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휴먼 인터페이스를 중심으로 한 전시공간의 커뮤니케이션 연구

        우상기 ( Woo Sang-ki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05 전시디자인연구 Vol.2 No.-

        Exhibition is one of communication and a field of sending information as aiming at efficiency and meaning more and more gets wide the are of space. However, it is an empty container without contents if it cannot send the correct message although it has efficiency. It also has no function of information if the message of space is not selected by people. There has to be both marketing and communication in space. It is an important part of marketing communication. The business advertisement has to show scientific marketing skill with artistic communication. An effect of public environment is had on people by their character, advertisement and interface as giving a new idea. Designers has to properly know this interface for efficient communication with people. I try to show audience-oriented research and method in the communication of exhibition space.

      • KCI등재
      • 유 스페이스(u-space) 가로환경과 디지털미디어에 관한 연구

        우상기(Woo Sang-Ki),이혁수(Lee Hyuk-Soo) 한국옥외광고학회 2006 OOH광고학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디지털미디어를 통해 도시의 가로라는 물리적 공간과 그 속에서 살아가는 인간을 위한 생활공간을 심미적으로 연출함으로써 사람과 환경 그리고 사람과 사람 사이에 소통의 공간을 구성하고 도시경관의 회복과 경관의 질적 향상을 이루고자 하는 관점에서 출발하였다. 디지털미디어는 이질적인 양식들의 융합, 정보의 디지털화와 시각화, 종합화, 정보전달의 상호작용성과 비동시성이라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특히 주목되는 것은 미디어 융합으로 일컬어지는 매체의 통합 현상과 상호작용적 네트워크 커뮤니케이션으로 특징지어지는 커뮤니케이션 양상의 발전적 측면이다. 미디어 융합과 상호작용성, 상호연결성 등의 특성은 서로 분리되어 있기 보다는, 디지털이라는 상위의 논리 속에서 각기 다른 관점에서 고찰되는 총체적인 사회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디지털 기술을 적용한 새로운 도시 가로환경의 창출을 위한 열린 개념으로서의 디지털을 정의하고 디지털 시대에 우리가 추구해야 할 도시 가로환경의 모습을 어떻게 그려내며 그것의 실현을 위해 어떻게 실천할 것 인가 하는 가로환경에 대한 의미부여의 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이러한 발상의 전환이 옥외전광광고를 중심으로 급속히 디지털화 되고 있는 옥외광고 분야에도 적용될 것이며, 이률 통해서 향후 디지털미디어 기술을 응용한 옥외광고의 콘텐츠를 도출하고 디자인의 방향을 개발하는데 활용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considers the function of Street in the city as center of communication for human since the recent development of digital technique opens a new form of an interchanging field. The construction of this study for this purpose is as following. First, the concept of u-space which became a new topic through the rapid development of digital technique and the change of physical environment which was focused on human communication in digital Street Environment were examined. Second, the physical object for suggesting a new cultural paradigm through digital media that was an independent type of digital technique. was limited to urban street. Moreover, the problems and solution of street environment that was focused on recovery of human value and meaning as well as the theoretical inquiry on street environment were. examined, and the change required for street environment for this was suggested. The digital technique changed the features and the aesthetical concept about new physical environment and culture, and became a turning point that can change the previous limits. Realistic alternatives and application as well as more diversified research approach may be gradually possible if new design technique are developed and possibility of expression in creation of culture is discovered,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제품디자인 개발 프로세스에 있어서 효율적인 색채적용 방향에 관한 연구

        박필제 ( Pil Je Park ),우상기 ( Sang Ki Woo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2 기초조형학연구 Vol.13 No.1

        제품을 디자인하는 프로세스는 신제품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제품디자인 개발 프로세스는 매우 복잡하고 제품의 특성, 기업의 특성, 시장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하여야 하기 때문에 하나의 고정된 형식으로만 볼 수 없는 특성이 있다. 제품에서의 색채는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불러일으키는 중요한 요인이며 이러한 제품 자체의 개념에 시각적인 성격을 부여하는 매력적인 요소이다. 색채는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내는 가장 효율적으로 실행하는 차별화 전략이다. 또한 인간의 심리적, 생리적 사고에 영향을 미치고 제품의 기능적 요소로 작용하여 제품의 정보 전달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제품디자인에 있어서는 상당히 중요한 요소이다. 조화롭게 적용된 색채는 제품의 심미성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판매에 있어 중요한 마케팅 포인트가 된다. 제품디자인 개발 프로세스에서 색채계획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의 성공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제품의 색채 이미지를 중심으로 한 소비자와 제품과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여 색채에 의한 새로운 제품의 이미지 창출을 통한 효율적인 색채디자인 방향을 얻어낼 수 있도록 하였다. Product design process is the most essential feature in generating new products. Product design process is very complex because it must be flexible due to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and the company, and industry situation, so product design process should not just hold fixed. Colors encourage sales from the customers and give enchanting visual appearance to the products. Color is one of the most persuasive differentiation strategies that produces the best results while requiring the least amount of money. Color psychologically affects the mind of customers in a certain way and is a powerful functional design tool in delivering information of the products. Therefore, color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product design process. Combination of colors not only enhances aesthetic appreciation, but also becomes the most crucial marketing point. The study is upon how color planning works in the product design process and it includes comparing and analyzing how color is used to influence customers depending upon the aim of the company and products marketed, proven by various current successful cases. The study aims to find out the most powerful way to bring about the best results for the products by appropriate color planning.

      • 박물관 전시연출의 디지털화에 의한 가상체험공간 구축에 관한 연구

        우상기 영산대학교 2000 영산논총 Vol.6 No.-

        There are two side needs for modern museums. First, substantial side, a pursuit effective of exhibition on the base of the use of various exhibition data. Second, physical side, making the exhibition environment for the interaction and the practical use of spectators with high-tech-tools. In this study, for the fix of existing problems, above mentioned, the proposal of the VR exhibition space and community museum system is made up with the practice use of cyber space, and the method, theoretical and practical, is proposed for realization in the cyber exhibition. The VR exhibition space is the cultural space and the place which people communicate with exhibition tools, so that should be designed for making new atmosphere to people in anytime to visit. And the obvious exhibition system and abundant information are needed for the various cultural needs of visitors. The VR museum is the new space that have no limit of exhibition and a most effective place for visitors to gain more and better information, so that is have the rational exhibition environment, that is, cultural informatively, people friendly and function convenient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