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관측 파고와 인공위성 관측 유의파고 차이의 특성 연구 (2004~2016)

        우혜진,박경애,변도성,이주영,이은일,WOO, HYE-JIN,PARK, KYUNG-AE,BYUN, DO-SEONG,LEE, JOOYOUNG,LEE, EUNIL 한국해양학회 2018 바다 Vol.23 No.1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유의파고 자료와 인공위성(GFO, Jason-1, Envisat, Jason-2, Cryosat-2, SARAL) 고도계 유의파고 자료를 비교하기 위하여 2004년 12월부터 2016년 5월까지 약 12년 동안의 위성-이어도 관측 유의파고 사이의 일치점 데이터베이스를 생산하였다. 위성 유의파고는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유의파고에 대하여 약 0.34 m의 평균 제곱근 오차와 0.17 m의 양의 편차를 나타내었다. 위성과 이어도 관측 유의파고 차는 특이한 계절변동이나 경년변동을 보이지 않고 위성이 중복 관측하는 기간에 대해서 유사한 변동 특성을 보여 위성 자료의 일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성-이어도 유의파고 차이에 대한 바람장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모든 위성에 대해 평균적으로 0.17 m 정도의 양의 편차가 나타났다. 지형 및 해양과학기지 구조물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파향에 대한 파고 오차의 특이성을 분석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특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위성-이어도 일치점의 거리에 따른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위성-이어도 간의 거리에 대한 함수로 오차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평균은 거리와 무관하게 0.14 m로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는 반면에 오차의 최댓값과 최솟값 사이의 진폭은 이어도로부터 멀어질수록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특성이 발견되었다. 반면에 동해 해양기상위성부이를 활용한 위성 유의파고 자료의 정확도 평가 결과, 위성-실측 자료 사이의 평균 제곱근 오차는 0.27 m로 상대적으로 작은 오차가 발생하였으며, 이어도 파고 자료와 같이 특이한 오차 특성은 발견되지 않았다. 이어도 파고 관측 기기의 상이성을 고려하여 이 연구에서는 위성 유의파고 자료를 기반으로 이어도 유의파고 자료를 보정하는 식을 제안하였다. 또한 이어도 해양과학기지가 국제적인 해양관측 기지로 격상되기 위해서는 자료의 신뢰도 확보가 우선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방법과 전략을 제시하였다. In order to compare significant wave height (SWH) data from multi-satellites (GFO, Jason-1, Envisat, Jason-2, Cryosat-2, SARAL) and SWH measurements from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IORS), we constructed a 12 year matchup database between satellite and IORS measurements from December 2004 to May 2016. The satellite SWH showed a root mean square error (RMSE) of about 0.34 m and a positive bias of 0.17 m with respect to the IORS wave height. The satellite data and IORS wave height data did not show any specific seasonal variations or interannual variability, which confirmed the consistency of satellite data. The effect of the wind field on the difference of the SWH data between satellite and IORS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a similar result was observed in which a positive biases of about 0.17 m occurred on all satellit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topography and the influence of the construction structures of IORS on the SWH differences, we investigated the directional dependency of differences of wave height,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racteristics of the differences were reveal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rror as a function of the distance between the satellite and the IORS, the biases are almost constant about 0.14 m regardless of the distance. By contrast, the amplitude of the SWH differences, the maximum value minus the minimum value at a given distance range, was found to increase linearly as the distance was increased.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the accuracy evaluation of the satellite SWH from the Donghae marine meteorological buoy of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he satellite SWH presented a relatively small RMSE of about 0.27 m and no specific characteristics of bias such as the validation results at IORS.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nversion formula to correct the significant wave data of IORS with the satellite SWH data. In addition,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 reliability of data should be prioritized to be extensively utilized and presents specific methods and strategies in order to upgrade the IORS as an international world-wide marine observation site.

      • KCI등재

        혈액투석 환자의 일상식품군 섭취량에 따른 혈청 인, 칼륨 농도의 상관성 분석

        우혜진,이연주,오일환,이창화,이상선 한국영양학회 2014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7 No.1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한양대학교병원에서 혈액 투석을 시행중인 만성 콩팥병 환자를 대상으로 일상식품군의 섭취량과 혈청 인, 칼륨 농도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봄으로써 혈액투석 중의 합병증 예방 및 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제공하고자 하였다. 1) 본 연구 대상자는 총 48명 (남: 20명, 여: 28명)으로 평균혈청 인 농도는 4.50 ± 1.52 mg/dl, 평균 혈청 칼륨 농도는4.74 ± 0.73 mEq/l였다. 전체 대상자 중 고인산혈증을 보인환자는 45.8%, 고칼륨혈증을 보인 환자는 35.4%였다. 2) 식이요법 실천율은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대상자 중 약물치료만 시행하는 군보다 약물치료에 식이요법을병행하는 군에서 혈청 인 농도가 유의하게 낮았다. 3) 투석기간에 따른 혈청 칼륨 농도는 5년 미만 투석자보다 5년 이상 투석자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4) 백미를 섭취한 군이 잡곡을 섭취하는 군보다 혈청 인, 칼륨 농도가 유의하게 낮았다. 감자와 고구마의 섭취량이 증가할수록 혈청 칼륨 농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일주일에 3회를 초과하여 섭취한 군의 경우 혈청 칼륨 농도가 정상범위를넘어섰다. 5) 생선의 섭취량이 증가할수록 혈청 칼륨 농도가 유의하게높았으며, 특히 일주일에 3회를 초과하여 섭취한 군의 경우혈청 칼륨농도가 정상범위를 넘어섰다. 콩자반과 두유의 섭취량이 증가할수록 혈청 인 농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콩자반의 경우 일주일에 1회 이상, 두유의 경우 일주일에 3회 보다많이 섭취한 군의 경우 혈청 인 농도가 정상범위를 넘어섰다. 6) 채소의 섭취량이 증가할수록 혈청 칼륨 농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특히 고칼륨 채소의 섭취가 많을수록 혈청 칼륨농도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버섯의 섭취량이 증가할수록 혈청 칼륨 농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일주일에 3회 보다 많이섭취한 군의 경우 혈청 칼륨 농도가 정상범위를 넘어섰다. 7) 잡곡과 두유의 섭취는 혈청 인 농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투석기간, 잡곡, 감자, 생선, 고칼륨 채소의섭취는 혈청 칼륨 농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한편 쌀의섭취는 혈청 칼륨 농도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혈액투석 환자들의 식이요법 실천은 혈청 인 농도 조절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며, 투석기간이 길어질수록 혈청 칼륨 농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보아 지속적인 식이요법이 필수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일상식품군의섭취와 혈청 인, 칼륨 농도와의 상관관계에서 잡곡의 섭취는혈청 인, 칼륨 농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백미의 섭취는 혈청 칼륨 농도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잡곡의 섭취를 줄이고 백미를 섭취하는 것이 혈청 인, 칼륨 농도 감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유의 섭취는 혈청 인 농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감자 및 생선의 섭취는 혈청 칼륨 농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정상 혈청 인, 칼륨 농도의 유지를 위해서는 이들 식품의 1인 1회 섭취 분량을 하루에 0.5회 이하로 나누어 섭취하되, 일주일에 3회를 초과하여 섭취하지 않을 것을 권장한다. 한편 고칼륨 채소의 섭취는 혈청 칼륨 농도와 유의한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다른 채소 섭취에 비해 혈청 칼륨농도를 정상범위 이상으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아 가급적 섭취를 제한할 것을 권장한다. Purpose: Elevated serum phosphorus and potassium levels are a major problem for hemodialysis (HD) patients. Hyper-phosphatemia and hyperkalemia are closely related to intake of dietary phosphorus and potassium.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ood consumed on serum phosphorus and potassium levels in 48 HD patients (20 males and 28 females). We collected anthropometric data, biochemical parameters, and dietary data of the subjects. Dietary data for usual intake were obtained by use of a food-frequency questionnaire (FFQ) consisting of 21 food items. Results: The mean body mass index (BMI) was 22.2 ± 3.0 kg/m2, mean serum phosphorus level was 4.50 ± 1.52 mg/dl, and mean serum potassium level was 4.74 ± 0.73 mEq/l. Hyperphosphatemia (> 4.5 mg/dl) was found in 45.8% of subjects, and hyperkalemia (> 5.0 mEq/l) in 35.4%. Subjects who took medication only were 56% of total, and those who took medication with dietary therapy were 27%. Patients with medication and dietary therapy showed significantly lower serum phosphorus levels compared to patients with medication only (p < 0.05). Mean duration of HD was 7.9 ± 7.3 years and it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serum potassium levels (p < 0.05). Serum phosphorus level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ake of mixed grains and soybean milk (p < 0.05). Serum potassium level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ake of mixed grains (p < 0.01), potatoes, fish, and high-potassium vegetables (p < 0.05). On the other hand, intake of white rice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serum potassium levels (p < 0.05). Conclusion: The results of our study suggest that intake of white rice rather than mixed grains is an important factor in sustaining normal serum phosphorus and potassium levels. In addition, limiting intake of soybean milk, potatoes, and fish to under three serving per week is recommended. Finally, conduct of a strict dietary therapy along with medical treatment is desirable because inappropriate food intake increases serum phosphorus and potassium levels to a higher than normal range.

      • KCI등재

        핀터의 파티와 카니발 이론 : 『생일파티』와『일종의 알라스카』

        우혜진,정문영 한국현대영어영문학회 2001 현대영어영문학 Vol.45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pply 'Carnival' of Mikhail Bakhtin in analyzing Herold Pinter's The Birthday Party and A kind of Alaska. His plays are noted for their uses of understatement and silence to convey the substance of a character's thought. All Pinter's plays hold dialogues of common people, ambiguous dictions of characters and unstable unfinalizability which break the order of traditional play and create the remarkable 'grotesque' . Especially, the abnormal family relation in two plays is an element of Carnival which challenges the order of patriarchal system. Besides, dialogues of The Birthday Party aim to make spectators laugh with the uses of absurd games and effects of festivities of party with characters' ridiculous actions and happenings in the party. All of them are the elements of Carnival. Pinter's plays have the elements of Carnival basically. He converts the new birth of characters from the party(a modern mode of Carnival) in his plays. His plays as 'the theatre of the absurd' express original isolation and anxiety beneath the inside of human being. But simultaneously they these two plays can make us feel liberated from the rigid and authoritative system. The problem of human crisis, which is the everlasting theme of Pinter's play, shows not only a tragic nature but also a deconstructive nature which implies a new birth and liberation. In this way,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Carnival can be discovered in the process of making festivities with carnivalistic and grotesque characters and actions.

      • KCI등재

        AHP 기법을 이용한 새만금유역의 비점오염원 우선관리지구 선정

        우혜진,장태일,최진규,손재권 한국농촌계획학회 2015 농촌계획 Vol.21 No.3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non-point sources (NPS) pollution and prioritize management areas affected by NPS pollution in the Saemangeum Watershed. AHP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technique was selected to prioritize sub-watersheds for effectively managing NPS pollution in this study areas. Generation properties of NPS pollution, discharge properties of NPS pollution, and runoff properties of NPS pollution were selected and set for AHP. Weighted descriptors including indicators like numbers of livestock, land- and livestock-system loads, rainfall, and impervious area ratio were generalized from 0 to 1 and multiply each index based on screened 17 survey data. The results were visualized as maps which enable resource managers to identify sub-watersheds for effective improving water quality. The sub-watersheds located in Gongdeok-Myeon, Yongji-Myeon, Hwangsan-Myeon of Gimje-Si were selected for managing NPS pollution control areas. This result presented that these sub-watershed are more affected by the pollution from livestock-system than from land-system. The finding from this study can be used to screen sub-watersheds that need further assessment by managers and decision-makers within the study area.

      • KCI우수등재

        K-IFRS 도입 이후 정보이용자는 왜 ‘기타’ 계정과목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가?: 사업보고서 웹 크롤링을 통해 수집한 ‘기타’ 계정과목과 기업 규모별 차별적 사용유인을 중심으로

        우혜진,홍영은 한국회계학회 2024 회계학연구 Vol.49 No.2

        기타’ 계정과목은 재무제표 본문을 이용하는 정보이용자의 경제적 의사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특히,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이하 ‘K-IFRS’)의 도입으로 재무제표 표시에 대한 경영자의 재량권이 확대됨에 따라 ‘기타’ 계정과목의 사용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타’ 계정과목의 사용이 K-IFRS 도입 이후에 어떻게변화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K-IFRS에서는 재무상태표에 표시되어야 할 최소한의 항목만 규정하고 재무상태표 표시와 관련한경영자의 재량권을 많은 부분에서 인정하고 있다. 따라서 K-GAAP에서 사용하던 많은 계정과목을 통합하여 표시해야 할 필요성이 K-IFRS 도입 이후 증가되었고 ‘기타’ 계정과목에 대한 활용도 역시 증가될 것으로 예상하였다. 실증분석결과, ‘기타’ 계정과목의 개수와 금액 비중이K-IFRS 도입 이후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더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K-IFRS 도입 이후 기업 규모에 따른 ‘기타’ 계정과목의 사용이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실증분석결과, K-IFRS 도입 이후 기업 규모가 클수록 정치적 비용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회계선택에 ‘기타’ 계정과목이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타’ 계정과목이라는 개별 계정과목에 대해 연구한 최초의 연구로서 정보이용자들이 왜‘기타’ 계정과목을 주의 깊게 살펴보아야 하는지에 대하여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것에 의의를 가진다. In spite o f the possibility o f the ‘Other’ accounts having a signi ficant i mpact on the financial decision- making process o f the in formation users who use the body o f financial state ments, there is no research on this. In particular, as a fter the adoption o f K-IFRS did manager’s discretion over financial state ment presentation expand, it has beco me more i mportant to pay attention to the use o f the ‘Other’ accou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how the use o f ‘Other’ accounts has changed since the adoption o f K-IFRS. Speci fically, K-IFRS prescribes mini mu m rules for the accounts that have to be presented in the state ment o f financial position and allows for manager’s discretion in many areas regarding the statement. Accordingly, the necessity o f integrating many accounts previously used in K-GAAP has increased since the adoption o f K-IFRS, and it is expected that the utilization o f ‘Other’ accounts would be increasing as well. The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the nu mber and the a mount o f ‘Other’ accounts have increased since K-IFRS adoption. Furthermore, a fter the adoption o f K-IFRS, we looked at whether the use of ‘other’ accounts di ffer depending on the size o f the corporation, and found that the larger the co mpany, the more ‘Other’ accounts are used for accounting choices to reduce political costs. It is the first study to individual account called ‘other’ accounts, based on the results o f this study, it is worthwhile that it brought out take a ways regarding why it is i mportant that in formation users should carefully look at ‘Other’ accounts.

      • KCI등재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관측 수온과 위성 해수면온도 합성장 자료와의 비교

        우혜진,박경애,최도영,변도성,정광영,이은일 한국지구과학회 2019 한국지구과학회지 Vol.40 No.6

        Over the past decades, daily sea surface temperature (SST) composite data have been produced using periodically and extensively observed satellite SST data, and have been used for a variety of purposes, including climate change monitoring and oceanic and atmospheric forecasting.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accuracy and analyzed the error characteristic of the SST composite data in the sea around the Korean Peninsula for optimal utilization in the regional seas. We evaluated the four types of multi-satellite SST composite data including OSTIA (Operational Sea Surface Temperature and Sea Ice Analysis), OISST (Optimum Interpolation Sea Surface Temperature), CMC (Canadian Meteorological Centre) SST, and MURSST (Multi-scale Ultra-high Resolution Sea Surface Temperature) collected from January 2016 to December 2016 by using in-situ temperature data measured from the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IORS). Each SST composite data showed biases of the minimum of 0.12℃ (OISST) and the maximum of 0.55℃ (MURSST) and root mean square errors (RMSE) of the minimum of 0.77℃ (CMC SST) and the maximum of 0.96℃ (MURSST) for the in-situ temperature measurements from the IORS. Inter-comparison between the SST composite fields exhibited biases of −0.38-0.38℃ and RMSE of 0.55-0.82℃. The OSTIA and CMC SST data showed the smallest error while the OISST and MURSST data showed the most obvious error. The results of comparing time series by extracting the SST data at the closest point to the IORS showed that there was an apparent seasonal variation not only in the in-situ temperature from the IORS but also in all the SST composite data. In spring, however, SST composite data tended to be overestimated compared to the in-situ temperature observed from the IORS. 지난 수십년 동안 인공위성을 통해 광범위하고 주기적으로 관측된 해수면온도 자료를 사용하여 일별 해수면온도 합성장이 생산되고 있으며 기후변화 감시와 해양 대기 예측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적인 해역에서 최적화된 활용을 위해 한반도 주변해역에서 해수면온도 합성장 자료의 정확도 평가와 오차 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2016년 1월부터 12월까지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관측 수온 자료를 활용하여 4종의 다중 인공위성 기반 해수면온도 합성장 자료(OSTIA (Operational Sea Surface Temperature and Sea Ice Analysis), OISST (Optimum Interpolation Sea Surface Temperature), CMC (Canadian Meteorological Centre) 해수면온도 및 MURSST (Multi-scale Ultra-high Resolution Sea Surface Temperature))를 비교하여 각 해수면온도 합성장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수온 자료에 대하여 각 해수면온도 합성장은 최소 0.12℃ (OISST)와 최대 0.55℃ (MURSST)의 편차와 최소 0.77℃ (CMC 해수면온도)와 최대 0.96℃ (MURSST)의 평균 제곱근 오차를 나타냈다. 해수면온도 합성장 사이의상호 비교 결과에서는 −0.38-0.38℃의 편차와 0.55-0.82℃의 평균 제곱근 오차의 범위를 보였으며 OSTIA와 CMC 해수면온도 자료가 가장 작은 오차 특성을 보인 반면 OISST와 MURSST 자료는 가장 큰 오차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어도 해양과학기지와 가장 가까운 지점에서 해수면온도 합성장 자료를 추출하여 시계열을 비교한 결과에서는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관측 수온 뿐만 아니라 모든 해수면온도 합성장 자료에서 뚜렷한 계절 변동을 보였으나 봄철 해수면온도 합성장은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관측 수온에 비해 과대 추정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 KCI등재

        인공위성 고도계와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관측 자료를 활용한 유의파고 극값 추정 기법 비교

        우혜진,박경애,변도성,정광영,이은일 한국지구과학회 2021 한국지구과학회지 Vol.42 No.5

        Rapid climate change and oceanic warming have increased the variability of oceanic wave heights over the past several decades. In addition, the extreme wave heights, such as the upper 1% (or 5%) wave heights, have increased more than the heights of the normal waves. This is true for waves both in global oceans as well as in local seas. Satellite altimeters have consistently observed significant wave heights (SWHs) since 1991, and sufficient SWH data have been accumulated to investigate 100-year return period SWH values based on statistical approaches. Satellite altimeter data were used to estimate the extreme SWHs at the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IORS) for the period from 2005 to 2016. Two representative extreme value analysis (EVA) methods, the Initial Distribution Method (IDM) and Peak over Threshold (PoT) analysis, were applied for SWH measurements from satellite altimeter data and compared with the in situ measurements observed at the IORS. The 100-year return period SWH values estimated by IDM and PoT analysis using IORS measurements were 8.17 and 14.11 m, respectively, and those using satellite altimeter data were 9.21 and 16.49 m, respectively. When compared with the maximum value, the IDM method tended to underestimate the extreme SWH.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extreme SWHs could be reasonably estimated by the PoT method better than by the IDM method. The superiority of the PoT method was supported by the results of the in situ measurements at the IORS, which is affected by typhoons with extreme SWH events.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stability of the extreme SWH estimated using the PoT method may decline with a decrease in the quantity of the altimeter data used. Furthermore, this study discusses potential limitations in estimating extreme SWHs using satellite altimeter data,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SWH measurements from the IORS as reference data in the East China Sea to verify satellite altimeter data. 급격한 기후 변화와 해양 온난화에 의해 지난 수십 년 동안 파고의 변동성이 증가하였다. 상위 1% (또는 5%) 파고와 같은 극한 파고는 국지적인 해역 뿐만 아니라 전 지구 대양에서도 평균 파고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1991년부터 인공위성 고도계를 활용하여 유의파고를 지속적으로 관측하고 있으며 통계적 기법을 기반으로 100년 빈도유의파고를 추정하기에 비교적 충분한 자료가 축적되었다. 이어도 해양과학기지에서 유의파고 극값을 추정하기 위하여2005년부터 2016년까지 위성 고도계 자료를 활용하였다. 대표적인 극값 분석 방법인 Initial distribution Method (IDM) 와 Peak over Threshold (PoT)를 위성 도고계 유의파고 관측 자료에 적용하고 이어도 해양과학기지에서 관측된 실측자료와 비교하였다. 이어도 해양과학기 관측 자료에 IDM과 PoT 기법을 적용하여 추정된 100년 빈도 유의파고는 각각8.17 m와 14.11 m이며, 인공위성 고도계 관측 자료를 활용하였을 때는 각각 9.21 m와 16.49 m이었다. 관측 최대값과의비교 분석에서 IDM을 활용한 분석은 유의파고 극값을 과소추정 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IDM 보다 PoT 기법이 유의파고의 극값을 적절하게 추정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PoT 기법의 우수성은 높은 유의파고가 발생하는 태풍의 영향을받는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실측 자료를 활용한 결과에서도 증명되었다. 또한 PoT 기법으로 추정된 유의파고 극값의 안정성은 고도계 자료의 감소에 따라 저하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인공위성 고도계 자료를 활용하여 유의파고 극값 추정시 발생할 수 있는 한계점과 인공위성 자료를 검증할 수 있는 자료로써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관측 자료의 중요성에대하여 논의하였다.

      • 국내 자폐스팩트럼장애 읽기 연구 동향 분석 : 2010~2019년

        우혜진,김화수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2019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6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 아동을 대상으로한 연구의 동 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2010년부터 2019년까지의 국내에서 이루어진 AD 관련 연구 11편을 선정 하여 대상자, 연구 영역, 중재전략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였다.대상자의 연령을 학령기, 초등학생 이 상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학령기 6편, 초등학생 이상 5편으로 나타났으며, 연구영역에 따라 분석 한 결과, 음운중심 2편, 의미중심 7편, 음운+의미중심 2편으로 나타났다. 중재전략에 따라 분석한 결 과, 의미중심 9편 중, 기능적읽기 2편, 학업적읽기 9편으로 나타났다. 음운중심 5편 중, 음운인식 2편, 단어재인 2편, 유창성 1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내용들을 바탕으로 ASD아동에 대한 국내 연 구를 종합하고 이를 기초로 향후 국내에서 이루어져야할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