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서울시 만성질환의 개인 및 지역수준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유서영,김동현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23 國土計劃 Vol.58 No.7

        본 연구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근린사회를 나타내는 읍면동 단위에서의 건강불평등의 양상을 확인하고, 건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요인과 지역요인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지역요인 중 도시민의 건강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생활 인프라에 대한 접근 기회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건강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로는 현재 삶을 영위하는 거주민들의 객관적인 건강수준과 해당 지역의 효과를 파악하고자 주요 만성질환(고혈압 또는 당뇨병) 유병 여부를 사용한다. 이를위해 지역사회건강조사를 활용하여 서울시 행정동 간에 발생하는 건강불평등의 양상을 확인하고, 이후 지역 구성원의 개인 특성과 지역의 종합적인 특성이 건강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로지스틱 다층모형을 이용하여 살펴본다. 본 연구는 하위 공간단위로 갈수록 심화되는 건강불평등의 양상을 파악한다는 점, 그리고 건강과 신체활동에 밀접하게 연관된인프라에 대한 절대적인 수뿐만 아니라 실제 도로망을 통한 각 시설까지의 도보 접근성을 고려하여 관계성을 파악한다는 점에서차별성을 가진다. 본 연구는 기존의 시·군·구 단위보다 더 하위공간단위에서 건강지표를 진단하고 영향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도시의 건강관련 계획과 정책 수립의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기대된다. 또한 개인의 건강이 의료 및 보건학적 접근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시 및 지역적 차원의 노력이 함께 추진될 필요가 있다는 기존 논의를 뒷받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건강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도시계획 측면에서의 인프라 공급 정책 방향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identify health inequalities in Seoul and individual and regional factors affecting the health of the city’s residents. The study focuses on opportunities to access health infrastructure on a universal basis in a way that can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 the health of local residents. The unit of analysis was a space where the locals use physical facilities and live their daily lives, and the analysis focused on a representative small-area community. As an indicator of health level, it was set as a major chronic disease, which is a practical health indicator of current residents. First, the serious degree of health inequalities between administrative districts in Seoul as measured by the Small Area Estimation indicates both the need for diagnosis of health indicators and specific solutions at the microscopic spatial level. In addition, a comprehensive multilevel examination of individual and regional factors affecting health indicates that the lower the individual’s socioeconomic capabilities,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chronic disease prevalence. Inappropriate health behaviors such as smoking and obesity are also associated with a higher probability of chronic disease prevalence. Conversely, the higher the socioeconomic status of the region, the lower the probability of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In particular, access to public sports facilitie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health level. This indicates that the problem of health inequality can be solved by providing equal access to health resour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underscore the need to diagnose health indicators at a microscopic spatial level in order to establish specific and effective policies for the health of local residents. The study is also significant by suggesting what direction local health resource supply should take to resolve health inequality.

      • KCI등재

        지역경제의 구조적 요인이 기업성과(기업매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다층모형을 이용하여

        유서영,김동현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22 지역산업연구 Vol.4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우리나라 기업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 및 지역 수준의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사업체 패널조사 자료와 다층모형을 이용하여 기업 내부 요인과 지역의 산업 구조적 요인을 해당 지역에 위치하는 기업 매출성과와 연관시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기업구조적 특성 중에서는 전문경영인의 여부, 기업의 규모가, 기업의 재정적 특성에서는 기업의 보유자산과 인적자본에 대한 투자가 기업의 매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지역적 특성 중에서는 지역의 경제 규모를 의미하는 1인당 실질 GRDP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지역의 관련 있는 다양성과 관련 없는 다양성 등의 지표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에 지역경제 성장 요인으로 논의되던 다양성과 특화의 요인이 해당 지역에 위치한 기업의 성과에는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하지 못하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지역 내 기업의 성장을 위해서 요구되는 지역적 요인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MZ세대 소비자의 불매운동에 대한 연구: 침묵의 나선이론을 중심으로

        유서영,남영운,이진명 한국소비자학회 2023 소비자학연구 Vol.34 No.6

        Generation MZ, which has recently emerged as a mainstream consumer group, is sensitive to ethical values and fairness, actively expresses opinions on boycotting companies that violate labor rights, and is influenced by each oth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boycott- related factors of consumer efficacy, altruistic values, and safety orientation, as well as the Silent Spiral Theory variables of perceived opinion support and fear of isolation, on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boycotts against labor rights violators. We also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evaluation sensitiv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pinion support and fear of isolation and boycott particip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601 adult consumers aged 20-39.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ere conducted using the STATA SE 17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perceived opinion support among the silent spiral theory variables and consumer efficacy and safety orientation among the boycott-related factor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boycotts against labor rights violator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enhances the understanding of boycott participation behavior of MZ consumers who value ethical values and fairness, and applies the spiral of silence theory to explain their market participation behavior.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basis for strengthening consumer sovereignty by realizing the right of MZ consumers to express their individual opinions in the mark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