature and function of space, based on Plato’s concept of chora (space). Such studies will help us to understand the Christian worship space and find the direction for our church in the uncontact era. Plato’s chora is between objects and shapes and is a space where Demiurges create objects according to shapes. Chora is not an empty space. Chora is the force (dynamis) that gives matter the ability to turn into an undetermined form and property in a state of chaos. As such, space has both spatial and compositional aspects. However, Tanassius uses Plato’s idea of Chora in “On the Incarnation”. The desert space that appeared in “The Life of St Anthony” was a space in which Antonius faced his deep inner self and was a pure space where he experienced the existence of God. The role and function of space in Antonius’ life was, firstly, a space in which self and desire were revealed. Anthony’s space was a place to meet the reality of his memories and desires. And it was a place that clearly revealed the reality of Satan, which was an external force. Chora’s space is a space of self-disclosure, a space to experience the perfect other, and a space to be reborn as a true self. Secondly, in this space, Antonius unified his egos and experienced his transformation. Antonius shows how the heart of sorrow, pleasure, joy and discouragement was purified and transformed in the space of chora. Thirdly, as Antonius’s chora, space was a time to contemplate holy entities. Space as chora is not a concept of place. Chora does not stop at being the space of human or object activity. Plato’s chora provides a place (location) for everything that is created but also directs at existence and becomes a ground for creation as a recipient. Space is a place of creation and is involved in creation itself. Space as understood by Athanasius also does not exclude the spatial meaning, but it is a space where God works, a space where humans experience self-transformation, and a space for acceptance of God. Through expanding the understanding of space, Christianity should prepare for the post covid19 era.

      • KCI등재

        Ductal Carcinoma In Situ within a Fibroadenoma: Microcalcifications Identified on Mammography Play a Crucial Role in Diagnosis

        유재경,김의정,김보미,김은경 대한영상의학회 2016 대한영상의학회지 Vol.74 No.6

        Fibroadenoma is a common, benign tumor of the breast, which is rarely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carcinoma. We report a case of ductal carcinoma in situ within a fibroadenoma in a 38-year-old woman. The lesion was a 1 cm, circumscribed, ovoid mass with internal calcifications evident on mammography and ultrasound, which is commonly found in fibroadenoma, but the calcifications were fine and linear, which is uncommon. This type of calcification is classified as suspicious by the American College of Radiology Breast Imaging-Reporting And Data System, and it is often correlated with comedo necrosis of ductal carcinoma, and, so, requires immediate pathologic confirmation. In our case, careful analysis of the unusual calcifications led to appropriate intervention and diagnosis. Radiologists should be aware that fibroadenomas can be malignant, and they should look for suspicious microcalcifications within a fibroadenoma.

      • KCI등재

        영성의 연구 경향과 전망

        유재경 한국실천신학회 2010 신학과 실천 Vol.0 No.24

        지난 30년 동안 영성에 대해 활발한 논의가 대학과 교회에서 진행되어 왔고 수 없이 많은 저술들이 쏟아져 나왔다. 그러나 영성의 정의와 학문적 방법론에 대해 통일되고 일치된 견해를 찾을 수 없다. 영성이란 용어가 처음 바울서신에 사용된 이래 오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었다. 영성은 역사적 환경과 신앙 전통에 따라 각기 다른 측면이 강조되었다. 20세기 후반에 이르러 영성은 전문적 학문의 대상으로 활발하게 논의 되고 있다. 특히 슈나이더는 인류학적 관점에서 영성을 정의하고 그 본질의 분석했다. 무엇보다 그녀는 영성의 연구 방법론은 다양한 학문들과 상호관계 속에 있음을 밝혔다. 따라서 그녀는 영성의 본질적 특성과 방법론 때문에 신학의 한 분야가 아니라 독립된 학문의 장르가 되어야 한다고 했다. 그러나 한슨은 영성 연구는 신학 안에서 연구될 수 있는 신학의 한 분야로 영성신학이라고 명명하는 것이 더 타당하다고 했다. 이러한 한슨의 연구는 계시와 기독교 전통의 맥락에서 영성을 이해함으로 포스트모던의 다원성과 개인의 주체적 경험에 대한 이해를 제한시켰다. 그러나 로너간의 신학적 방법론을 통한 영성의 연구는 전자와는 확연히 다른 차원에서 영성을 접근하게 만들었다. 그의 방법론에 따르면 영성의 본질에 대한 질문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 그는 영성 연구의 방법론을 통해 슈나이더와 한슨이 주장한 인류학과 신학적 접근은 통합시켰다. 그가 주장한 초월론적 방법은 영성의 정의와 다양한 방법론을 포괄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그는 의식과 지향이라는 마음의 작용을 통해 진리를 찾는 초월적 방법론이 신학과 영성연구의 새로운 도전이 될 것이다. 로너간의, 인지론적, 인식론적, 그리고 형이상학적 질문을 통해 초월적 학문의 길을 걸었다. 내가 인식할 때 나는 무엇을 하는가? 나의 행동을 왜 인식하는가? 내가 행동할 때는 나는 무엇을 인식하는가? 우리는 로너간의 이 세가지 질문에서 영성의 학문적 본질과 방법론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