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meta-analysis of different instructional effects on English underachievers

        김정렬,위송숙,김영희 경희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15 언어연구 Vol.32 No.S

        Researches on teaching English to underachievers have shown mixed effects in the frequency and period of the underachieving classes, appropriate activities, materials and teaching strategies.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mixed results of English underachievement researches and find effective instructional types and conditions for English underachievers in areas of activities, materials, strategies and programs. 47 underachievement studies were selected and categorized into activity-focused, material-focused, strategy-focused and program-focused instructions. These studies are analyzed to derive the average effect sizes of researches for each category. The result indicated significant effect sizes in program-focused (1.208), activity-focused (1.135), strategy-focused (0.841) and material-focused (0.572). The result showing the most improvement was when the instructional group size was less than 10 (1.214). The size of improvement was in negative correlation to group size. The most effective number of class times was 11-20 times (1.162), and when the instruction lasted 1-4 weeks (1.107). The period of instruction was in negative correlation to the achievement of underachievers beyond 4 weeks. These findings can be used to design English underachievement programs by using the attained information as a guide line for number of classes, class size and instructional period to set up English supplementary classes for underachievers.

      • KCI등재

        메타분석을 통한 초등학생 영어 어휘 지도방법의 효과 비교

        남승우,위송숙,김정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6 敎員敎育 Vol.32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ynthesize researches on English vocabulary teaching with particular emphasis on methodological differences and their effects in elementary school setting. A body of researches were consolidated for the meta-analysis. Out of 129 initial list 29 experimental researches were qualified to be included in the final list for the analysis by passing through the selective criteria being number of participants, independent pairs test, methodological independent causes and experimental researches. The researches were analyzed by their teaching method, method of presenting vocabulary, types of materials. The findings are: (1) Both explicit and implicit methods were effective, but their difference did not make any significant discrepancies of effects. (2) Method of presenting vocabulary included picture, context, translation, and all of them were over and beyond medium size effects, but translation was most effective. (3) Both message-focused and language-focused materials caused big effects. The findings can be used as a guideline for English vocabulary teaching syllabus development in elementary schools. 이 연구의 목적은 지금까지 개별적이고 단편적으로 이뤄진 초등학생 대상 영어어휘지도방법에 관한 연구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초등학생 영어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영어 어휘 지도에 있어 효과적인 방법을 찾아보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영어 어휘 지도 방법에 관한 실험연구 29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연구는 어휘 지도 방법, 어휘 제시 방법, 활용 자료 유형에 따라 구별되어 효과크기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어휘 지도 방법에 있어 암시적 지도 방법과 명시적 지도 방법은 모두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를 보였고 두 지도 방법의 효과 사이에는 별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두 방법을 적용하는데 있어서 명시적 지도 방법을 우선에 둘 필요가 있다. 둘째, 어휘 제시 방법에 있어 그림 활용, 번역 활용, 맥락 활용 제시 방법 모두 중간 이상의 효과크기를 보였고 특히 번역 활용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셋째, 활용 자료 유형에 따른 분석 결과 맥락적 자료와 탈맥락적 자료 활용의 경우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현장에서 점차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영어 어휘 지도 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해답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