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블렌디드 러닝이 한국 대학생들의 연어능력과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유문영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4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blended Learning effects on learners’ English collocation proficiency according to their English proficiency and to survey their satisfaction. 113 college students take part in it while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A survey was administered in order to measure three variables. The results are the following. First, Experimental has much higher scores than Control in English collocation. Second, according to English proficiency, it h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llocation capability of low-level group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Third, High and Middle are even higher than Low in satisfaction. As a result, it is suggested that Blended Learning method should be more widely used for English education than traditional teaching method and also more various class materials be developed for this.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능숙도에 따라 블렌디드 러닝이 학습자들의 연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지와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학습만족도가 어떠한지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113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험반과 통제반으로 나눠 진행되었다. 블렌디드 러닝을 통한 연어능력을 측정하고, 만족도를 조사하기 위해 설문을 실시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반과 통제반 간의 연어능력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영어능숙도에 따른 연어능력에서는 실험반과 통제반 사이 하위그룹에서 연어능력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만족도가 하위그룹보단 중상위 그룹에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영어교육에 있어 전통적인 강의식 교수법 보다는 블렌디드 러닝 교수법을 통한 수업이 보다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과 이에 대한 보다 다양한 교재개발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 KCI등재

        RNAi Suppression of RPN12a Decreases the Expression of Type-A ARRs, Negative Regulators of Cytokinin Signaling Pathway, in Arabidopsis

        유문영,조석근,김우택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2009 Molecules and cells Vol.28 No.4

        The 26S proteasome is a 2-MDa complex with a central role in protein turn over. The 26S proteasome is comprised of one 20S core particle and two 19S regulatory particles (RPs). The RPN12a protein, a non-ATPase subunit of the 19S RP, was previously shown to be involved in cytokinin signaling in Arabidopsis. To further investigate cellular roles of RPN12a, RNAi transgenic plants of RPN12a were constructed. As expected, the 35S:RNAi-RPN12a plants showed cytokinin signaling defective phenotypes, includ-ing abnormal formation of leaves and inflorescences. Fur-thermore, RNAi knock-down transgenic plants exhibited additional unique phenotypes, including concave and heart-shape cotyledons, triple cotyledons, irregular and clustered guard cells, and defects in phyllotaxy, all of which are typical for defective cytokinin signaling. We next examined the mRNA level of cytokinin signaling compo-nents, including type-A ARRs, type-B ARRs, and CRFs. The expression of type-A ARRs, encoding negative regula-tors of cytokinin signaling, was markedly reduced in 35S:RNAi-RPN12a transgenic plants relative to that in wild type plants, while type-B ARRs and CRFs were unaffected. Our results also indicate that in vivo stability of the ARR5 protein, a negative regulator of cytokinin signaling, is me-diated by the 26S proteasome complex. These results suggest that RPN12a participates in feedback inhibitory mechanism of cytokinin signaling through modulation of the abundance of ARR5 protein in Arabidopsis.

      • KCI등재

        Get 의미와 연어 연구 -NIV 영어성경 복음서를 중심으로-

        유문영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1

        본 연구에서는 NIV 영어성경 4복음서에서 사용된 동사 get의 사용 의미와 연어들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방법은 워드스미스 6.0 말뭉치 분석도구를 이용해 get의 사용 빈도와 주요 의미들을 살핀 후 결합하는 다양한 연어들의 특징을 살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get의 사용이 성경 전체 가운데 4복음서에서 가장 높았고, 복음서 중에서도 누가복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get의 의미가 ‘Motion’, ‘Onset of Possession’, ‘Inchoative’ 순으로 각 높은 빈도를 보였다. 셋째, get의 좌측에는 명사류가 높은 결합률을 보였고, 우측에서는 자동사 역할을 위해 부사 ‘up’과의 결합률이 높았다. 본 연구에서 제언하는 바는 세계화 시대에 영미문화권의 이해와 모국어처럼 유창한 의사소통 교육을 위해 더욱 다양한 고빈도 어휘 중심 연구가 쉬운 영어성경을 통해 이루어 질 필요가 있다. The aim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requency, meaning, and collocates for get used in gospel in the NIV English Bible. For this method, it is analyzed by WordSmith Tools 6.0. The research questions are about how frequently the verb get is used in NIV English Bible, secondly, in what meanings it is used, and thirdly, by what it is colloca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get is most frequently used in four Gospels of the total, while it is most frequently used in Luke among fours. Secondly, get is most frequently used as the meaning of ‘Motion’, ‘Onset of Possession’, and ‘Inchoative’ in order. Thirdly, get is most frequently collocated on the left by pronouns and nouns in order, while it is most frequently collocated on the right by adverb up. It suggests that in the era of globalization, more diverse high frequency vocabulary-oriented research needs to be done through the easy English Bible for understanding the Anglo-American culture and education of fluent communication like mother tongue.

      • KCI등재

        NIV 영어성경에서 사용된 Make 의미와 연어 연구

        유문영 ( Moonyoung Yoo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3

        본 연구는 NIV 영어성경 4복음서에 사용된 make의 빈도수, 의미, 연어들을 조사한다. 이 연구를 위해 WordsSmith Tools로 분석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NIV 4복음서에서 make는 얼마나 자주 사용되는가? 둘째, NIV 4복음서에 사용된 make는 주로 어떤 의미로 사용되었는가? 셋째, NIV 4복음서에 사용된 make의 연어들의 특징은 무엇인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make 동사 사용은 성경 전체 약 18.5% 이었고, 마태, 요한, 누가, 마가복음 순이었다. 둘째, make의 의미는 ‘Causative(69)’, ‘Productive(25)’, ‘Delexical(18)’ 순으로 사용되었다. 셋째, make 좌측에는 등위 접속사(19), 대명사(14), be, have 등의 기능어 순이었다. 우측에는 make의 의미를 결정짓는 문법적 문장구조 순이었는데, ‘목적어+목적격 보어’ 형태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본 연구가 시사하는 바는, 영어성경이 의사소통을 위한 글로벌 영어교육에 중대한 교과서가 될 수 있고, 기본 어휘 및 구문 학습에 효과적일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frequency, meaning, and collocation of make used in 4 Gospels in NIV English Bible. This is analyzed by WordSmith Tools. The research questions are firstly, how frequently the verb make is used in NIV English Bible, secondly, in which meanings make is used in it, and thirdly, by what make is collocated in i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make is frequently used by 18.5% only in 4 Gospels, compared with the whole, and in Matthew, John, Luke, and Mark in order. Secondly, make is frequently used in the meaning of causative, productive, and delexical in order. Thirdly, it is frequently collocated by coordinative conjunction, pronoun, be, and have in order on the left, while most frequently collocated on the right by the grammatical structure, Object+ Complement. As a result, it is suggested that the English Bible can be one of the most effective textbooks for global English education for the communication in the world.

      • KCI등재

        영어성경에 사용된 동사 연어 분석 -make, get, take를 중심으로-

        유문영 ( Moonyoung Yoo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성경에서 사용된 동사 make, get, take의 사용 빈도수와 결합 유형 및 의미들을 연구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은 워드스미스를 이용해 이 동사들의 사용빈도와 결합하는 유형들을 살피고 이들의 의미적 특징을 살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성경에서 take, get, make 순으로 높은 출현율을 나타냈다. 둘째, make, get, take와 결합하는 연어 유형에서는 make+NP+Adj, get+(목)+Prep, take+NP가 가장 높은 출현율을 각각 나타냈다. 특히 영어성경에서의 take+NP 유형의 출현율은 원어민 말뭉치에서의 출현율과 일치했고, ‘이동하다’, ‘옮기다’의 의미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제언하는 바는 영어성경이 고빈도 동사들의 연어학습에 효율적인 교재가 될 수 있고, 더 나아가 기본 어휘들을 반복적으로 학습하기 위한 학습 도구로 충분히 활용될 수 있다는 사실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requency, collocation types and meanings of the verbs make, get, and take used in the English Bible. In the research method, WordSmith is used to examine the frequency of each verb and its collocation types, and to examine its meaningfu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nglish Bible showed a high rate of appearance in order of take, get, and make. Second, in collocation types combined with make, get, and take, make+NP+Adj, get+(O)+prep, and take+NP showed the highest rate of appearance, respectively. In particular, the appearance of take+NP types in the English Bible was consistent with that in native-speaking corpus, and was most often used in the sense of 'to move' and 'to carry'. What this study suggests is that the English Bible can be an efficient textbook for collocation learning for high-frequency verbs, and, furthermore, it can be fully utilized as a learning tool to learn basic vocabulary repeatedly.

      • KCI등재

        한국 EFL 학습자 과수동화 연구: 비대격동사의 영향을 중심으로

        유문영 ( Yoo Moon-young ),엄철주 ( Uhm Chul Joo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4

        이 연구는 한국 EFL 학습자들의 비대격 동사(Unaccusatives) 사용에서 나타나는 과수동화 현상의 원인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내/외부요인, 타동사 전환여부, 그리고 영어 능숙도가 과수동화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았다. 한국 EFL 학습자를 대상으로 문법성 판단 시험(GJT)을 실시했다. 이어서 학생들의 대입수학능력시험(SAT) 영어 등급에 따라 상위, 중위, 하위 세 그룹으로 나누었다. 결과는 내/외부 요인과 타동사 전환여부 요인은 각각 과수동화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영어 능숙도에 따른 세 그룹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세 그룹중 중위 그룹의 학습자들이 가장 많은 오류를 범하는 U자 형태의 학습발달 과정을 나타냈다. 중위 그룹의 학습자들이 동사 자체의 고유 성질, 주어 행위성, 모국어 간섭 등에 의해 가장 많은 혼동을 느끼며 오류를 많이 범한 것으로 보인다. 종합하면, 과수동화 현상 원인들을 고려할 때, 언어적 요인들뿐 아니라 다른 비언어적 요인들이 큰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결론지을 수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과수동화오류 현상에 관해 언어적 요인들과 더불어, 다른 추가적인 비언어적 요인들까지 포함하여 더욱 분석해볼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y Korean EFL learners overpassivize English unaccusatives. To identify learners` overpassivization patterns, it attempts to find out whether the external and internal causation, alternation of verbs, and English proficiency affect the error pattern. Grammaticality Judgement test with 30 items was conducted on 183 Korean EFL learners from G University. They are divided into three groups(High, Middle, and Low) by their English grades on Korean SAT. The experiment shows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rrors between the external and internal causation and between alternating and non-alternating unaccusatives. However, it demonstrate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rrors among the threes. The middle group made the most errors among the threes, thereby demonstrates the U-shaped learning development. Taking into account th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non-linguistic factors may affect their overpassivization. In future studies, non-linguistic factors should be more

      • KCI등재

        한국 대학생들의 경동사 사용에 관한 연구

        유문영 ( Moonyoung Yoo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5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들의 영어능숙도에 따른 경동사 take와 make 사용 실태와 특징을 살피는 것을 목표로 한다. 76명의 한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수능 영어등급에 따라 각 그룹을 나눠 경동사에 대한 연어능력을 조사하였다. 첫째, 한국 대학생들의 영어능숙도와 경동사 연어능력과 상관관계가 있는가를 살핀다. 둘째, 경동사 연어능력이 take와 make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살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 대학생들의 영어능숙도와 경동사 연어능력 사이엔 통계적으로서로 유의하지 않는 걸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국 대학생들의 경동사 사용에 있어서 나타난 특징은 take(50.0%)의 선호율이 make(34.1%)보다 더욱 높았다. 영어학습이 단순히 문법이나 어휘를 암기하는 수준이 아닌, 코퍼스를 활용해 take와 make와 같은 기본 경동사 연어활용을 최대한 노출시켜 연어학습이 자연스럽게 이뤄지도록 하는 교육이 더욱 강화되어야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light verbs take and make used by Korean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heir proficiency. 76 students a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y Korean SAT English grade and surveyed for collocation capability. First, they are surveyed on whether there are correlations between their English proficiency and collocation capability for light verbs. Second, they are also examined on what is different in their use. The results are as follows: It shows there i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English proficiency and collocation capability. It also exhibits that the preference rate of take is much higher than that of make in their use. I suggest that the collocation education should be more strengthened so that it could be done naturally by making basic light verbs frequently exposed, not so that simply grammar and words should be memorized in English learning.

      • KCI등재후보

        한국 EFL 학습자들의 형용사 연어능력에 관한 연구 -Big과 Large를 중심으로-

        유문영 ( Moon Young Yoo ),엄철주 ( Chul Joo Uhm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1

        본 연구에서는 유의어 형용사 Big과 Large가 결합하는 명사 연어들을 COCA 코퍼스 기반으로 살피고, 중학생 EFL 학습자들의 연어능력 실태를 살피고자 그들의 어휘능력과 연어능력의 상관관계와 각 문항별 연어능력의 특징을 각각 살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 EFL 학습자들의 Big과 Large 연어능력의 실태 분석 연구에서는 영어 어휘능력과 Big과 Large 연어능력의 상관관계가 통계적으로 서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피실험자들의 Big과 Large 연어능력의 특징을 각 문항별로 분석해 보면, 전반적으로 Big 결합명사 선호율이 Large 결합명사 선호율보다 훨씬 높게 나타나 Large의 활용에 대한 이해가 많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형용사 Big과 Large의 공통된 의미에만 초점을 두기 보단 이 유의어들이 가지는 기본적 개념의 차이를 먼저 이해시킴으로 문맥 속에서 보다 정확한 유의어를 선택하도록 돕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더욱 효율적인 연어학습을 통한 어휘능력 향상과 영어교육을 위해 제언을 남긴다. 첫째, 유의어 연어교육이 실제 원어민들의 사용 용례와 빈도를 보여주는 COCA와 같은 코퍼스로 점차적으로 교육이 이뤄져야 한다. 둘째, 연어교육을 위해 코퍼스와 같은 방대한 자료를 다룰 땐, 교사는 항상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학습방법들을 제시할 줄 알아야 한다. 셋째, 점차적으로 학생들을 위해 효율적이고 다양한 코퍼스 연구와 학습방법들이 개발된다면 학생들의 연어학습에 더욱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urvey Korean EFL middle school students` collocation ability of adjectives big and large. The research focuses mainly on which one they prefer and how well they distinguish the difference in collocation between these two adjectives. The participants are totally 60 middle school students, so that big/large + noun collocations are tes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reveals that, for Korean EFL middle school students, the correlation between vocabulary proficiency and collocational competence in big and larg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it is shown that the preference rate for big + noun collocation has been even higher than the one for large`s. The results suggested more efficient improvement in both vocabulary proficiency and English education through the study of colloca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