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청소년의 싱글여성에 대한 이미지

        왕석순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0 實科敎育硏究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age of single women reflected to the teenagers's recognition. The population for this study consisted of all 1th, 2th, and 3th students currently at attending secondary school in Seoul & Gyeonggi-do, Gyeongsang-do, Jella-do. A purposive sample of 682 teenangers was chosen for this study. The study of the measurement tool, the first review relevant literature, and through an open questionnaire survey, and synonyms and antonyms dictionary review, such as utilizing a total of four steps: the proven reliability and validity throughout the process was developed to meas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ndicated through the image of single women is a total of 9.: (1) Successful professional women in a good self-management (2) Greedy nature of the strong rebellious wayward women (3)Bold and cheerful, lively open-minded woman (4) Colorful and attractive, sophisticated woman, but it is not popular with the opposite sex, (5) Health, but lonely young women (6) Very reliable and meticulous woman (7) Strong self-conscious women (8) Altruistic, individualistic women (9) Independent and free women. Abstract determined in the nine kinds of factors that explain 57% of all variants were. Seco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a single young woman emerges by 9 of the image factors for students' gender, middle / high school, school type, school location, type of family, mother's and father's education level and profession, family income, the opposite sex relationships experience , attitude of marriage, family relationships, depending on variables of satisfaction with the image to evaluate whether the difference was verified. As a result, gender, middle / high school, school type, family type, father's education level and profession, the opposite sex relationships experience, attitude of marriage, "Table 4, 5" as shown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partially emerged. 이 연구는 청소년의 싱글여성에 대한 이미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서울 및 경기, 경상도, 전라도에 위치한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총 682명을 대상으로 2009년 7월 2일부터 17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 척도는 문헌, 그리고 개방형설문지에 의한 조사 결과로 작성한 총 181 개의 항목을, 서로 반대되는 의미를 가진 대립적 척도인 의미분별 척도로 구성하기 위한 총 4차례의 과정을 거쳤고, 그 과정에서 전문가의 타당도 검사 및 예비조사를 통한 신뢰도 검증을 통하여 최종 확정한 척도(총 83개 항목)를 활용하였다. 조사 결과 첫째, 주성분분석을 통하여 청소년들이 싱글여성에 대하여 가지는 이미지는 총 9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9개의 변인은 전체 변량의 57.92%를 설명해주었다. 9개의 요인은 (1)자기관리를 잘하는 성공한 전문직 여성‘, (2) 욕심많고 고집스런 반항적인 강한 성격의 여성 (3)대담하고 명랑, 활발한 개방적 여성 (4)화려하고 세련되어 매력적이나 이성에 인기없는 여성 (5)젊고 건강하지만 외로운 여성 (6) 듬직하고 꼼꼼한 여성 (7)자존심이 강한 민감한 여성 (8) 이타적이나 개인주의적인 여성 (9) 독립적이며 자유로운 여성으로 각각 명명하였다. 둘째, 주성분 분석에 의해 도출된 청소년의 싱글여성에 대한 이미지의 9가지 요인에 대하여 학생의 성별, 학교급, 학교유형, 학교소재지, 이성교제 경험, 결혼관, 가정유형, 부와모의 학력, 부와 모의 직업, 가족소득, 가족관계만족도의 변인에 따라 이미지 평가의 차이가 있는가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성별, 학교급, 학교유형, 이성교제 경험, 결혼관, 가정유형, 부의 학력, 부의 직업, 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5, 또는 p<.01수준)가 부분적으로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 청소년들이 싱글여성에 대하여 가지는 이미지는 ‘성격이 강한 전문직’여성이라는 이미지로 요약된다. 이것은 최근 대중매체에서 설파하는 싱글여성의 이미지와 유사했다. 이는 청소년들이 사물이나 현상에 대한 이미지를 그들의 개인적 신념에서 형성하기 보다는 기성세대의 이미지를 그대로 재생산하고 있는 경향이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기성세대와 대중매체는 청소년이 그들로부터 받는 전면적인 영향을 고려하여, 싱글여성을 포함한 다양한 사회의 현상에 대해 보다 바르고 유연하며 편향되지 않은 이미지를 정립하여 제시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학교 인구교육의 미래 방향 탐색: 제7차 교육과정 ~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왕석순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2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2 No.2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 of national-level curriculum documents for the purpose of reviewing the overall status ofpopulation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South Korea.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directions forthe future of population education at school were proposed. Both the 2007-Revised Curriculum and the 2009-Revised Curriculum contain the contents of population education as a‘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 in the general curriculum influenced by the low birth rate and ageing society, yet not in thecurrent 2015-Revised Curriculum. Furthermore, when the curriculum documents for the ten common subjects corresponding tothe ‘National Common Basic Curriculum’ proposed by the 7th Curriculum were examined, only ‘Home Economics’ curriculumat the secondary school level and ‘Social Studies’ curriculum at the elementary and the secondary school levels adequately reflectedthe subject goals, characteristics, contents and achievement standards that correspond to those of population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urriculum analysis, the following five directions for population education at school are drawn. First,the purpose of population education at school should be stated using gender-neutral terms of ‘response to low-birth and aging society’and it has to be emphasized that it is not to intervene in natural childbirth. Second, the subject which deals directly with the goals,content elements,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population education should be designated as the leading subject for population education. Third, with its inter-disciplinary nature, population education should be able to provide quality contents for convergence education. Fourth,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policy support to the leading subjects for population education so that more high schoolsmay select the subjects as elective courses. Fifth, teacher education should be improved to enhance teachers’ perceptions on population. This study asserts that ‘Home economics,’ which deals with human daily lives, is an optimal subject that can reflect populationeducation in connection with real life. To this end, policy support should be provided for ‘Home economics’ so that it mayfulfill the mission as a leading subject of population education.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초등학교 및 중등학교에서 전개되고 있는 학교 인구교육을 전반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국가수준의총론 및 각론 수준의 교육과정 문서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에 터하여 학교 인구교육의 미래 방향을 도출하는데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그 결과, 2007 개정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에는 총론 교육과정의 ‘범교과학습주제’로 저출산⋅고령사회 대응의인구교육 내용이 반영되어 있었으나, 현행의 2015 개정 교육과정에는 반영되어 있지 않았다. 각론 교육과정 분석의 결과(제7차교육과정에서 제안한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에 해당하는 10개의 공통 교과 교육과정 문서 분석함), 중등의 기술⋅가정교과의가정과 교육과정, 그리고 초등 및 중등의 사회과 교육과정에서만 교과의 성격이나 목표, 또는 내용요소나 성취기준에 저출산⋅고령사회 대응의 인구교육 내용이 반영되어 있었다. 교육과정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의 5가지 학교 인구교육의 방향을 도출하였다. 첫째, 학교 인구교육의 목적은 출산에개입하는 것이 아님을 분명하게 확인하며, ‘저출생⋅초고령사회 대응’의 양성평등한 용어를 적용한다. 둘째, 인구교육을 교과의목표와 내용요소, 그리고 성취기준으로 직접 다루는 교과에 인구교육의 주도교과로서 사명을 부여한다. 셋째, 융합학문적 특성의인구교육을 융합교육의 적극적 소재로 활용한다. 넷째, 선택중심의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고등학교에서는 인구교육의 주요 내용을 다루는 주도교과의 선택을 정책적으로 지원해준다. 다섯째, 교원의 인구 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사교육을 강화한다. 민주시민의 역량은 사회의 기본적 집단인 가족의 사회화를 통해 출발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삶을 기반으로 하는 가정과교육에서 인구교육을 주도하여 삶, 즉 생활과 연계된 실천적 인구교육으로 학교 사회에 인구교육이 확대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학교 인구교육의 주도교과로서의 사명을 가정과교육에 맡겨서 이를 잘 수행해 내도록 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의 전체교육과정에서 가정과교육의 이수를 강화시키는 교육정책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실과 교실 수업의 내실화를 위한 교수ㆍ학습 방법 탐색

        왕석순,이수정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05 實科敎育硏究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structional methods for Practical Arts for practical use in school and to systemize them as Practical Arts instructional methods based on the relevance.As results of this study, following five methods were selected.Activity-centered instructional method : Practical Arts makes much account of students' daily experience learning and laborious work, therefore, activity-centered method which means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would be one of the important instructional methods. Inquiry-centered instructional method : Practical Arts makes much account of student's problem-solving through the process of thinking.Cooperation-centered instructional method : Practical Arts makes much account of social learning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Applying Module instructional method : for student-oriented teaching, programed teaching that students make learn by themselves is appropriate for Practical Arts.Home project instructional method : this is the method that make students apply the knowledges learned in school to home activity.

      • KCI등재

        가정교과 수업 적용을 위한 백워드 디자인의 템플릿 재구조화

        왕석순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8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estructuring the template to apply the ʻBackward designʼ for Home Economics Instruction. This study reviewed the theory of Wiggins and McTighe, the advocates of backward design, and examined the template for version 2.0 of Wiggins and McTighe (2011).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various previous researches using backward design, and drew implications for template restructuring for applying backward design on Home Economics Instruction. In addition, the validity of the template was verified through facial validity through the expert council. Through this process, the final 5 stages (1. Curriculum Analysis → 2. Instructional Design (Learning Experience Design ↔ Evaluation Design (Performance Task Planning) → 3. Instruction Flow → 4. Class guide for each class → 5. Evaluation record, and feedback)suggested templates for applying backward design. Future research will use the restructured assumptions and templates to develop teaching materials in the Home Economics area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future research, field research should be carried out on how the Home Economics instruction with backward design affects learners. 이 연구는 Wiggins와 McTighe(2011)의 2.0버전의 템플릿을 가정과 수업을 위한 템플릿으로 수정, 보완하여 재구조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백워드 디자인의 주창자인 Wiggins와 McTighe의 이론을 고찰하고, Wiggins와 McTighe(2011)의 2.0버전의 템플릿을 고찰하였다. 또 백워드 디자인을 활용한 다양한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가정과 수업에 백워드 디자인을 적용하기 위한 템플릿 재구조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 전문가 협의회를 통한 안면타당도를 통해 템플릿의 타당도를 검증받았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1. 교육과정 분석, 2. 수업설계(학습경험 디자인↔평가설계, 3. 수업 흐름, 4. 각 차시별 수업 안내, 5. 평가기록 및 피드백의 총 5단계로 재구조화한 가정과 템플릿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 재구조화한 가정과 템플릿을 활용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가정과교육 영역의 수업 자료를 개발하여 학습자의 역량 함양에 기여하는 교수‧학습의 개선이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가야 할 것이다. 추후 연구에서는 백워드 디자인 적용의 가정과 수업이 학습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학교 현장 연구가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미래 사회의 변화와 가정과교육의 방향 탐색 - ‘삶 중심 교과’와 ‘행복 교과’로서의 성격 재인식을 중심으로 -

        왕석순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6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8 No.3

        This exploratory study which applied environmental scanning method to analyse a change in a future society tried to diagnose a reaction ability of our education system for the change in the future society. In addition, the study tried to explore an adequate direction for Home Economics Subject to be an mandatory subject continuously toward the change in the future society. Main changes in the future society can be expected as 1) demographic change due to low birth rate and aging society, 2) an increasing threat of a human living environment due to unexpectable natural disasters and accidents, 3) a radical progress into a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led by AI, 4) an advent of a borderless economic society and a change for jobs, 5) a change in North Korea, and so on. Our education system which mostly concentrates on education to develop constructive intelligence by halving the society and schooling as yet, however, is diagnosed as it has a paradox that can not understand an emotional competency as a target for studying. Home Economics Subject is worth as the subject that can exactly complement a blind spot of our education system which can not respond to the future society adequately. This is because Home Economics Subject has had a characteristic as a ‘Subject of Life’ traditionally that has dealt with an overall ‘life’ of human beings, and the characteristic is favorable to develop human practical intelligence. Thus, because the ‘life’ is the main point of Home Economics Subject, it has the characteristic as a ‘Subject of Happiness’ which is the most effective method to develop 이 연구는 환경 스캐닝의 방법을 적용하여 다양한 미래사회의 변화들을 분석하고, 미래사회의 변화로 야기된 새로운 교육적 요구에대해 우리 교육이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가를 진단하고자 하였다. 또, 미래 사회의 변화로 야기된 새로운 교육적 요구를 가정과 교육이어떤 교육적 가치를 발휘하여 담보할 수 있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가정과교육의 성격이 가진 교육적 가치와 그 당위성을 규명하고자하였다. 마지막으로, 가정과교육을 재구조화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개발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미래의 주요한 변화는 1)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의 변화, 2) 예측불가능한 각종 자연재해와 각종 사건 사고들로 인한 생활 환경의 위험성 증대, 3) 인공지능이주도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으로의 급진전, 4) 국경없는 경제사회의 도래와 직업의 변화, 5) 북한의 변화 등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미래변화는 교육에 대한 새로운 요구를 증폭시켜 왔지만, 우리 교육은 여전히 지육교육에 치중하여 구성적 지능 계발에 치중하고있으며, 정서역량을 학습의 대상으로 이해하고 있지 못하여 미래사회의 유연한 인성을 가진 개인을 양성하는데 한계를 보이고 있는것으로 진단되었다. 가정과교육은 현재 우리 교육이 보이는 문제점을 보완할 수 교육적 역할을 담보할 수 있는 교육적 가치를 가진교과의 성격을 가진다. 가정과교육은 전통적으로 인간의 실용적 지능 계발에 유리한 인간의‘삶’전반을 교육내용으로 하는 ‘삶 중심의생활교과’라는 성격을 가지고 있다. 또 가정교과는 감사성향, 공감능력, 다양한 친사회적 행동 등의 다양한 행복추구역량을 기르는데 효과적인‘행복 중심 교과’로서의 성격을 가진다. ‘삶 중심 교과’의 성격과 ‘행복 교과’의 성격을 구현할 수 있는 가정과교육의 재구조화를 위해 삶의 틀(나, 가족, 지역사회, 일)과 Alderfer의 ERG 이론에서 제시한 인간의 위계적 욕구(존재, 관계, 성장)를 각각의축으로 한 2차원의 이론적 틀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재구조화의 이론적 틀(frame)을 재검토하고 방향을 실증하는 후속연구를 기대한다.

      • KCI등재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실과(기술·가정) 교과의 초·중·고등학교 학년 간 연계성 분석 -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을 중심으로 -

        왕석순,류경희,백정원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4 No.1

        The study, published i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of Practical Arts and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 (16 species) of the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members' area of ​​learning content elements were analyzed. This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evaluate that the 2007 revised curriculum of Practical Arts(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has been made well Articulations. The criteria of Articulations is "Development of learning content, Repeating, Gaps, Reduction. Content criterias is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area. These include "human development, human relationships, marriage and family life, caring for family members and family welfare" of the four criteria and 14 content element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first <development> content elements is " process of human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human development, family relationships, communication, dating and partner selection, the significance of marriage and family, understanding the basic concepts of family, family change and family problem solving". There was no <Repeating> content elements. <Reduction> content element is 'friendship'. <Gap> content elements is 'Characteristics of human development', 'understanding of sex and pregnancy and childbirth '. Thus, in the new curriculum, a review of these Articulations are required. Especially, the 'friendship' and 'understanding of sex and pregnancy and childbirth‘ of the content element should be noted in the curriculum configuration because of content elements be Analyzed as <Reduction> or <Gap>. Also <Repeating> 'values ​​about marriage change' importance in the low fertility society is a big learning content elements need repeating. However, textbooks should reflect differences in the configuration will hakgyogeupgan. Meanwhile, ’changes in values ​​about marriage' that it is necessary to deal with the repeatedly because of recentely society is The low fertility society, However, for this content element based on the differences between school level to appear the contents of textbooks, the textbook screening process will be provided with the correct guidance. 이 연구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출판된 실과 및 기술․가정 교과서(총 16종)의 ‘인간발달과 가족’영역의 학습 내용요소를 분석하여, 2007개정 교육과정에서 표방한 초등과 중등의 연계성이 잘 이루어졌는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습 내용의 수직적 연계성은 발전, 반복, 격차, 축소의 기준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또 내용 기준은 ‘인간발달과 가족’영역을 “인간발달, 인간관계, 결혼과 가족생활, 가족 돌보기와 가족 복지”의 4개 기준으로 분류하고 이 기준에 속하는 14개 내용요소가 각 학년의 교과서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먼저 <발전>을 보인 내용요소는 인간발달 과정, 인간발달 특성, 가족관계, 의사소통, 이성교제와 배우자 선택, 결혼과 가정의 의의, 가족의 기초개념 이해, 가족의 변화와 가족 문제 해결에 관한 내용요소이었다. <반복>을 보인 내용요소는 없었으나, <축소>를 보인 내용요소는 친구 관계, <격차>를 보인 내용요소는 5학년과 7학년의 ‘인간 발달 특성’, ‘성에 대한 이해 및 임신·출산’에 대한 내용요소였다. 교육과정을 연계성 측면에서 평가할 때, 발전으로 분석된 내용요소는 교육과정에 위계성을 가지고 적절하게 구성된 내용요소들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반복이나 격차, 축소로 분석된 내용요소는 차기 교육과정 개정에서 이들 내용요소에 대한 재검토를 필요로 한다. 특히 축소로 분석된 ‘친구관계’와 격차로 분석된 ‘성에 대한 이해와 임신․출산’의 내용요소는 아동후기와 청소년기의 발달에서 또래관계의 중요성이나 사춘기가 조기화되는 발달의 측면을 고려할 때, 초등단계의 교육내용에 반영할 것을 제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