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록(靑綠), 도가의 선약, 선계의 표상 ― 청록과 청록산수화의 행위자성(Agency)

        劉美那 ( Yu¸ Mi-na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1 大東文化硏究 Vol.115 No.-

        이 연구는 청록산수화의 녹·청색 안료를 이루는 남동광과 공작석이 예로부터 의료용 약재이기도 하고 도가의 단약에 쓰이는 仙藥이기도 했던 점을 문헌을 토대로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청록의 색채와 안료, 그리고 청록산수화에 함축된 도가적 상징을 고찰하였다. 石靑·石綠으로 대별되는 청록의 안료는 주요 本草書에 空靑·曾靑·扁靑·白靑 등의 石類 약재로 이름을 올리고 있으며, 輕身, 延年, 不老 등의 효능과 심지어 神仙으로 화한다는 효능이 명시되어 있어 예로부터 仙藥으로 인식되었음을 말해준다. 실제로 金丹을 연조해서 수명을 연장시키고자 한 금단도에서 주요 선약으로 일컫는 五金八石에 空靑이 포함되어 중시되었던 점이 주목된다. 또한 조선시대 문학에서 선경을 묘사한 修辭 중에 유독 ‘碧’·‘翠’·‘蒼’·‘靑’·‘綠’의 색채어가 적극 사용된 점이 주목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청록산수화에 표현된 청록의 산과 바위는 공청·증청 등의 선약과 불로장생과 우화승선의 약효를 연상시켰을 것이고, 선계의 시각적 재현으로 이해되었을 것이다. 이 연구는 미술의 사회적 관계망(Art Nexus) 속에서 물질 지표(Index)인 청록 안료와 청록산수화가 능동적 주체로서 화가와 감상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행위자성(agency)에 대한 고찰의 일환으로 기획되었다. The Azurite and the Malachite consist the major pigments for the Blue-and-green Landscape, but they have also been the drugs and medicines for remedy and at the same time the Daoist Elixir to attain immortality. This paper tries to track the ancient records related to the azurite and the malachite and see how and when they were associated with the Daoist connotation. The study began with examining the color names and pigment names in the ancient writings, and then the medicine names in the classic medical books. The names kongqing(空靑)·zengqing(曾靑)·pianqing(扁靑)·baiqing(白靑) were listed in such medical books as Shennong-bencaojing(神農本草經)·Bencaojing-jizhu(本草經集注)·Materia Medica(Bencao gangmu, 本草綱目). They were cited as having such medicinal effects as ‘light body’, ‘prolonged life’, ‘eternal youth’ and even ‘the transcendence to an immortal being’. This attests to the understanding that the above mentioned medicinal stones were also major ingredients for the Daoist Elixir. Moreover, in the poems and proses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characters belonging to blue and green such as bi(碧)·cui(翠)·cang(蒼)·qing(靑)·lu(綠) were frequently used to describe the immortals’ land. In such circumstances, the blue and green colors applied on the mountains and rocks in the blue-and-green landscape must have been associated with the mystical medicines such as kongqing(空靑) and zengqing(曾靑) and their longivity effect, as well as the representation of the immortals’ land.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nd out the material index blue-and-green pigments and the blue-and-green landscape serving as Agent in the Art Nexus and affecting the Recipients; painters and viewers.

      • KCI등재

        한국과 프랑스의 초등 교과서 문법 교육 비교

        유미향 ( Mi Hyang Yu ) 국어교육학회 2012 國語敎育學硏究 Vol.44 No.-

        본 연구는 한국의 초등 국어의 문법 영역을 구현하기 위해 프랑스의 블랭 출판사의 초등 문법 교과서를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현행 한국의 초등 국어 교과서 속에 문법 교육이 어떻게 구성되었는지 살펴보고, 이를 프랑스의 초등 문법 교과서와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를 토대로 새롭게 개발하는 초등 국어의 문법 교육을 위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기하였다. 첫째, 새로운 국어 교과서 편제를 재고해야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현행 국어 교과서는 기능 중심의 분권화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2011 교육과정의 국어교과는 ``국어``와 ``국어생활``이라는 교과서 편제를 갖게 된다. 이전과는 차별된 형태를 위하여 본교재와 보조교재식의 구성이 아닌 새로운 형태의 교과서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프랑스의 초등 국어 교과서 편제인 ``문학(말하기, 읽기, 쓰기)``, ``문법`` 구성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초등 국어의 문법 영역을 구현하는 단원을 재고해야 한다. 현행 초등의 국어 교과서 단원은 영역 간의 통합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문법 영역은 통합의 정도가 매우 약하며,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성취기준이 제대로 반영된 예가 드물다. 그러므로 문법 영역이 갖고 있는 고유한 특성을 고려한다면 내용 요소들을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문법 단원이 필요하다. 셋째, 문법 영역의 세부 내용 요소를 재고해야 한다. 현재의 초등의 문법 교육은 중등 교육과정과 같은 세부 영역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교과서 체제나 단원 구성 방식과 매우 다르다. 교과서 편제상으로 문법 영역은 어느 곳에서 속하지 못하며, 또 각각의 세부 영역은 학년별, 학기별로 반영하고 있는 성취기준이 불규칙적이다. 그러므로 초등 문법 교육에 필요한 실제적인 학습을 위해 세부 내용 요소를 재편하야 할 것이다. 2011 교육과정이 반영된 국어 교과서는 새로운 책제로 인하여 내적 변화의 시도, 문법 교육의 세부 영역 확보, 문법 영역이 반영된 교과서 단원 구성 등에 대한 의견을 제기하였다. 그러므로 초등 국어의 문법 교육을 다양한 연구들이 필요한 시점이다. 앞으로 변화될 교과서 편제가 외형적 변화가 아닌 국어 교과의 내적 변화를 가져다 줄 것을 기대하다. This article analyzed the French textbook and curriculum with the purpose of further diversifying and developing the Korean grammar curriculum and elementary textbooks. It focuses on the view of grammar of textbook systems and unit composing systems.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article provides Korean education with some important implications: (1) To reconsider the new construction of textbook. It has two kinds of external structure in new Korean textbook:the one is Korean, the other is living Korean. However, it has no information how to organize and where to arrange grammar education. (2) To reconstruct the grammar unit for new textbook. Actually the grammar education is of little importance in elementary textbook. Therefore it needs to study deep on how to make the integration unit. (3) To reconsider the contents of grammar curriculum. The grammar education in french curriculum has four sub-domains:grammar, orthography, vocabulary, conjugation. Thus, it has been constructed a grammar unit that integrated with four sub-domains. Now, the new elementary textbook is being developed in Korea. It needs more to focus on the grammar education of the elementary textbook while the former textbook didn`t do. There has studied deep on the grammar education how to make the contents of textbook and where to make the grammar unit.

      • 유전학에서의 우성의 개념과 생물교과교육

        유미정(Mi Jung Yu),정은(Eun Jung),조은희(Eun Hee Cho) 조선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7 敎科敎育硏究 Vol.28 No.1

        Teaching the concept of genetic dominance is challenging in several aspects. The metaphor of dominance not only promotes several misconceptions but also misleads cultural perspectives of inheritance. The concept of genetic dominance itself has provoked much debate. It is clear now that a certain phenotype is expressed by complex interactions between the two alleles as well as interactions among many genes in the cell. In addition,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e the phenotype. It is therefore especially important for students to understand the complex and dynamic relationships between genotypes and phenotypes. The science textbooks currently being used in middle schools, however, introduce the concept of dominance as the law of dominance . No other biology or genetics textbooks used at the college level describe the law of dominance as one of Mendel s laws. The concept of dominance should rather be understood as an operational definition than be given as a natural law. Before revising textbooks for the 8th Curriculum, we need to redefine what to teach and how to deliver it for better understanding of inheritance.

      • KCI등재
      • 지방정부 여성공무원 보직운영에 관한 연구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지방정부 여성공무원 보직운영에 관한 연구

        유미복(Yu Mi-Bok),이기숙(Lee Gee-Sook) 신라대학교 여성문제연구소 2008 젠더와 사회 Vol.19 No.-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산광역시 여성공무원 보직운영(補職運營)에 대한 실태를 조사ㆍ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함으로써 부산광역시 여성공무원 인사 정책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나아가 여성공무원의 보다 효율적인 활용으로 행정조직의 경쟁력 제고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 일반직 여성공무원 233명이며 설문조사를 통하여 공직생활 인식, 보직만족도, 보직배치의 공정성, 보직분류도에 따른 인식, 희망보직 등을 파악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여성공무원의 공직생활에서 가장 큰 어려움은 가사나 육아, 노인부양에서의 문제로 나타났다. 또한 관리자로서의 자질을 함양하기 위한 경력 개발에 대해서는 90.5%가 경력개발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둘째, 여성공무원의 보직만족도는 보통수준 이였다. 보직만족도는 직급과 연령이 높을수록 증가하였고, 학력이 높을 때, 기혼일 때 보직만족도가 높았다. 셋째, 여성공무원들은 보직배치의 공정성에 대하여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보직배치의 공정성에 대한 인식 정도는 7급일 때 가장 낮았고, 9급보다는 8급에서, 그리고 8급보다는 6급 이상에서 높게 나타났다. 넷째, 보직분류도에 따른 보직실태를 분석한 결과 여성공무원들은 대체적으로 중요업무로 인식되지 않는 부서에 편중되어 있었다. 첫 보직의 경우 다사소익(多事小益)보직에 63.9%가 배치되었고 소사소익(小事小益)보직에 22.3%가 배치되어 86.2%가 중요부서로 인식되지 않는 보직에 배치되고 있으며, 현 보직에 있어서도 다사소익보직에 58.7%가, 소사소익보직에 18.7%가 배치되어 77.4%가 중요부서로 인식되지 않는 보직에 배치되고 있었다. 다섯째, 여성공무원이 보직을 희망할 때 출산ㆍ양육의 부담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공무원들은 희망보직에 있어서 예산, 회계, 기획, 문화관광, 국제협력, 여성관련, 인사, 민원 등 각 보직별로 고른 분포를 보였다. 또한 여성공무원들은 첫 보직으로는 업무량도 많고 주요부서로 인식되는 보직을, 출산ㆍ양육시기에는 업무량이 적고 주요부서 로 인식되지 않는 보직을 가장 적합하다고 답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에서 도출한 개선방안으로 첫째, 여성공무원의 출산ㆍ양육 등 가정생활과 효율적인 직장생활과의 양립을 위한 적극적인 조치로써 육아휴직 시 대체인력 확보 강화, 직장보육시설 확충, 자녀보육비 지원 확대를 제안한다. 둘째, 여성공무원을 대상으로 여성공무원의 리더십 및 직무수행능력 개발을 위한 교육훈련사업 등 별도의 교육과정이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여성공무원의 특정한 보직 편중현상 해소와 여성생애과정과 일이 일치되도록 보직을 배려하기 위해 첫 보직에서는 중요보직으로 배치하여 업무경력을 쌓게 하고 출산 양육시기에는 업무량이 적은 보직배치를 고려해 볼 필요가 있으며 여성공무원의 희망보직 모니터링과 보직관리 프로그램 개발도 검토되어야 한다. 넷째 가족친화적인 문화 형성과 남성중심의 조직문화개선을 위해 조직문화 혁신팀을 구성 운영하는 것도 한 방안으로 제시되며, 다섯째, 여성공무원 인사관리지침의 이행과 관련한 별도의 평가시스템 구축으로 여성공무원 인사관리지침의 내용들이 실효성을 거둘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개선방안이 이행될 때 행정의 효율성 제고는 물론이고 여성공무원들의 사기진작과 직무 This thesis aims to suggest a way to improve personnel management in female public servants of Busan metropolitan city through investigations and analyses on the conditions of female public servants placement, and this would contribute to reinforce competitiveness of administrative organization by using female public servants in more efficient way. 233 people of general female public servants were engaged in the research.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a questionnaire about their cognizance of a public career life, placement satisfaction, fairness in placement disposition, cognizance of placement classification and wishful placement and it resulted in the below. First, the hardest thing in their public career lives turned out as household affairs, child-care and supporting old people. In addition, 90.2% of them felt the need of career development for being a well-qualified manager. Second, their satisfaction in the placement was the average. The higher their status, scholastic ability and age were, the more they were satisfied, and the tendency was the same when they were married. Third, they thought the placement disposition was not fair. The 7-leveled public servants gave the most negative response to the question and 9, 8, above 6-leveled followed after. Above 6-leveled servants recorded the highest. Fourth, I analyzed the placement conditions according to the placement classification and the result showed that they were generally distributed in places which are considered not important. At the first placement, 63.9% of them were placed at positions where they had many duties which weighed little, and 22.3% of them were placed at positions where they had little to do as well as little weighed. 86.2% of female servant were placed at positions considered not as being important. It was almost the same with the present placement. 58.7% of female servants are working on many stuffs that had no great importance, and 18.7% of them are with little work of little importance. Fifth, it was found that they were influenced by a matter of childbirth and care most when they wish the placement. Moreover, their wishes for the placement ranged evenly in each placement; a budget, accounts, planning, the culture and tourism, international relations, women related affairs, human resource administration, civil applications. In addition, they replied that important and high loaded work is proper for the first placement, and low loaded work of less importance is for the period of childbirth and care. With this result, the thesis suggests five ways to improve the conditions. First of all, as active actions, reinforcement of substitute-human resources at the time of their child-care off, expansion of day-care centers at work, and enlargement of financial support for child-care are needed for a well-balanced life between their home and work. Secondly, like a training course, some special educational programs targeting on development of female public servants" leadership and capability must go into an operation. Thirdly, it"s the better idea to place them at important positions at their first placement and let them have much experience there, and relatively at the time of childbirth and care, they should be given with less work. This is going to work on a decline in poor distribution of female public servants. At the same time, it"s also important to monitor their wishes for the placement and develop a placement managing program Fourthly, making a team for an organization culture innovation should come into a consideration, and this has two purposes; one is formation of family-centered culture and the other is improvement in male-oriented organization culture. Finally, by building a special evaluation system related fulfillment of principles of female public servants personnel management, the cont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전문적학습공동체에 관한 이론적 탐색에 관한 연구

        유미라(Mi Ra Yu),김제현(Je Hyun Kim)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2020 지방교육경영 Vol.23 No.3

        본 연구는 문헌분석을 활용하여, 전문적학습공동체 개념적 이해에 초점을 맞추어 전문적학습공동체에 대한 이론적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첫 번째로, 전문적학습공동체 도입배경 측면에서 전문적학습공동체는 학습조직이라는 용어에서 태동하였으며, 학습조직의 공통적인 특징으로서 1) 의도하는 목적, 2) 집단적이고 지속적인 학습, 3) 질 높은 집단사고 과정의 중시는 학습공동체에 대한 접근 방향 혹은 시각을 제시해 주는 측면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두 번째로, 개념적 용어 사용 측면에서, 교사학습공동체와 전문적학습공동체라는 완전히 구분되는 별개의 용어라고 이해되기보다는, 강조점을 달리하는 유사 용어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세 번째로, 전문적학습공동체 개념과 관련한 쟁점 측면에서 공동체/전문성/학습 등 3가지 사안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우선, 공동체의 범위 상 지역사회 차원의 공동체를 지향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교사전문성 개념은 교직 재개념화 측면과 연계된 논의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공동체적 학습이 추구하는 범위는 학교 체제와 문화의 재구조화 차원까지 폭넓게 규정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전문적학습공동체를 운영한다는 것은 단위학교 내 교수-학습 차원의 교사협의회 수준보다는 보다 성숙한 전문적학습공동체를 추구하기 위해서 지역사회 차원의 지역공동체를 지향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theoretically search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focusing on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using literature analysis. First, in terms of the background of introduction of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was born in the term of a learning organization, and as a common characteristic of a learning organization, 1) intended purpose, 2) collective and continuous learning, 3) a high-quality group thinking process. The importance of ethics should be understood as an aspect that suggests a direction or perspective on the learning community. Second, in terms of the use of conceptual terms, it is reasonable to see them as similar terms with different emphasis rather than to be understood as completely separate terms of teacher learning community an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hird, in terms of issues related to the concept of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t was divided into three issues: community/specialty/learning.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aim for a community at the community level in terms of the scope of the community. Next, the concept of professionalism needs to be discussed in connection with the reconceptualization aspect of the teaching profession. Lastly, the scope of community learning needs to be broadly defined to the level of restructuring the school system and culture. In conclusion, to operate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t is necessary to aim for a local community at the local level in order to pursue a more matur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han at the level of a teacher council at the level of teaching-learning within a unit school.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