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methodology for vulnerability assessment to climate change in coastal cities

        유가영 경희대학교 산학협력기술연구원 2010 산학협력기술연구논문집 Vol.16 No.-

        연안도시에서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방법론 개발은 적절한 기후변화 적응정책 수립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후변화 취약성을 평가할 수 있는 일반 방법론을 개발하고 이를 우리나라 대표적 연안도시인 목포와 부산에 적용시키는 것이다. 기후변화 취약성의 개념들은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IPCC) 에서 제공한 기후노출,민감도 및 적응능력으로 구성하였다. 기후 노출로는 해수면 상승,호우 및 열파를 상정하였는데,이중 해수면 상승은 0.5m, 1m, 2m, 3m의 경우를 고려하였다. 해수면 상승에 대한 민감도는 GIS 를 이용한 침수 시뮬레이션 결과로 계산된 행정구역별 침수면적 비율로 계산하였다. 민감도에는 행정구역별 인구 밀도 및 65세 이상 인구비율도 함께 고려되었다. 호우 및 열파에 대한 민감도는 델파이 조사를 통한 선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이를 토지 이용분류 자료와 종합하여 평가하였다.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능력은 크게 세 가지 분야로 나뉘어 평가되었다: 경제적 능력, 사회기반시설, 제도적 역량. 취약성은 기후노출에 따른 민감도 및 적응능력을 종합하여 해수면 상승 취약성 (SLR-V), 호우 취약성 (HR-V) 및 열파 취약성 (HW-V) 으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부산의 경우 취약성 평가 결과에 대한 군집분석을 수행하여 군집별 취약성패턴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적응조치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취약성 평가 방법론은 적용이 용이하며 상대적으로 기존 여러 제도에 융합시키기 (mainstreaming) 에 적절한 방법론으로 평가 할 수 있다. We express special thanks to Dr. Yun Chan Choi and Mr. Chang-heun Lee for their kind support for providing data. This research is funded by Busan Development Institute in 2009.

      •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지표의 개발 및 도입방안

        유가영,김인애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8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08 No.05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지역별 기후변화 취약성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고 이의 활용방안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해외문헌 및 기구에서 이미 제안된 기후변화 취약성 지표를 우리나라의 지역별 취약성 비교를 위해 적용해 보았으나, 자료의 구성이 국가 간 취약성 비교에는 적합하지만 한 국가 내의 지역별 취약성 비교에는 그렇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우리나라의 지역별 기후변화 취약성 비교를 위한 평가지표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기후변화 취약성의 개념 틀은 IPCC (2001)에 따라 기후에 대한 노출, 시스템의 민감도 정도, 그리고 시스템이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적응능력으로 구성하였다. 이 틀에 맞추어 기후노출, 민감도, 적응능력에 해당되는 세부요소별 33개의 대리변수들을 선정하여 수집하였고,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취약성-탄력성 지표(VRI)를 계산하였다. 개발된 VRI의 검증을 위해서 기후변화 취약성을 대변한다고 할 수 있는 자연재해에 따른 초과 사망자수 자료(소방방재청)와 비교 · 검토하여 보았다. 이 결과, 자연재해에 따른 초과 사망자수와 VRI와는 높은 상관관계(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 0.62)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 제안된 VRI는 우리나라의 지역별 취약성을 비교하는 데에 유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기후변화 취약성을 구성하는 주요 대리변수를 추출하기 위하여 주성분 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성분 분석결과, 상위 다섯 개의 주성분이 전체 변이의 약 72%를 설명하였으며, 전체 변이의 약 42%를 설명한 제1주성분은 인간정주/기반시설, 생태계, 민감도 및 GDP로 나타났다. 이들은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여주는 변수라기보다는 전국의 전체 경향을 설명하는 변수로 사료된다. 반면, 제2주성분은 주로 기상관련 변수들과 수자원 공급을 표시하는 변수로 구성되었는데, 이는 지역별 차이를 설명해 주는 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계산된 지역별 VRI의 크기에 따라 지역을 네 개의 그룹으로 나누고, 지역별 취약성 구성요소를 분석함으로써 지역에 맞는 적응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취약성 구성요소의 분석은 취약성 프로파일(vulnerability profile)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는 취약성을 구성하는 각각의 요소들의 상대적 크기를 보여주는 방사형 그래프로서, 지역별 적응정책 방향성 제시의 정책적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아직 국내외적으로 초보단계에 있는 정량적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연구의 틀을 마련하였고, 향후 여러 후속 연구를 선도할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표준화 방법론 및 가중치 부여에 있어서 아직 개선되어야 할 부분을 갖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가중치 부여 방법론 도입 등이 향후 후속 연구에서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연구에서 제안된 VRI는 적응정책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여러 도구들 중 하나임을 강조해 둔다. 적응정책의 우선순위 선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도구로는 취약성 지표 이외에도 비용/편익 분석, 비용/효율성 분석, 다기준 분석 등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구체적인 적응정책 수립도구에 관한 연구는 본 연구와 같은 취약성 지표의 개발, 개선 및 적용에 관한 연구와 함께 향후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농업용수의 기후변화 적응능력 지표 개발 -가뭄에 대한 적응을 중심으로-

        유가영,김진택,김정은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8 환경정책연구 Vol.7 No.4

        기후변화 적응정책 수립을 위해서는 취약성 평가가 선행되어야 하며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능력은 취약성을 구성하는 주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는 농업용수 관리 시스템의 적응능력에 관한 지표를 전라도 지역 벼 생산에 관련된 농업용수 수요량과 공급량 자료를 이용하여 개발하였다. 농업용수 공급량은 한국농촌공사가 관리하는 주요 댐 및 저수지의 저수량 자료를 이용하였고, 벼 생산을 위한 농업용수 수요량은 한국농촌공사의 농업용수 수요량 산정 시스템의 모형 구동결과를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의 공간적 범위는 시·군·구이며, 시간적 범위는 월별 평균량을 1991년-2003년까지 정리한 것이다. 가뭄 스트레스에 대한 농업용수의 적응능력 지표(Adaptive Capacity for Drought Stress index: ACDS index)는 농업용수의 공급량이 수요량보다 큰 시점의 자료가 전체 자료 중에서 차지하는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즉, 농업용수 공급량이 수요량보다 큰 경우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을수록 가뭄에 대한 기후변화 적응능력이 높은 것으로 보았다. 개발된 ACDS 지표는 이미 제안된 대형 댐의 물 공급 가능량을 표시하는 지표인 Standard Water Storage Capacity Index(SWSCI)와 비교되었는데, ACDS 지표와 SWSCI는 높은 상관관계(R2 = 0.84)를 보였으며, 이는 개발된 ACDS 지표가 농업용수의 수요와 공급 간의 균형관계를 잘 표현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ACDS 지표는 SWSCI에 비하여 규모가 작은 농업용 저수지의 상태를 보다 잘 표현해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농업용수 시스템이 향후 기후변화로 인해 가뭄과 같은 극한상황에 보다 더 자주 노출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는 시점에서 기후변화 취약성 지표를 개발하는 데 도움을 주는 방법론적 틀을 제공했다고 할 수 있다. 향후에는 벼 이외의 작물에 대한 농업용수 수요량을 고려한 연구 및 개발된 ACDS 지표의 미래 예측을 통해 기후변화에 농업수자원 분야가 미리 적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데 도움을 주는 연구로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Assessing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is the first step to take when setting up appropriate adaptation strategies. Adaptive capacity to climate change is the important factor comprising vulnerability. An adaptive capacity index in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system was developed considering agricultural water supply and demand for rice production in Jeolla-do, Korea. The agricultural water supply was assumed to be equal to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major agricultural reservoirs, while data on the agricultural water demand was obtained from the dynamic simulation results by Korea Agriculture Corporation (KAC). The spatial unit for analysis was conducted at the county (Si, Gun, Gu) level and temporal scale was based on every month from 1991~2003. Adaptive capacity for drought stress index (ACDS index) was calculated as the percentage of data points where the irrigated water supply was greater than the crop water demand. The ACDS index was compared with SWSCI (Standard Water Storage Capacity Index) and the relationship showed high degree of fit (R2 = 0.84) using the exponential function, indicating that the developed ACDS index is useful for evaluating the status of the balance between agricultural water supply and demand, especially for the small sized agricultural reservoirs. This study provided the methodological basis for developing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index in agricultural water system which is projected to be more frequently exposed to drought condition in the future due to climate change. Further research should be extended to the study on the water demand of the crops other than rice and to the projection of the change in ACDS index in the future.

      • KCI등재

        소아청소년 실신 환자에서 기립 경사 검사의 유용성

        유가영,최지혜,유춘자,이경석,주찬웅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9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52 No.7

        Purpose : We aim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head-up tilt test (HUT) for the diagnosis of syncope or presyncop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Methods : HUT results and clinical features of 160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syncope or presyncope were studied from May 2003 through March 2008 at th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 children and adolescents were subjected to 70° HUT for 45 minutes. The testees were divided into 2 groups: group I (children) comprising 39 children in the age range 7-12 years (mean, 10.59±1.60 years) and group II (adolescents) comprising 121 adolescents in the age range 13-20 years (mean, 15.93±2.28 years). Positive result rates of the HUT and types of hemodynamic response to the test in the 2 groups were compared. Results : Of the 160 testees, 92 (57.5%) showed positive HUT results; they showed 3 patterns of response to tilting. Twelve patients showed a predominantly vasodepressor response; 10 patients showed a cardioinhibitory response; and 70 patients showed a mixed response. The positive result rates were 43.6% (17/39) and 62.0% (75/121) in groups I and II, respectively. Mixed response was the predominant positive hemodynamic response in both the groups. Conclusion : The HUT is a useful diagnostic tool for evaluating the condition of pediatric patients, including adolescents, with syncope. Further, it may be considered as the first step for evaluating the condition of such patients. 목 적 : 실신은 소아와 청소년들에게 흔히 발생되는 증상으로 혈관 미주신경성 실신이 가장 흔한 형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원인불명의 실신 및 그와 유사한 증상으로 내원한 소아청소년기 환자들에게 기립 경사 검사(head-up tilt test, HUT)의 반응과 진단적 가치를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3년 5월부터 2008년 3월까지 전북대학교병원에 실신 및 실신 전 증상을 주소로 HUT를 하고 임상적으로 혈관 미주신경성 실신이 의심되는 160명(남 82명, 여 78명, 7-20세)을 대상으로 임상 양상 및 HUT 결과와 그 반응에 대해 의무기록을 통하여 후향적 조사를 시행하였다. HUT는 70도 경사에서 45분간 시행하였으며 일부는 isoproterenol 0.5-1.0 ug/min 주사를 이용하였으며 이 환아들을 소아군(7-12세, 39명, 10.59±1.60세), 청소년군(13-20세, 121명, 15.93±2.28세)으로 분류하여 두 군 간의 HUT 양성률과 그 반응유형을 비교해 보았다. 결 과 : 대상 환아 160명 중에서 양성반응인 환아는 92명(57.5 %)이었고, 남녀 비는 차이가 없었다. 양성 반응은 혼합형이 70례로 제일 흔한 반응이었고, 혈관억제형이 12례, 무수축을 동반하지 않은 심장억제형이 6례, 무수축을 동반한 심장억제형이 4례이었다. 실신의 원인을 규명하는데 HUT를 비롯하여 혈액흉부 방사선 촬영, 심전도와 24시간 holter 검사 및 운동부하검사, 뇌파 검사, 뇌 단층촬영과 뇌 자기공명검사, 심초음파 검사 등이 시행되었다. 또한 연령대에 따른 HUT의 양성 반응률 비교는 소아군 43.6% (17/39), 청소년군 62% (75/121)이었고, 혼합형 반응이 소아 군에서 15명(38.4%)에서 청소년군 55명(45.0%)으로 청소년군이 더 높은 양성률을 보였으나 두 그룹간의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HUT는 혈관 미주신경성 실신이 의심되는 병력과 진찰 소견이 정상인 소아에서 여러 다른 검사 방법에 우선하여 시행함으로써 실신의 원인을 규명하는데 유용하다.

      • KCI등재

        눈꺼풀에 발생한 혈관육종 1예

        유가영,정수경,백지선,양석우.Ga Young Yoo. MD. Su Kyung Jung. MD. Ji Sun Paik. MD. Suk Woo Yang. MD. PhD 대한안과학회 2013 대한안과학회지 Vol.54 No.7

        Purpose: To report a case of angiosarcoma arising from the eyelid. Case summary: A 72-year-old male patient presented with swelling and erythema on the upper and lower eyelid of 10 months in duration. After the diagnosis of cutaneous angiosarcoma via tissue biopsy, no evidence of systemic metastasis was found. The right eyelid was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and a partial clinical response was achieved. After 4 months of follow-up, swelling and a red-purple plaque developed on the same (right) eyelid. Another biopsy was performed and the histological examination indicated a recurrence of angiosarcoma. Neither local nor distant metastases were observed. However, large-sized and ill-defined margins warranted size reduction by paclitaxel neoadjuvant chemotherapy, followed by surgical excision and eyelid reconstruction. Conclusions: Angiosarcoma commonly occurs on the face and scalp, but rarely occurs on the eyelids. Herein, the authors report a case of angiosarcoma arising from the eyelid.

      • KCI등재

        녹내장 환자에서 수정체초음파유화술이 녹내장의 진행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관련된 인자의 분석

        유가영,황형빈,박명희,김현승 대한안과학회 2013 대한안과학회지 Vol.54 No.8

        Purpose: To evaluate the factors affecting glaucoma progression after cataract surgery with phacoemulsification. Methods: The medical charts of 109 eyes of 68 patients with glaucoma who had phacoemulsification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course of glaucoma was followed up for at least 2 years. Age, sex, diabetes, hypertension, preoperative mean deviation, phacoemulsification time, cataract type, refractive error,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visual acuity,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intraocular pressure, axial length, and central corneal thickness between the progression group and the non-progression group were compared. Results: Among 109 eyes with glaucoma, 19 (17.4%) eyes were classified into the glaucoma progression group.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age (p = 0.026), preoperative mean deviation (p < 0.001), and phacoemulsification time (p < 0.001) were statistically associated with glaucoma progression. Conclusions: For patients with glaucoma, phacoemulsification may result in its progression. Special attention should be given to patients with the above risk f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