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지역의 입지 및 규모에 따른 지식기반산업 성장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원유호,장윤상,이주형 대한지방자치학회 2011 한국지방자치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지역발전 및 경쟁력에 큰 영향을 주는 지식기반산업을 지역입지 및 규모별로 지식기반산업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을 통해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효율적이며 균형적인 개별 도시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고부가가치와 고용창출 효과가 큰 지식기반산업을 유치하기 위해서는 지역별 지식기반산업의 성장 여건에 따라 정책을 달리 해야 한다. 분설결과에 따르면 전체지역의 지식기반산업의 성장에 있어 산업여건, 문화여건, 복지여건이 전반적으로 중요한 변수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앞으로 지역 지식기반산업이 성장함에 있어 주력 산업으로 발전할 전망이 크며, 이러한 여건을 위한 시설과 인력의 확충이 이루어져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세부적으로 지역입지 및 규모에 따른 수도권, 광역시, 기타 시 또는 군의 지식기반 산업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해 보면 각 유형간 지역 격차가 심화되고 있고, 두 시점 모두 산업여건, 복지여건, 문화여건을 기반으로, 지자체의 경쟁력이 높아질수록 지식기반산업의 성장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향후 도시의 산업유치 및 지역개발정책 수립에 있어서는 무엇보다도 이러한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유연한 시스템이 요구되며, 지역의 입지 및 규모별 특성과 지식기반산업의 유형 분류에 부합하는 계획 및 정책의 수립과 지역의 경제, 사회, 문화, 복지 측면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중소도시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지역 여건에 맞는 투자와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기반을 형성해야 할 것이다.
서울시 업종별 점포의 공간분포가 가로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원유호,최창규,이주형 대한공간정보학회 2014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22 No.6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주요요인으로 도출되었던 가로의 물리적 환경, 접근성, 밀도, 다양성 등의 보행증진요인을 기반으로 가로차원의 변수가 가로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 보았다. 또한 Jacobs(1961)가 중요하다고 언급했던 업종의 다양성과 Ray Oldenburg(1989), Richard MacCormac(1983)이 주장했던 특정 공간이 가로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가로활성화 영향요인 모형을 업종별 유형으로 구분하여 분석해 본 결과, Jacobs(1961)가 주장했던 기본적인 가로 환경, 접근성, 밀도, 다양성 등의 보행증진요인은 주중과 주말의 모형에서 거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Ray Oldenburg(1989), Richard MacCormac(1983)이 주장했던 주요 업종은 주중과 주말에 따라 가로활성화에 영향을 주는 정도가 차이가 있음을 도출했다. This study analyzed an impact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 of street based on the walking enhancement factors and the street revitalization. In detail, walking enhancement factors include a physical environment, accessibility and a density which was derived from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diversity of the profession which was emphasized by Jacobs(1961) and the influence of the specific space on street revitalization that was emphasized by Ray Oldenburg (1989) and Richard MacCormac (1983). The anlaysis by types showed the walking enhancement factors, including street envirnoment, accessibility, density and diversity, which were emphasized by Jacobs(1961) possessed similararites between weekdays and weekends. On contrast,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tores showed a major difference of influences on street revitalization between weekdays and weekends as Ray Oldenburg (1989) and Richard MacComac (1983) has insisted.
서울시 업종별 점포의 공간분포가 가로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원유호,최창규,이주형,Won, You Ho,Choi, Chang Gyu,Lee, Joo Hyung 한국공간정보학회 2014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2 No.6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주요요인으로 도출되었던 가로의 물리적 환경, 접근성, 밀도, 다양성 등의 보행증진요인을 기반으로 가로차원의 변수가 가로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 보았다. 또한 Jacobs(1961)가 중요하다고 언급했던 업종의 다양성과 Ray Oldenburg(1989), Richard MacCormac(1983)이 주장했던 특정 공간이 가로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가로활성화 영향요인 모형을 업종별 유형으로 구분하여 분석해 본 결과, Jacobs(1961)가 주장했던 기본적인 가로 환경, 접근성, 밀도, 다양성 등의 보행증진요인은 주중과 주말의 모형에서 거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Ray Oldenburg(1989), Richard MacCormac(1983)이 주장했던 주요 업종은 주중과 주말에 따라 가로활성화에 영향을 주는 정도가 차이가 있음을 도출했다. This study analyzed an impact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 of street based on the walking enhancement factors and the street revitalization. In detail, walking enhancement factors include a physical environment, accessibility and a density which was derived from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diversity of the profession which was emphasized by Jacobs(1961) and the influence of the specific space on street revitalization that was emphasized by Ray Oldenburg (1989) and Richard MacCormac (1983). The anlaysis by types showed the walking enhancement factors, including street envirnoment, accessibility, density and diversity, which were emphasized by Jacobs(1961) possessed similararites between weekdays and weekends. On contrast,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tores showed a major difference of influences on street revitalization between weekdays and weekends as Ray Oldenburg (1989) and Richard MacComac (1983) has insi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