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정은희,우용상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7 유라시아연구 Vol.14 No.1
기업의 외부에는 주주 및 관계회사 등 다양한 종류의 특수관계자가 존재한다. 전통적으로 기업들은 위험 분산 및 시장지배력 확대 등을 위해 사업확장을 시도해왔으며, 이러한 시도의 결과로 수직계열화 또는 수평계열화 등을 통해 많은 관계회사들을 만들었다. 수직계열화의 경우 생산프로세스상에서 관계회사들간의 거래가 필수적이며, 수평계열화의 경우에도 사업초기 회사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관계회사간에 많은 거래를 하고 있다. 또한 기업은 관계회사뿐만 아니라 개인 특수관계자들과도 임대차 등의 거래를 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특수관계자와의 거래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특수관계자와의 거래가 갖는 의미에 대해 많은 선행연구들이 수행되어 왔다. 다수의 선행연구들은 특수관계자와의 거래는 거래 조건 및 시기 등을 결정하는 데에 경영자의 재량이 개입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특수관계자와의 거래가 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했다(Cheung et al., 2006; 김지홍과 우용상, 2008; 김지홍과 우용상, 2009; 최정호, 2009; Jian and Wong, 2010; Kohlbeck and Mayhew, 2010; 우용상과 이호영, 2010; 최정호, 2010; Lo and Wong, 2011; 김진회, 2011; 고윤성 등, 2011; 김영화, 2012; 조정은과 김상일, 2013; 정기위와 채수준, 2014; 김태동 등, 2016; 이진훤과 고윤성, 2016). 또한 최근 대기업들이 계열사들 간의 ‘일감 몰아주기’를 통해서 대주주의 사익을 추구하는 것이 문제가 되고 있어, 특수관계자와의 거래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부정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던 특수관계자와의 거래가 정보비대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봄으로써, 특수관계자와의 거래가 갖는 성격에 대한 추가적인 증거를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특수관계자와의 거래가 많은 기업일수록 재량적 발생액이 증가하며 이에 따라 발생액의 질이나 이익반응계수가 감소한다(김지홍과 우용상, 2008; 김지홍과 우용상, 2009; 최정호, 2009). 또한 이익조정과 정보비대칭 사이에 양(+)의 관계가 존재한다는 장석오(2007)의 연구결과를 이용하면, 특수관계자와의 거래와 정보비대칭 사이에는 양(+)의 관계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Coase(1937)에 의하면 기업의 규모가 작은 경우에는 재화의 조달을 내부에서 처리하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에 특수관계자와의 거래는 기업의 비용을 줄이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특수관계자의 거래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정보비대칭과 무관하게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기업의 규모가 큰 경우 특수관계자와의 거래는 경영자의 재량적인 행위에 의해 이루어져 정보비대칭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진다. 따라서 특수관계자와의 거래는 기업의 규모에 따라 적절한 수준으로 사용하는 경우 기업의 비용을 줄여주는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기업규모에 따라 특수관계자와의 거래비중이 스프레드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정보비대칭의 대용치로는 매수-매도호가 스프레드를 사용한다. 분석결과 특수관계자와의 거래비중이 증가할수록 매수-매도호가 스프레드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특수관계자와의 거래비중이 증가할수록 이해관계자들에게 충분한 정보를 전달하지 못할 가능성이 커지며, 이에 따라 정보비대칭이 상승하기 때문에 투자자들과 기존 주주들의 매수호...
연구개발 지출과 감사시간 및 감사보수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우용상 한국회계정보학회 2010 재무와회계정보저널 Vol.10 No.4
This study aims to suggest empirical evidences on auditor's estimation of R&D investment and asset treatment of R&D investment. Prior studies on R&D investment suggest that CEO tries to manage earnings discretionarily using adjustment of R&D investment or asset treatment of R&D investment. Therefore, auditors are likely to regard R&D investment as a determinant of audit risk. If R&D investment is associated with audit risk, R&D investment would have an influence on audit fees and audit hours. The empirical results ae as follows. First, audit fees and audit hours a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whether there is R&D investment or not in listed companies. Second, audit fees and audit hours are much when there is asset treatment of R&D investment on listed company. Third, the amount of R&D investment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udit fees and audit hours on listed companies with R&D investment. Fourth, the asset treatment ratio of R&D investment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udit fees on listed companies with R&D investment. Fifth, there i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difference of R&D investment and audit fees, audit hours. Sixth, the difference of asset treatment ratio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udit fees, but it is not significantly related with audit hours. 본 연구는 연구개발 지출 및 연구개발 지출의 자본화에 대해 감사인들이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 실증적인 증거를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개발 지출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의 분석결과에 의하면, 경영자들은 연구개발 지출 규모 및 자본화 여부의 재량적인 선택을 이용하여 이익조정을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연구개발 지출이 이익조정의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면, 감사인들은 이를 감사위험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평가할 것이다. 그러므로 연구개발 지출에 따라 사전적 감사위험을 반영한 결과인 감사보수와 사후적 감사위험을 반영한 결과인 감사시간이 영향을 받을 것으로 판단된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전체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연구개발 지출이 있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간에 감사보수 및 감사시간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전체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자본화된 연구개발 지출이 있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감사보수 및 감사시간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연구개발 지출이 있는 상장기업만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연구개발 지출 금액이 높을수록 감사보수 및 감사시간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 연구개발 지출이 있는 상장기업만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연구개발 지출의 자본화 비율이 높을수록 감사보수는 높으나, 감사시간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 번째, 연구개발 지출금액의 증감은 감사보수 및 감사시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분석결과를 발견했다. 여섯 번째, 연구개발 지출의 자본화 비율이 증가할수록 감사보수는 상승하나, 감사시간은 이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분석결과를 발견했다.
우용상,이호영 韓國公認會計士會 2009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49 No.-
The Korean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No. 17 defines contingent liabilities as those satisfying one the following conditions: (1) "a possible obligation that arises from past events and whose existence will be confirmed only by the occurrence or non-occurrence of one or more uncertain future events not wholly within the control of the entity; or (2) a present obligation that arises from past events but is not recognized because it is not probable or the amount of the obligation cannot be measured with sufficient reliability.“ Contingent liabilities are not recognized as a liability in the main body of financial statements. They are disclosed as a part of notes instead. One of major contingent liability items in Korea is loan guarantees. While loan guarantees account for a large portion of net assets, their roles in audit risk have not been examined. Prior studies on loan guarantees have examined the evaluation of loan guarantees using option pricing models and changes of firm values with respect to loan guarantees (see Merton 1977; Sosin 1980; Jones and Mason 1980; Kim 1991). These prior studies can be classified in terms of two primary areas: the signaling effect of loan guarantees and the riskiness of contingent li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sociations of loan guarantees with audit fees and audit hours. There are two conflicting assertions in study on loan guarantees. One assertion is that loan guarantees are treated as contingent liabilities, so the value of guarantor firm will be decreased. Another assertion is that loan guarantees have a signalling effect which suggests that a guarantor firm has an ability to redeem the possible liabilities from loan guarantees, so investors perceive loan guarantees as good news. This study clarifies these two conflicting assertions from the auditors' perspectives. If auditors consider loan guarantees as contingent liabilities, auditors would estimate audit risk as high as the amount of loan guarantees increases, therefore, they are likely to charge higher audit fees. In addition, auditors will spend more time in audit procedures to reduce high audit risk because of a large amount of loan guarantees. If auditors, however, consider loan guarantees as a signal which a guarantor firm has an sufficient ability to redeem the possible liabilities from loan guarantees, auditors would estimate audit risk as low in case of large loan guarantees. As a result, auditors would make an audit engagement contract with a company with much loan guarantees in spite of little audit fees. Also auditors are unlikely to increase time spent in conducting audit procedures since they believe loan guarantees do not affect or even lower audit risk. Using the sample of the non-financial public companies that disclosed audit fees and audit hours in their audit reports and annual reports from 2003 to 2005,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auditors ask for higher audit fees and spend more time in audit procedures as the amount of loan guarantees increas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uditors consider loan guarantees as a factor that increases audit risk rather than a signal of sufficient financial strength. Further analyses reveal that for firms belonging to one of the largest thirty business groups referred to as Chaebol, no association between loan guarantees and audit fees is found while for those that are not a member of Chaebol,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loan guarantees and audit fees is found. These results suggest that auditors believe firms that are members of Chaebol do not have high audit risks due to their relatively sound financial health or mutual supports among member firms. Alternatively, the benefits of keeping Chaebol firms without increasing fees are greater than the costs pertaining to loan guarantees. Interestingly, positive associations between loan guarantees and audit hours, however, are found in both groups, suggesting that regardless of the effect on audit costs, auditors spend more time possibly to reduce audit risk pertaining to loan guarantees. We also separately examine the sample firms with respect to debt ratio.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the amount of loan guarantees and audit fees for firms with high debt ratio.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loan guarantees and audit hours is also found for high debt ratio firm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uditors of firms with high debt ratio are concerned with a potential audit risk associated with contingent liabilities increasing fees and audit hours. On the other hand, auditors of firms with low debt ratio are not concerned with additional audit risks from contingent liabilities. 지급보증에 대해서는 두 가지 상반되는 주장이 존재하는데, 첫째는 지급보증이 갖는 우발부채적인 성격에 초점을 맞추어 지급보증의 제공이 기업의 부를 감소시킨다는 주장이다. 두 번째는 지급보증은 기업의 부채상환능력이 충분함을 보여주는 일종의 신호효과를 갖는다는 주장으로 지급보증의 제공을 투자자들은 긍정적인 신호로 평가하여 기업의 부가 증가한다는 주장이다. 이처럼 지급보증 제공에 대한 상반된 주장을 감사인의 입장에서 실증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즉, 감사인이 감사대상 회사가 타인에게 제공한 지급보증의 우발부채적인 성격에 초점을 맞춘다면, 감사인은 회사가 타인에게 제공한 지급보증이 감사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이라고 간주할 것이다. 이에 따라 감사인은 자신이 부담하는 감사위험에 상응하는 감사보수를 회사에 요구할 것이고, 그로 인해 감사보수는 상승할 것이다. 또한 감사인은 부담하는 감사위험을 최대한 낮추기 위해 많은 감사시간을 투입할 것이다. 반대로 감사인이 감사대상 회사가 타인에게 제공한 지급보증의 신호효과에 초점을 맞춘다면, 감사인은 회사가 타인에게 제공한 지급보증이 회사의 부채상환능력이 충분함을 보여주는 증거로서 해석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감사위험이 낮은 것으로 평가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감사보수에도 감사업무를 수임할 것이다. 그리고 감사인은 부담하는 감사위험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감사시간도 적게 투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2003년부터 2005년까지 감사시간과 감사보수를 사업보고서에 공시한 12월 결산 상장법인(금융업 제외)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한 결과, 감사인은 감사대상 회사가 타인에게 제공한 지급보증이 많을수록 높은 감사보수를 요구하고 많은 감사시간을 감사과정에 투입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이는 감사인은 감사대상 회사가 타인에게 제공한 지급보증의 우발부채적인 성격에 초점을 맞추어 감사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파악하고 있다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전체표본을 30대 대기업집단 소속여부 및 부채비율에 따라 두 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 30대 대기업집단에 소속된 경우 지급보증금액이 증가해도 감사보수는 증가하지 않으나 감사시간은 많이 투입되며, 30대 대기업집단에 소속되지 않은 기업에 대해서는 지급보증금액이 증가할수록 감사보수 및 감사시간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채비율에 따른 추가분석 결과, 부채비율이 높은 기업의 경우 지급보증금액과 감사보수 및 감사시간 간에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 부채비율이 낮은 기업에 대해서는 지급보증금액과 감사보수 및 감사시간 간에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결감사인 일치화 실태와 New ISA 600 도입에 따른 문제에 대한 고찰
우용상,정광화,김우영 한국회계정책학회 2012 회계와 정책연구 Vol.17 No.4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decided to adopt New International Standard on Auditing (New ISA) statements, which will be effective from 2014. Among the statements, New ISA 600 prohibits a group auditor to make reference to the audit of other auditors when he/she expresses his/her opinion on the financial statements. In the practice, therefore, there is growing concern that the introduction of New ISA 600 leads to the unification of auditors into several major accounting firms. That is, group auditors replace component auditors in the audit engagements of subsidiaries, due to group auditors' increased responsibility. There are conflicting arguments on the effect of auditor unification. One stream of prior research asserts that audit quality can be improved through the unification of auditors into a group auditor. Another stream, on the other hand, argues that the concentration of audit engagements into several major accounting firms result in oligopoly in accounting industry, which distorts the market. In case of that, the negative consequences to the society is more serious when it is wrong with major accounting firms. Considering thes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it needs to investigate whether the unification of auditors into group auditor is desirable. This study examines the matter of auditor unification regarding the introduction of New ISA 600. Specifically, we investigate the state of auditor unification for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and interview members who are in charge of the Office of Quality and Risk Management in several accounting firms. In doing so, we identify the issues and related suggestions on the introduction of New ISA 600. 금융감독원은 2013년부터 신국제감사기준(New ISA)을 도입하기로 하였다. 그중 New ISA 600은 그룹재무제표에 대한 감사를 규정하고 있으며, 연결재무제표에 대한 감사보고서에서 책임구분 문구를 언급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그로 인해 우리나라 실무계에서는 New ISA 600이 도입되면 주감사인이 종속회사를 모두 감사하는 감사인 일치화 현상이 발생할 것을 우려하고 있다. 감사인 일치화에 대해서는 견해가 엇갈린다. 감사인 일치화는 감사품질의 향상을 가져온다는 선행연구들도 있지만 반면에 대형회계법인으로의 감사업무 집중은 결국 회계산업의 독과점을 초래하여 시장왜곡을 불러일으킨다는 우려도 존재한다. 이 경우, 대형회계법인에 문제가 발생하면 그 피해는 상대적으로 더 심각해진다. 따라서 감사인 일치화는 단순하게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New ISA 600의 도입에 따른 감사인 일치화 문제를 다룬다. 구체적으로, 현재 감사인 일치화 현황을 조사하고 다수 회계법인들의 심리담당사원들과 면담하여 실무계의 의견을 수렴한다. 이를 통해 New ISA 600 도입에 따른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모색한다.
우용상 한국회계정책학회 2015 회계와 정책연구 Vol.20 No.2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relation between tax avoidance and managerial perquisite consumption. The empirical result based on the analysis with companies listed on KRX from 2001 to 2013 shows that tax avoidance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managerial perquisite consumption. This result corresponds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at tax avoidance occurs often when the governance structure of company is weak or agent cost is high. Because monitoring on management is not effective when the governance structure is weak or agent cost is high, management spends cash in managerial perquisite consumption which is additionally earned from tax avoidance action. In additional analysis, there is no evidence whether major shareholder’s ownership percentage has an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tax avoidance and managerial perquisite consumption. However, foreign shareholder’s ownership percentage weakens the positive relation between tax avoidance and managerial perquisite consumption measured by welfare expenses. This result means that it is less possible that additional cash from tax avoidance is spent on managerial perquisite consumption when foreign shareholder’s ownership percentage is high. The hypothesis is partially supported that the positive relation between tax avoidance and managerial perquisite consumption is significantly weakened in case of high growth of a company.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hat this is the first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tax avoidance and managerial perquisite consumption. 본 연구는 조세회피와 경영자의 사적소비 간의 상관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2001년부터 2013년까지 한국거래소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한 결과, 조세회피금액이 큰 경우 경영자의 사적소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세회피가 기업의 지배구조가 취약하고 대리인비용이 높은 경우 많이 발생한다는 선행연구 결과와 일관된 분석결과로, 기업의 지배구조가 취약하고 대리인비용이 높은 경우에는 경영자에 대한 감시가 원활하지 않기때문에 경영자는 조세회피로 창출한 추가적인 현금흐름을 사적소비에 지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추가로,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자 지분율은 조세회피와 경영자의 사적소비 간의 양(+)의 상관관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경영자의 사적소비를 복리후생비로 측정하는 경우 외국인 지분율은 조세회피와 경영자의 사적소비 간의 양(+)의 상관관계를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외국인 지분율이 높은 기업의 경우 조세회피로 인해 창출되는 추가적인 현금흐름이 경영자의 사적소비로 사용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기업의 성장성이 조세회피와 경영자의 사적소비 간의 양(+)의 상관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한 결과, 성장성이 높은 경우 조세회피와 경영자의 사적소비간의 양(+)의 상관관계가 유의하게 감소한다는 가설을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의 조세회피 관련 선행연구에서는 다루지 않던 조세회피와 경영자의 사적소비 간의 상관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한 데 의의가 있다.
우용상 한국회계정책학회 2009 회계와 정책연구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ole of accounting conservatism. There are conflicting assertions about the role of accounting conservatism in previous studies; the first assertion is that accounting conservatism reduces agency cost while the second is that CEO uses accounting conservatism for personal advantage like earnings management. If accounting conservatism reduces agency cost,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accounting conservatism and tax avoidance. But if CEO uses accounting conservatism for personal advantage, the CEO reduces corporate tax using accounting conservatism, which increase corporate value and raise compensation for the CEO. This study complements previous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tax and accounting conservatism. Previous studies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tax and accounting conservatism with the method in which total samples were divided into 5 groups while the level of corporate tax and the measures of accounting conservatism from every groups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This method has the assumption that accounting conservatism is the only factor of reducing corporate tax. But when accounting conservatism is high, corporate tax is not always low. So, this study used the measure of tax avoidance by Desai and Dharmapala (2006). The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accounting conservatism and tax avoidance. This result means that accounting conservatism can be used as a way of CEO's personal advantage.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accounting conservatism and tax avoidance in the case of high profitability sampl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accounting conservatism and tax avoidance in the case of low profitability sample. This study suggests robust results for the role of accounting conservatism, and complements the limit of previous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ounting conservatism and corporate tax. 본 연구는 보수적 회계처리와 조세회피 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보수적 회계처리의 역할을 명확하게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는 보수주의 회계처리와 법인세 비용 및 법인세 부담액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선행연구를 확장, 보완하였다. 선행연구에서는 전체 표본을 법인세 비용 또는 법인세 부담액에 따라 5개의 집단으로 구분하여 각 집단별로 보수주의 측정치를 산출하여 이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분석을 실시했는데, 이는 보수주의 회계처리 성향이 높다면 법인세 비용 또는 법인세 부담액의 절대적인 크기가 감소할 것이라는 가정 하에 분석한 것이다. 그러나 보수주의 회계처리 성향이 높다고 해서 법인세 비용 또는 법인세 부담액의 절대적인 크기가 감소할 것으로 보기는 어렵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Desai와 Dharmapala(2006)가 제시한 조세회피 측정치를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했다. 2002년부터 2006년까지의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보수주의 회계처리 성향이 높은 기업이 조세회피 측정치가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또한 수익성이 높은 기업의 경우 보수주의 회계처리를 이용하여 조세회피를 시도하고 있으나 수익성이 낮은 기업의 경우에는 보수주의 회계처리와 조세회피 간에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수익성에 따라 보수주의 회계처리를 이용한 조세회피 시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상반된 주장이 제기되고 있는 보수적 회계처리의 역할에 대해 보다 강건한 실증적 증거를 제시하고 있으며, 보수적 회계처리와 법인세 비용 및 법인세 부담액 간의 상관관계를 다룬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개선하고 있다.
우용상,이호영 韓國公認會計士會 2007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46 No.-
본 연구는 감사보수와 재무제표의 보수주의간의 상호관계에 대해 두 가지 관점에서 검증했다. 첫 번째로는 감사인이 감사보수를 결정할 때 전년도 재무제표의 보수주의 회계처리 여부를 반영하고 있는지에 대해 검증하는 것이다. 두 번째로는 당해 연도 감사보수가 당해 연도 재무제표의 보수주의 성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검증하는 것이다. 감사보수가 자율화된 이후 기간인 1999년부터 2006년까지의 기간에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12월 결산법인 중 금융업에 속하지 않는 총 3,047개의 기업-연도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첫째, 전년도 재무제표의 보수주의 성향과 당해 연도 감사보수간에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둘째, 당해 연도 감사보수와 당해 연도 재무제표의 보수주의 성향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추가로 내부회계관리제도가 본격적으로 시행된 2005년을 전후하여 감사보수와 보수주의 회계처리 간의 상호관계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살펴본 결과, 내부회계관리제도가 본격적으로 시행된 이후 감사보수와 보수주의 회계처리 간의 상호관계가 더욱 강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회계정보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내부회계관리제도의 목적이 달성되고 있다는 증거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Determining an optimal level of audit fees is important for both auditors and clients since audit fees are associated with audit quality which directly affects the qua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Audit quality is commonly proxied by the level of conservatism embedded in financial statements. In this study, we examine two topics of relationship between conservatism and audit fee. First, this study examines whether conservatism of prior year influences the audit fee of this year. Second,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audit fee of this year influences conservatism of this year. Several prior studies have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earnings management and audit fees. For example, Gul et al. (2003) find that discretionary accruals that are used as a means of earnings management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audit fees. Park (2005) also finds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discretionary accruals and audit fees. Unlike previous studies, we use a model used in Paek and Lee (2004) and Penman and Zhang (2002) in measuring the level of conservatism. We argue that this measure suffers measurement errors less than others since it requires fewer judgements and subjective assumptions than others. The sample consists of 3,047 firm-years(non-banking firms) listed on Korean Stock Exchange over the period of 1999-2006 after the audit fee deregulation. Auditors evaluate audit risk associated with a specific client during their audit engagement contract.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of audit risk would be the level of clients' accounting conservatism since the conservatism is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qua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When the qua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is high, auditors experience low audit risk. At the time auditors contract their audit engagements with clients, only historical accounting information is available. Thus, auditors must evaluate the accounting conservatism in prior periods and, therefore, audit fees are expected to be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prior year's accounting conservatism. Consistent with this view, we find that the audit fees of this year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conservatism of prior year. Several robustness tests also provide consistent results with our main analyses. Second, auditors receiving a greater amount of audit fees than others are expected to exert more effort and time to maintain their reputation. When auditors allocate more resources in their audit procedures, clients' accounting information is likely to be more conservative. Consistent with our expectation, we find that the conservatism of this year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audit fee of this year. In addition to these results,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ervatism and the audit fee is changed after the adoption of internal accounting management system. The introduction of internal accounting management system in Korea has increased auditors' litigation risk and, therefore, auditors receiving higher fees may have greater motivation to exert more efforts than before. The empirical result show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ervatism and the audit fee after the adoption of internal accounting management system is stronger than before the adoption.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objects of internal accounting management system are atta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audit firms and regulators with useful information for their audit fee determination and policy ma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