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정방문 작업치료에 대한 체계적 고찰

        우지희,김정현,우지희 대한작업치료학회 2019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7 No.3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ome-based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s and to provideevidence based practice regarding home based occupational therapy. Methods: For the main keywords of a database search, “Home care program” OR “Home health service” OR “Homebased rehabilitation” OR “Visiting home” AND “Occupational therapy” were used. Using Science Direct, ProQuestand Google Scholar, we systematically examined papers published in journals from 2008 to 2018. Finally, 19studies met the inclusion criteria. Results: Evidence level of total 19 studies were level Ⅰ. PEDro score in all the articles reviewed was from 6 to 8points in the ‘Good’ range. The Most frequency of visiting home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were homemodification 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training applied to fall risk older adults or experienced fall. Dependentvariables included 30.00% Activities of daily living training, 24.80% upper extremity function. Conclusion: Through this systematic review, we were able to provide clinical evidence on visiting home occupationaltherapy to the occupational therapist. In the future, based on this study, research on intervention multiinterventionapplied to older adults with geriatric illness or mental health. 목적 : 본 연구는 가정환경기반의 작업치료의 중재방법과 내용을 분석하여 임상적용을 위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 2009년부터 2018년까지 전자데이터 베이스인 ProQuest, ScienceDirect, Goole scholar를통하여 논문을 검색하였다. 검색용어는 “Home care program” OR “Home health service” OR “Homebased rehabilitation” OR “Visiting home” AND “Occupational therapy”를 사용하였다. 배제기준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19개의 연구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결과 : 총 19편의 연구는 근거수준이 Level Ⅰ로 전체비율을 차지하였다. 포함된 연구에 대한 방법론적질적수준(PEDro 점수)는 평균 8.0점으로 6~8점인 ‘좋음’ 수준에 속하였다. 가정방문 작업치료 중재는낙상위험요인이 있거나 낙상경험이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한 가정환경수정 및 일상생활수행훈련이 많았다. 측정한 종속변인은 일상생활수행능력이 30.00%, 상지기능 24.80%를 차지하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작업치료사들에게 가정방문 작업치료중재에 대한 임상적 근거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추후에는 노인성 질환 및 정신건강장애를 갖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중재적용이 이루어져야 할것이며 다각도의 측면에서 중재결과를 도출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중증장애인들의 전동휠체어 사용경험과 욕구에 관한 연구 :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우지희,장완호,김종배 대한작업치료학회 2016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4 No.4

        목적 : 본 연구는 전동휠체어를 사용하는 중증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하여 중증장애인들의 전동휠체어에 대한 사용경험과 전동휠체어에 대한 그들의 욕구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전동휠체어를 사용하는 중증장애인 5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에서 사용된 질문은 Krueger 와 Casey가 제시한 4 가지 질문방식을 기반으로 하였다. 인터뷰내용은 녹음하고 2명의 저자가 각각 전사하여 공통된 내용에 대해 합의하고 분석하였다. 결과 : 대상자들은 전동휠체어 구조물과 휠체어 자체의 결함, 사후관리서비스에 대한 문제점을 경험하였으며 이에 따라 전동휠체어의 추진 및 지지구조물, 중증장애인에 대한 평가 및 전동휠체어에 대한 처방을 포함하는 보조공학 서비스의 개선 및 확대를 원하고 있었다. 또한 전동휠체어에 대한 구입 및 사후관리 서비스에 대하여 국가차원에서의 현실적인 재정적 지원을 기대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작업치료사는 전동휠체어 처방 시 휠체어 사용자가 속한 환경, 원하는 활동을 고려하여 적절한 휠체어 추진구조물을 제공해줘야 하고 사용자의 기능을 고려한 전동휠체어 착석옵션과 같은 지지구조물을 처방하여 중증장애인이 기능적 활동을 수행하도록 도와야 한다. 결론 : 본 연구는 전동휠체어 처방 시 작업치료사가 고려해야할 점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고 효율적인 보조공학 서비스를 위한 제도적 변화를 이끄는데 있어 기초적인 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needs and experiences of severely disabled people in using a powered wheelchair through a focus group interview. Methods : Five severely disabled people using a powered wheelchair were recruited. The interview employed a question-asking method modified from the question-asking method presented by Krueger and Casey.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 were recorded, transcribed, and analyzed using Krueger’s principle. Results : The subjects experienced defects of the wheelchair itself, problems regarding the components of the powered wheelchair, and wheelchair follow-up service. Accordingly, they want to enlarge the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involving a wheelchair user assessment and proper prescription, and improvements in the supporting and propulsion structure of a powered wheelchair. Financial support concerning powered wheelchair payments and expenses for a follow-up service are also expected. Occupational therapist are considering a wheelchair user belong to the environment, the desired activity and user’s function when wheelchair prescriptions must be provided proper propulsion component and support structure such as power seat function. (note from editor, unfortunately, the red text is not clear. If you can revise itI can check your revision). Conclusions : This study presented a point to be considered who occupational therapist able to prescribe using powered wheelchair with severely disabled people. and will be used as basic data have led to institutional change for effective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note from editor, this part is also unclear).

      • KCI등재

        정신 장애인을 위한 지역사회기반의 작업치료에 대한 체계적 고찰

        우지희 대한작업치료학회 2021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9 No.3

        목적 : 본 연구는 정신 장애인을 위한 지역사회기반의 작업치료의 중재내용 및 방법을 분석하여 정신건강 작업치료의 임상실행을 위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10년부터 2020년까지 전자데이터 베이스인 Google Scholar, Web of Science, PsycINFO 를 통하여 논문을 검색하였다. 검색용어는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AND Severe mental illness OR Psychiatric disability OR Mental disorder 를 사용하였다. 배제기준을 통하여 최 종적으로 15개의 연구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결과 : 총 15편 연구들의 근거수준은 Level Ⅰ와 Level 2 가 대부분 차지하였고 연구대상군은 조현병이 가장 많이 차지하였다. 지역사회 기반의 정신작업치료는 작업기반의 중재 및 평가가 가장 많이 적용되었 다. 중재는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일 또는 사회참여 순으로 적용되었고. 중재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작업 기반, 수행중심의 평가도구 외에도 삶의 질, 심리사회적 기능, 정신적 증상을 평가가 적용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정신건강작업치료사들의 근거기반 실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지역사회 정신 재활서비스에서의 작업치료의 실행영역을 살펴봤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추후에는 국내에서도 작업기 반의 중재를 적용한 지역사회 정신작업치료 실행이 본격화되어야 할 것이고 이에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type of intervention, i.e., an evaluation tool applied to community-based occupational therapy for people with mental illness, as an evidence-based practice. Methods: For the main keywords of a database search,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AND ‘Severe mental illness’ OR ‘Psychiatric disability’ OR ‘Mental disorder’ were used. Using Google Scholar, Web of Science, and PsycINFO, we systematically examined papers published in journals from 2010 to 2020. Finally, 15 studies were selected through exclusion criteria. Results: Most of the selected studies were focused on evidence levels Ⅰ and Ⅱ. Most studies applied to community-based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for people with mental illness were occupation-based intervention, including IADL, Work, and Social participation. Occupation- and performance-based evaluation tools, as well as tools used to evaluate the quality of life, psychosocial function, and psychiatric symptom, were applied. Conclusion: Through this systematic review, clinical evidence on community-based occupational therapy was provided for people with mental illness to the occupational therapist. Because community-based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or people with mental illness is expected to be conducted within the country, related studies in this area are needed.

      • 기능적 과제훈련이 낙상경험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단일대상연구

        우지희,박혜연,김종배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16 재활치료과학 Vol.5 No.1

        목적 : 본 연구는 낙상 후 회복에 대한 개입으로 기능적 과제훈련이 포함된 작업치료적 중재가 낙상경험노인의 일상 생활수행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낙상경험노인 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반전설계에 동시 중재 교차설계 를 더한 것이다. 총 실험회기는 18회로 기초선 A와 A'는 주 3회 2주간 걸쳐 6회, 중재과정 B는 2가지 중재가 동일 한 날 점진적 저항근력운동의 낙상중재프로그램 1회, 점진적 저항근력운동에 기능적 과제훈련이 더해진 낙상중재 프로그램 1회가 오전, 오후 교대로 적용하여 주 3회씩 4주간 총 12회 진행하였다. 기초선 6회기, 중재 매 회기 마 다 버그균형척도(Berg-Balance Scale), 과제수정척도(Task Modification Scale), 한국어판 낙상 효능감(Korean versioin Fall Efficiency Scale)을 측정하였고 실험 전, 후에 대상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캐나다 작업수행평가(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ment)와 가정 내 일상생활활동평가(Assessment of Home-Based Activities)로 측정하였다. 결과 : 중재 전, 후에 일상생활수행능력은 수행도보다 만족도에서 향상되었고, 가정 내 일상생활활동의 독립성과 안 전성 영역에서 점수가 더 향상됨을 보였다. 점진적 저항근력운동만 중재했을 때보다 점진적 저항근력운동에 기능 적 과제훈련이 더해진 중재 후 낙상효능감과, 버그균형점수에서 통계적으로 더 큰 변화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는 낙상을 경험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치료 중재의 근거를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건강장애아동 및 청소년들의 신체기능 증진에 대한 중재 : 체계적 고찰

        우지희,김정란 대한작업치료학회 2016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4 No.1

        목적 : 본 연구는 체계적 고찰을 통해 건강장애아동 및 청소년들의 신체기능 증진을 위한 중재 및 평가, 대상 진단군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00년 이후부터 2014년 까지 데이터베이스 PubMed, CINAHL, Embase, RISS에서 “health impairment children OR chronic illness adolescent” AND “cancer OR diabetes mellitus OR asthma OR juvenile idiopathic arthritis” AND “physical exercise OR physical intervention”의 검색어로 연구를 검색하였다. 결과 : 분석대상연구는 총 18개로 근거수준은 Ⅰ,Ⅱ,Ⅴ이었다. 대상 진단군은 암(56.0%), 당뇨, 천식 각각 (16.7%), 소아 류마티스(11.1%)이었다. 중재내용은 대상자들의 질병에 상관없이 유산소 운동의 중재 (82.0%)가 가장 많았다. 평가영역은 운동 및 기능 평가(56.0%)가 가장 많이 실시되었고, 삶의 질과 호흡기능평가가 각각(23.0%)이었다. 총 18개의 연구 중 체계적 고찰, 전문가 의견수렴 연구 3편을 제외한 15편의 연구에 대하여 유의한 향상을 보인 연구는 9개로 유산소 운동, 근력 및 저항운동, 스트레칭이 포함된 중재가 가장 많았다. 결론 : 본 연구는 학교아동 작업치료 영역에서 건강장애아동 및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신체기능 증진을 위한 중재의 임상적용근거를 제시하였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건강장애아동 및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학교작업치료 서비스 효과를 분석하는 실행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agnostic groups, evaluation tools, and intervention for improving the physical functionality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impaired health through a systematic review. Methods: This study searched for other researches published in the PubMed, CINAHL, Embase, and RISS databases from 2000 to 2014. The keywords were “health impairment children OR chronic illness adolescent” AND “cancer OR diabetes mellitus OR asthma OR juvenile idiopathic arthritis” AND “physical exercise OR physical intervention.” Results: Fifteen studies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and the evidence was from levels Ⅰ, Ⅱ, and Ⅴ. The subjects suffered from cancer (56.0%), diabetes mellitus (16.7%), asthma (16.7%), and juvenile idiopathic arthritis (11.1%). An aerobic training intervention (82.0%) method was most frequently used. The areas of the evaluation were the motor and functional ability (56.0%), quality of life (23.0%), and respiratory function (23.0%). Nine studies (out of 15)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he physical func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impaired health. Conclusion: This study presented an evidence-based practice concerning an intervention for improving the physical functionality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impaired health.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encompass the effectiveness of school-based occupational therap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health impairments.

      • KCI등재

        뇌졸중으로 인한 연하곤란 환자들의 구강인두자극 프로그램 효과

        우지희,정원미,김용규,구정완 대한작업치료학회 2009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7 No.4

        목적 : 뇌졸중으로 인한 연하곤란 환자들의 특성에 따른 구강인두자극 프로그램 적용효과를 알아보고 뇌졸중 환자의 연하곤란 치료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 : 2008년 1월부터 3월까지 경기지역에 위치한 노인전문병원 1곳과 대학병원에 내원한 뇌졸중으로 인한 연하곤란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하루 2회 아침, 저녁 식전 30분씩 총 3주 동안 구강인두자극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연구 대상자를 발병기간 6개월 미만, 6개월 이후로 나눠 각 집단의 동질성 비교를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고 발병기간, 인지기능상태, 구강·비구강 섭취형태에 따른 각 집단 내의 구강인두자극 프로그램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구강인두자극 프로그램 적용 전·후 기능적 연하곤란척도 점수 차이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발병기간 6개월 미만, 인지기능 정상인 집단에서 구강인두자극 프로그램 적용 전·후에 연하곤란척도 점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5). 인지기능, 구강·비구강 섭취 형태에 따라 층화한 결과에서는 발병기간 6개월 미만의 집단에서 인지기능이 정상이고 구강섭취를 하는 경우에 연하곤란척도 점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5). 구강인두자극 프로그램 적용 전·후 기능적 연하곤란척도 점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발병기간, 인지기능, 구강·비구강의 섭취 형태였다. 결론 : 뇌졸중으로 인한 연하곤란 환자들에게 구강인두자극 프로그램을 적용할 때 발병기간 6개월 미만, 인지기능 상태의 정상, 구강섭취하는 대상자에게 효과적임을 나타내고 있다. 향후에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환자 특성 외에 요소들을 통제한 연구가 필요하며 구강인두자극 프로그램과 더불어 기능적 전기자극 치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관련요소와의 비교연구가 추가적으로 연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보호자의 견해를 중심으로 한 복지용구 개선점에 대한 질적 연구

        우지희 대한작업치료학회 2020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8 No.4

        목적 : 본 연구는 복지용구 사용자의 보호자들을 대상으로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실시하여 복지용구 품목 및 서비스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복지용구를 2년 이상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보호자들 5명을 대상으로, 반 구조화된 전화인터 뷰를 실시하였다. 전화 인터뷰는 2회 실시되었고 인터뷰 후 추가적인 질문이나 내용확인은 전화 통화나 이메일로 하였다. 인터뷰 한 모든 내용은 전사한 후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론에 따라 분석되었다. 결과 : 인터뷰 내용은 18개의 의미단위, 9개의 하위구성요소 그리고 구성요소 5개로 정리하였다. 복지용구 사용자의 보호자들은 복지용구 품목에 대한 개선점으로 사용자 질환 및 특성을 고려한 복지용구, 다양 한 옵션기능이 내제된 복지용구, 고령친화용품 기반의 복지용구 그리고 보호자의 부담을 덜 수 있는 복 지용구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복지용구와 관련된 서비스에서는 복지용구의 선택과 사용방법에 대 한 훈련을 담당하는 전문가 복지용구 전문가와 복지용구 사용에 대한 지속적인 사후관리의 필요성을 언 급하였다. 결론 : 본 연구는 복지용구의 사용과 전달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보호자의 견해를 살펴 복지용구와 관련한 개선방안을 사회적 환경의 시선에서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가 추후 재가 복지서비스 제도개선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추후에는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사용자 및 보호자들의 요구도를 바탕으로 한 복지용구의 품목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rovement of assistive device and service related assistive device for elderly people with long-term care insurance through phenomenological study. Methods: Data were collected in semi-structured telephone interviews with 5 caregiver of elderly who have used assistive device at least 2 years. Transcripts were analysed according to a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Results: The interview contents was organized into 18 meaning units, 9 sub-components and 5 components. Caregiver presented need for assistive device considering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user’s disease: embedding variable option function: aging-friendly assistive device and assistive device reducing caregiver’s burden. With regard to service related assistive device, they suggested the need for the experts in charge of selection: training on usage to assistive device: continuity of follow-up service related assistive device.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is study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presented that improvement on assistive device and service related assistive device in terms of social context effecting use of assistive device.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 evidence for improvement on assistive device for elderly with long-term care insurance. Also, will be need to develop assistive device considering needs of user and caregiver.

      • KCI등재

        전동휠체어 착석기능 중재에 대한 체계적 고찰

        우지희,김종배 대한작업치료학회 2017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5 No.4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urpose, method, and effectiveness of powered seating function intervention, and to share information regarding the powered seating function to occupational therapist and to suggest the usefulness of the powered seating function to improve wheelchair payment systems. Methods: This research searched for studies published in ScienceDirect and ProQuest databases from 2007 to 2016. The key words were “Power wheelchair user” OR “Handicapped with people” AND “Tilt-in-space” OR “Backrest recline” OR “Elevating legrest” OR “Seat elevator” OR “Power Seat Function(PSF)” Results: The PSF intervention was provided for the comfort and stability of Activity of Daily Living(ADL) performance of wheelchair users, and reduced the seating pressure.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intervention, the angle of the tiling and backrest reclining were combined. The tilt and reclining seating function were effective in reducing the sitting pressure on the ischial and coccygeal areas of wheelchair users who cannot achieve postural control. Conclusions: In the future, a study from an occupational therapy perspective should be carried out on how the results obtained by applying intervention to various subject in the environment affect the social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of wheelchair users. 목적:본 연구는 전동 휠체어 착석기능의 중재 목적, 방법 그리고 결과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여 작업치료사들에게 전동 휠체어 착석기능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전동휠체어 급여제도 개선을 위해 전동휠체어 착석기능의 유용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2007년 이후부터 2016년까지 데이터베이스 ScienceDirect, ProQuest에서 주요검색어 “Power wheelchair user” OR “Handicapped with people” AND “Tilt-in-space” OR “Backrest recline” OR “Elevating legrest” OR “Seat elevator” OR “Power Seat Function(PSF)”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14개의 연구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결과:전동 휠체어 착석기능은 휠체어 내에서의 편안함, 착석압력 감소 및 휠체어 사용자들의 안정적인 일상생활수행을 위해 중재되었다. 중재 목적에 따라 틸팅과 등받이 리클라인의 각도 조합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동휠체어 착석기능 중 틸트와 등받이 리클라인은 자세조절을 스스로 할 수 없는 휠체어 사용자의 엉덩뼈 및 꼬리뼈에 가해지는 착석압력 감소에 효과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본 연구를 통해 전동휠체어 착석기능 중재 목적, 방법 그리고 결과에 대한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착석기능에 대한 유용성을 제시하였다. 추후에는 다양한 환경에 속한 여러 대상자들에게 중재를 적용하여 얻어진 결과가 사용자의 사회참여 및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작업치료적 관점의 연구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노인복지용구의 품목 및 서비스의 만족도와 요구도에 대한 연구 :노인장기요양보험 등급 인정자를 중심으로

        우지희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9

        This study is was to suggest improvement of assistive device for the elderly according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and the needs of assistive device for elderly. The subjects were 184 beneficiary older adults in long-term health insurance who used home care service in I city and D city.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0.0. With the exception of cognitive assistance grade, subjects were showed from ‘normal’ to ‘ satisfied’ on a types of assistive device and services related to assistive device. Ⅰ, Ⅱ grade subjects needed assistive device for self-care. Ⅲ, Ⅳ and Ⅴ grade subjects needed assistive device for safety and health maintenance. In the service related assistive device, All subjects needed service on ‘periodic follow-up service’, ‘expert on assistive device’ and ‘comprehensive evaluation’. This results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 to needed assistive device in accordance with grade unlike previous studies. Results of this study will expected to utilize as a basic evidence for improvement of assistive device, service related to assistive device for elderly. 본 연구는 노인 장기요양보험 등급 인정자들의 노인복지용구 품목과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와 요구도를 조사함으로써 복지용구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자료수집은 D광역시와 I시에 위치한 재가복지서비스 시설을 이용하는 노인 장기요양보험 등급자 184명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인지지원 등급자를 제외한 대상자들은 복지용구 품목과 서비스에는 보통에서 만족하는 경향을 보였다. 1등급과 2등급 인정자들은 자조관리를 돕는 품목, 3등급에서 5등급 및 인지지원 등급자들은 건강관리 및 안전에 관련된 품목에 대한 요구도를 보였다. 복지용구 서비스에서는 모든 장기요양보험 등급 인정자들이 주기적인 추후관리 서비스, 복지용구 전문가 및 전문 인력 교육훈련 그리고 체계적인 평가를 필요로 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복지용구관련 선행연구와 달리 장기요양보험등급별 복지용구 품목에 대한 요구도를 세부적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추후 본 연구결과가 복지용구 품목 및 서비스와 관련한 제도개선에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해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