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연관성 규칙을 적용한 태권도 선수들의 경기상황에 따른 심리적 불안 패턴 분석

        오혜리(Oh, Hye-Ri) 한국체육과학회 2020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nxiety patterns of Taekwondo players according to the game situation (game start time, game status, opponent scoring the first goal) by applying the association rules. Specifically, highschool division, university division, and general division Taekwondo player"s anxiety depending on game situation were analyzed. To do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482 Taekwondo players and frequency analysis and association rule analysis were done on the collected data. Data processing was performed using Excel and arules, an open source of R stats package. The results were first, the frequency of anxiety factors according to the game situation were highest just before the game (in the waiting room) regardless of which division they belonged to. Also, non-anxious state were higher in game situations where one is losing or when the opponent scores the first goal. Second, the anxiety pattern of highschool division Taekwondo players were highest just before the game (in the waiting room) and when the opponent scores in a tie situation. In addition, in university division, players were shown not anxious just before the match, when one is winning, and when the opponent scores the first goal. On the other hand, the general division players were shown not anxious pre-game, when one is winning, and when the opponent scores the first goal.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meaningful information as it determines Taekwondo players" anxiety status depending on game situation.

      • KCI등재

        국내 남자 투기 종목에서 나타나는 상대연령효과 : 레슬링, 유도, 복싱, 씨름을 중심으로

        이지용 ( Lee Ji Yong ),문원재 ( Moon Won Jae ),정광채 ( Jung Kwang Chae ),오혜리 ( Oh Hye Ri )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20 스포츠사이언스 Vol.38 No.2

        이 연구는 남자 투기 종목 선수들을 대상으로 상대연령효과 현상이 나타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2017, 2018, 2019년도에 선수등록 되어 있는 레슬링, 유도, 복싱, 씨름 종목으로 선정하였다. 이 연구는 남자 투기 종목 선수들을 대상으로 상대연령효과가 나타나는지 확인하기 위해 카이스퀘어 검정(Chi-square)과 Spearman의 등위 차 상관계수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자 투기 종목 선수들의 출생 월 분포와 일반인 출생 월 분포 차이를 확인 하였다. 그 결과 레슬링(2017년도), 유도(2019년도), 씨름(2017, 2018, 2019년도)에서 출생 월 분포 간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남자 투기 종목 선수들의 출생 월 순위와 상대연령 출생 월 순위 간 상관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복싱(2019)을 제외한 모든 종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위 결과를 종합해볼 때 레슬링(2017년도), 유도(2019년도), 씨름(2017, 2018, 2019년도)에서 상대연령효과가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국내 남자 투기 종목 선수들에게 나타나는 상대연령효과 현상이 규명되었다. 특히 국내 투기 종목 선수들을 대상으로 상대연령효과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heck whether the relative age effect appears in male combat sports athletes. For the study, athletes in wrestling, judo, boxing, and ssireum events, registered in 2017, 2018 and 2019,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This study used Chi-square and Spearman rank-order correlation to identify whether the relative age effect appeared in male combat sports athlet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identifi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stribution of the birth month of male combat athletes and the distribution of the birth month of the public. As a resul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distribution of birth months in wrestling (2017), judo (2019), and ssireum (2017, 2018, 2019).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birth month ranking and relative age birth month ranking of male combat athletes was confirmed. The resul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s in all sports except boxing (2019). Third,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the relative age effects were shown in wrestling (2017), judo (2019), and ssireum (2017, 2018, 2019).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henomenon of the relative age effect in male combat sports athletes in Korea was identified.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identified the relative age effect of domestic male combat sports athletes. In particular, it can be meaningful in that it has confirmed the relative age effect for the domestic combat sports athletes.

      • KCI등재

        대학교 태권도선수들의 실수인식과 그릿에 따른 승부근성 구조적 관계

        정광채 ( Kwang-che Jung ),문원재 ( Won-jae Moon ),오혜리 ( Hye-ri Oh )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21 스포츠사이언스 Vol.39 No.3

        이 연구는 대학교 태권도선수들의 실수인식과 그릿 그리고 승부근성 심리적 요인에 대한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한태권도협회에 선수등록이 되어 있는 대학교 학생선수 29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처리방법으로는 빈도분석, 정규성 검증, 확인적 요인분석, Cronbach's α,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결과를 산출하였으며, 이때 사용된 프로그램은 Excel 2013과 SPSS 21.0 그리고 AMOS 23.0을 활용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모두 .05로 설정하였다. 이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수인식요인에서는 그릿 하위요인 중 노력 요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수인식 요인은 승부근성 요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그릿 하위요인 중 노력 요인은 승부근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대학교 태권도선수들의 실수인식에 대해 긍정적인 자세는 노력과 승부근성을 높이는데 기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지속적인 노력은 개인을 목표를 달성 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university Taekwondo player's psychological factor in Tenacity, mistake recognition and grit. For that purpose,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to 291 university student athletes registered with the Taekwondo Association. Based on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analysis, normality verificatio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ronbach's α,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applied to calculate the results. Excel 2013, SPSS 21.0 and AMOS 23.0 were used. All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s were set to 05. The conclusion from this is as follows. First, the error recognition factor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effort factor among the grit sub-factor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mistake recognition factor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ompetitive strength factor. Third, among grit sub-factors, the effort factor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winning streak.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mistake recognition contributes to increasing effort and Tenacity, and it is confirmed that continuous effort has a positive effect on achieving individual go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