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근로자의 주도적 경력행동과 예측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 : 사회인지경력이론과 목표설정이론을 중심으로

        우성미(Sungmi Woo)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21 여성연구 Vol.110 No.3

        본 연구는 여성근로자의 주도적 경력행동을 탐색하기 위하여 사회인지경력이론과 목표설정이론의 통합적 접근을 통해 예측요인을 탐색하고 연구모형을 제시하여 검증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 민간기업에 근무하는 여성 임금근로자 589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모형의 적합성과 연구변인 간의 직・간접경로의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회인지경력이론과 목표설정이론의 통합에 따른 연구모형은 적합하였다. 또한 연구변인 간의 관계에서 결과기대와 주도적 경력행동, 목표구체성과 주도적 경력행동을 제외한 직접효과는 유의했으며, 다양한 간접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틀 토대로 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인지경력이론과 목표설정이론의 통합모형을 실증함으로써 이론적 확장에 기여하였다. 둘째, 여성근로자의 주도적 경력행동의 과정에서 자기효능감은 중요한 예측요인임이 확인되었다. 셋째, 결과기대는 다른 예측 요인에 선행하여 주도적 경력행동을 이끄는 역할을 하였다. 넷째, 여성근로자에게 직무에서의 도전적인 목표설정과 몰입은 개인적‧조직적 차원의 경력개발 기회로 활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e career behavior and the predictive factors of female workers. For the purpose, this study presented a research model integrating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and goal setting theory as a theoretical framework to explain the proactive career behavior of female workers. For the purpose, 589 samples were used for analysis, an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below. The research model was fit to explain integrating theory.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arch variables, direct effects excluding outcome expectation and proactive career behavior, goal specificity and proactive career behavior were significant, and indirect effects were varied. The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he contributed to theoretical expansion by demonstrating the integration of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and goal setting theory.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self-efficacy is an important predictor in the process of female worker-led career behavior. Third, outcome expectations played a role in guiding leading career behavior ahead of other predictors. Fourth, challenging goal setting and commitment in the job for female workers can be a factor in career development on an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

      • KCI등재

        남편의 성역할 인식과 아내의 경제활동 참여에서 연령과소득의 조절된 조절효과

        우성미 ( Sungmi Woo ),정홍인 ( Hongin Jeo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는 남편의 성역할 인식과 아내의 경제활동 참여의 관계에서 연령과 소득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을 위하여 한국복지패널 13차 데이터 1,611명을 대상으로 SPSS Process macro 3.5.3을 활용하였으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편의 성역할 인식은 아내의 경제활동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둘째, 남편의 성역할 인식과 아내의 경제활동 참여 간의 관계에서 남편 연령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아내의 경제활동 참여에 대한 남편의 성역할 인식과 연령의 조절효과는 소득에 의해 유의하게 조절되었다. 소득이 높은 X세대와 Y세대는 남편의 평등한 성역할 인식이 아내의 경제활동 참여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아내의 경제활동 참여에 대한 부부 관련 다양한 변인들에 대한 후속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moderated moderation effect of age and incom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usband’s recognition of gender role and wife’s labor force participation.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usband’s perception of gender role has a positive impact on his wife’s labor force participation, and second, There was not the moderate effect of husband’s a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usband’s perception of gender role and his wife’s labor force participation. Third, the husband’s perception of gender role and the moderate effect of age on his wife’s labor force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tly moderated by income. High-income generations X and Y found that their husbands’ awareness of gender roles increased their wives’ labor force participation.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proceed with subsequent research on various eccentric couples related to wives’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 KCI등재

        일의 의미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우성미(Woo, Sung Mi),정홍인(Jeong, Hong In)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2021 사회융합연구 Vol.5 No.6

        본 연구는 국내에서 수행된 일의 의미 관련 변인 연구를 종합하여 각 변인과 일의 의미 간의 관계를파악하고, 변인 간의 효과크기를 구명하기 위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2021년 7월까지일의 의미를 주제로 발간된 국내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63편을 선정하였으며, 일의 의미와 관련된 변인을 개인요인 8개, 조직요인 12개로 구분하여 효과크기를 추출하였다. R프로그램 4.0.3의 메타분석 패키지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의 의미와 관련된 개인변인은 번영, 삶의 만족, 삶의 의미, 소명의식, 소명수행의식, 소진, 일과 삶의 균형, 자기효능감이었으며, 이 중에서가장 큰 효과크기를 나타낸 변인은 소명 관련 변인(소명의식, 소명수행의식)이었으며, 다음으로 번영, 삶의의미와 삶의 만족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의 의미와 관련된 조직변인은 직무열의, 조직몰입, 잡크래프팅, 직무만족, 개인-직무적합성, 기업의 사회적 책임, 정서적 몰입, 혁신행동, 직무성과와 정적 관계가 있었고,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이직의도와 부적 관계가 있었다. 정적 관계에서는 직무열의의 효과크기가가장 컸고, 부적 관계에서는 직무스트레스의 효과크기가 가장 컸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연구의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ning of work and related variables through meta-analysis. For this reason, 63 papers published in Korea were selected. As for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meaning of work, 8 individual variables and 12 organizational variables were derived, and the effect sizes of the variables were analyzed. For analysis, the meta-analysis package of R program 4.0.3 was us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dividual variables related to the meaning of work were flourishing, life satisfaction, meaning of life, calling, living a calling, burnout, work-life balance, and self-efficacy. Among them, the variable with the largest effect size was the calling and the living a calling. Second, organizational variables related to the meaning of work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work engage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crafting, job satisfaction, individual-job suitability,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emotional commitment, innovation behavior, and job performance, and there was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job stress, job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In the positive relationship, job enthusiasm had the largest effect size, and in the negative relationship, job stress had the largest effect size.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prepare a way to increase the level of meaning of work at th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through the above research results were presented.

      • KCI등재

        테크핀 시대 금융권 브랜드 경험 창출 사례 연구

        우성미 ( Woo Sung-mi ),안병학 ( Ahn Byung-hak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9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9 No.-

        이 연구는 현 금융시장의 패러다임 변화, 즉 테크핀(Techfin) 시대에 있어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는 고객 경험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고, 기존의 금융기업이 채널별로 어떻게 고객에게 브랜드 경험 창출을 하고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진행되었다. 먼저 금융 패러다임의 변화 양상을 국내외 테크핀 기업의 동향을 통해 파악한 후, 기존의 양상과는 다른 브랜드의 정의, 고객 경험에 따른 기업 브랜드 이미지 구축의 중요성을 문헌연구와 선행연구를 통해 알아보았다. 또한 변화의 흐름 속에서 대면·비대면 채널 양쪽 모두 강화하고 있는 3개의 은행 브랜드 사례 분석을 진행했다. 연구결과 각 은행은 테크핀 기업 못지않은 온라인·모바일 및 지점 서비스 강화를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시점에서 고객을 만족시키는 은행은 KB국민은행이라 판단되었다. 이 연구에서 강조하고자 하는점은 패러다임의 변화 속에 전 금융권이 고객을 확보하기 위해 가장 선행되어야 하는 것은 고객에 대한 이해이며, 그들이 필요로 하는 것을 충실하게 반영한 채널별 전략을 통해 고객 경험을 창출해야 한다는 것이다. This study delves into the paradigm shift in the current financial market with a highlight on the concept of customer experience, which is growing in significance in the era of Techfin, and how existing financial companies are creating brand experiences for customers for certain channels. Our insight is anchored in acquiring a contextual understanding of the significance of differentiated definition of a ‘brand’ from its previous concepts, and in building a corporate brand image based on customer experience through reviewing the past literature and research cases. Also, a cas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ree banking brands which have been reinforcing their capabilities in both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channels amidst the current time of changes. As a result, it was identified that each brand is in the middle of a dedicated process of strengthening their level of excellence in online, mobile and branch services as well as techfin enterprises, and that KB Kookmin Bank currently is the most competent in terms of customer satisfaction. This study intends to place a strong emphasis on the fact that in the midst of a paradigm shift, a deep understanding of customers remains the most crucial factor in acquiring new customers for the entire financial industry, and it is vital to create tailored customer experiences through crafting channel-specific strategies reflecting customers’ needs and demands.

      • KCI등재

        교수지지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학습민첩성의 매개효과 : 대구·경북권 대학생을 중심으로

        정홍인(Jeong Hongin),우성미(Woo Sungmi)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3 No.1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환경과 COVID 19 로 대학생들의 진로준비에는 많은 혼란이 초래되었고, 대학과 교수의 역할에도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시급히 규명하여 취업시장 한파를 돌파할 수 있는 준비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있어 교수지지의 역할과 학습민첩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수지지, 진로준비행동, 학습민첩성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변인 간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대구, 경북권 내 4년제 대학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165명의 데이터는 SPSS와 AMOS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지지는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수지지가 높을수록 학습민첩성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민첩성이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수지지와 진로준비행동 간 학습민첩성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수지지와 학습민첩성이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하며, 교수지지와 진로준비행동이 연결되기 위해서는 학습민첩성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대학과 교수는 학생이 자신에게 맞는 진로를 준비할 수 있도록 관심을 기울여야 하고, 사회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새로운 것을 학습할 수 있는 역량으로 학습민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더불어 학생의 학습민첩성과 진로준비행동에 교수지지가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으로 밝혀진 만큼, 교수 본연의 역할인 학습과 진로지도 역량을 제고하고 학교 또한 교수의 역량 제고를 위해 필요한 지원을 적극적으로 제공해야 한다. 상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 and COVID 19 have caused a lot of confusion in university students career preparation, and the role of universities and professors is also required.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ag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or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o this en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professor suppor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learning agility were reviewed, and the model between variables was established based on this. For the practical verification of this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on students from four-year universities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and 165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21.0 program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rofesso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university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professor support, the more sensitive it was to learning agility. Thir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learning agility, the more significant it had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inally, it was found that learning agility between professor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artially mediated.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professor support and learning agility have a positiv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hat learning agility must be sensitively expressed in order for professor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o be connected.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universities and professors should pay attention to help students prepare for a career that suits them, and improve learning agility with the ability to flexibly respond to social changes and learn new things. In addition, as it has been found to be a prerequisite for students learning ag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original role of professors, learning and career guidance capabilities, and schools should also actively provide necessary support to enhance professors capabilitie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presented.

      • 딥러닝 기반의 오디오 워터마킹 기술 연구

        허정회 ( Jung-hoe Hur ),우성미 ( Seongmi Woo ),이대원 ( Daewon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9 No.1

        오늘날 이미지 및 오디오와 같은 디지털 미디어의 활용이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 워터마킹 기술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최근 딥러닝 기반 이미지 워터마킹 기술에 대한 다양한 연구 결과가 발표되고 있는 반면, 딥러닝을 이용한 오디오 워터마킹에 관련된 연구는 미진한 것이 현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을 기반으로 오디오 워터마킹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오토인코더 모델 및 생성적 적대 신경망 모델에 대해 제안한다.

      • KCI등재

        지역인적자원개발의 실천 동향 : 2006년-2016년 4대 중앙 일간지 게재기사를 중심으로

        권대봉 ( Dae-bong Kwon ),현영섭 ( Young-sup Hyun ),정은정 ( Eun-jung Jung ),우성미 ( Sungmi Woo ) 안암교육학회 2016 한국교육학연구 Vol.22 No.2

        본 연구목적은 신문기사에 등장하는 지역인적자원개발의 실천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한국의 4개 일간지(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에 2006년부터 2016년 사이에 게재된 기사를 수집 분석하였다. 총 447개의 기사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신 문기사에서 지역인적자원개발과 관련한 핵심어를 추출하고 SPSS 21.0과 UCINET 6.0 프로 그램을 활용하여, 출현 비율, 중심성, 연결망 그래프, 커뮤니티 등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출현 비율이 높은 핵심어로는 고용, 대학, 기업, 연계, 지방정부, 지역사회, 양 성 등이었다. 둘째, 최근으로 오면서 고용이나 경제 등의 강조로 인하여 지역특성, 여성, 지역주민, 지역공동체 등 다양한 핵심어의 출현 비율이 낮아지고 있다. 셋째, 핵심어 연결망은 중심부와 주변부로 구분되었다. 중심부에는 고용, 대학, 기업, 연계, 지방정부 등이 위치하였다. 주변부에는 새롭게 나타나는 핵심어, 비관적 핵심어, 기저를 구성하는 핵심어 등이 포함 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논의와 결론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actical trends of Reg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RHRD) by content analysis of Korea’s 4 major daily newspapers(The Chosun Daily News, The JungAng Daily News, The Dong-A Daily News, and The Hankyoreh News). For the purpose, 447 articles published from 2006 to 2016 were used for analyses. The keywords related to RHRD were extracted in the newspapers, and we analyzed frequency, percentage, and conceptual networks using SPSS 21 and UCINET 6.0. The results showed as in the following: First, employment, university and college, company, partnership, and local government occupied the highest group in the frequency and centrality. Second, lately the frequency of employment was increased but the diversity of keyword in newspapers was decreased such as women, local residents, community and so on. Third, the conceptual networks consisted of two parts as the core and periphery. The core contained employment, university and college, company, partnership, and local government. And the periphery contained new or critical or fundamental concep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oposed discussion and implications.

      • KCI등재

        잿빛만가닥버섯(Lyophyllum decastes)의 발효톱밥에 의한 인공재배 특성에 관한 연구

        우성미 한국버섯학회 2009 한국버섯학회지 Vol.7 No.4

        잿빛만가닥버섯의 인공재배법을 개발하고자 국내·외에서 수집한 균주의 균사배양 특성을 검정하고 자실체 발생을 위한 다양한 재배방법을 구명하였다. 잿빛만가닥버섯 9균주를 공시하여 선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균사생장속도가 빠르고 균사밀도가 양호한 SPA 202 및 SPA 205균주를 선발하였으며 선발배지는 BC배지가 가장 양호하였다. 인공재배 시 참나무톱밥과 포플러톱밥이 균사생장속도가 가장 빠르고 균사밀도가 가장 치밀하였으며 최적배지는 발효톱밥을 사용한 참나무톱밥(Quercus aliena)40%+포플러톱밥(Populus deltoides)40%+미강(Rice bran)10 %+밀기울(Wheat bran)10% 배지로서 이 때균사배양적온은 20-25℃이며 배양기간은 접종 후 50일, 복토 후 7일이 소요되었으며, 원기형성 및 자실체생육기간은 17-18℃에서 각각 10~11일, 7~8일이 소요되었다. SPA 202균주의 수확적기의 자실체는 갓의 직경이 60mm, 대의 길이가 67mm이며, 수량은1,100㎖병당 130g이었으며 SPA 205균주의 수확적기의 자실체는 갓의 직경이 51mm, 대의 길이가 81mm, 129g이었다. 잿빛만가닥버섯 인공재배 결과, 배지는 발효톱밥 처리구가 미발효톱밥 처리구보다 수량이 많아 SPA 202균주와 SPA 205균주가 가장 양호한 균주로 선발되었다. Thes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optimal culture conditions for nine strains of collected Hatakeshimeji, Lyophyllum decastes (Fr.:Fr.) Sing. SPA 202 and SPA 205 strains were selected because mycelium grew fast and showed fine density. All strains showed fast mycelial growth and mycelial density on BC(Burke compost) media for 20 days of incubation. The optimal sawdust species for the mycelial growth were the fermented sawdusts of Quercus aliena and Populus deltoides. Spawn running period on the fermented sawdust substrate required 50 days at 20 to 25℃ and additional 7 days after soil casing. Cultivation period and temperature forprimordia formation and fruitbody development appeared from 10 to 11 days and from 7 to 8 days at 17 to 18℃ respectively. The length of pilei and stipes of SPA 202 harvested in optimal stage showed 60mm and 67mm, respectively. Yield of SPA 202 strain grown on fermented sawdust substrate was 130g per 1,100㎖ in bottle cultivation. The length of pilei and stipes of SPA 205harvested in optimal stage showed 51mm and 81mm, respectively. Yield of SPA 205 strain grown on fermented sawdust substrate was 129g per 1,100 ㎖ in bottle cultivation. SPA 202 strain and SPA 205 strain in artificial bottle cultivation of Lyophyllum decastes used in fermented sawdust substrate were selected as themost appropriate strain in yield.

      • KCI등재

        잿빛만가닥버섯(Lyophyllum decastes)의 ITS 영역염기서열 및 RAPD에 의한 계통학적 유연관계 분석

        우성미 한국버섯학회 2009 한국버섯학회지 Vol.7 No.3

        인공재배된 만가닥버섯(Hypsizygus mamoreus)과 잿빛만가닥버섯(Lyophyllum decastes)을 ITS I·IV 부위의 염기서열에 의해 종속간 유연관계 및 RAPD 다형성을 분석하였다. ITS I·IV영역부위 종속간 유연관계에서 Group1(SPA 100, 101, 102)은 만가닥버섯 에 속하였으며, Group2(11균주) 잿빛만가닥버섯 의 대조 분리군 11균주는 동일한 종으로 동정되었다. ITS결과 14개 균주 시 4개 그룹으로 분류되었으며, Cluster I과 Cluster II는 58%의 유사도를 Cluster III과 Cluster IV는 41%의 유사성을 보였다. 또한 인공재배한 잿빛만가닥버섯의 종 다양성을 분석하기위해 RAPD를 수행한 결과 가장 수량이 양호하며 우량계통인 SPA 202는 잿빛만가닥버섯인 Lyophyllum decastes SPA 203과 그룹화 되었으며 75%의 유사성을 보여주었고, Lyophyllum decastes 공시균주인 SPA 103과 SPA 104의 유사성은 65%로 나타났다.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Hypsizygus mamoreus and Lyophyllum decastes artificial cultivated using ITS sequences and RAPD polymorphism have been analyzed. Based on ITS region sequences of 14 strains, we could divide into 2 group as group1 to Hypsizygus mamoreus and the control isolated group2 to Lyophyllum decastes were identified as the same species. Restrict analysis of rDNA ITS region which was amplified by PCR, 14 collected strains could be classified into 4 clusters. There was approximately 58% genetic similarity between cluster I (SPA 100, 101, 102) and cluster II (SPA 200, 208 and SPA 201, 202), 41% between cluster III (SPA 104, 103, 203) and cluster IV (SPA 204, 206, 207, 205) by BLAST analysis. RAPD polymorphisms were used to analyze the species diversity of artificially cultivated Lyophyllum decastes SPA 202. As a result, similarity between SPA 202 and SPA 203 was 75%, at the same time, similarity between SPA 202 and Pleurotus eryngii SPA 103 and SPA 104 was 6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