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지표조사 및 조성사업 연구Ⅵ :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지표조사 분석 및 청소년동아리활동과 마을공동체 지원 방안

        오해섭,최인재,염유식,김언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8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지표조사 및 조성사업 연구 Ⅵ’의 연구목적은 지난 4개년 간의 청소년행복지표의 비교 분석과 시계열 자료를 축적하고, 아울러 ‘지역자원 연계 청소년동아리활동’의 시범사업 운영과 ‘마을교육공동체’ 현장사례 조사를 통해 지역별 특성의 분석과 필요한 정책 제언을 하는데 있다. 주요 연구 내용은 ① 청소년행복지표의 조사・분석 및 국제비교 ② ‘지역사회 기반 청소년동아리활동’ 운영에 대한 시범사업(3개 지역) 운영 및 성과분석 ③ 청소년활동 관련 마을공동체사업(4개 지역)을 통한 요인 분석 및 시사점 도출 ④ 영역별 정책과제 발굴 등이다. 연구방법은 문헌고찰, 시범사업, 설문조사, 현장 면접조사, 콜로키움, 정책포럼, 정책연구실무협의회 등이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정책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건강 증진 지원 및 관리 시스템 구축과 청소년 참여 역량 및 권리 의식의 제고가 필요하며, 청소년활동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 둘째, 지역사회 기반 ‘청소년동아리활동’ 활성화를 위한 제도 마련 및 협력망과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셋째, 마을공동체 단위에 청소년활동 시설・공간인프라 및 놀이·여가프로그램을 확대해야 한다. 넷째, 지역사회의 다양한 ‘민간청소년활동지도자’ 양성 및 관리체계를 확대 운영해야 한다. 『Study on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ies where the Youth is Happy and Youth Happiness Index Survey VI』 is aimed at performing a comparative analysis and accumulating time-series data on the previous four years of Youth Happiness Index as well as to analyze local characteristics and make policy proposals based on a pilot project of running “Youth Club Activities Based on Local Resources” and on-site case study of “Village Education Community.” The study mainly covers ① study, analysis, and international comparison of Youth Happiness Index, ② analysis of operation and performance of a pilot project, “Youth Club Activities Based on Local Resources (3 local communities),” ③ analysis of main factors and implications based on Village Community Project (4 local communities) related to youth activities, ④ identification of policy challenges in each area. The methodology included literature, pilot project, questionnaire survey, on-site interview, colloquium, policy forum, and working-level consultative meeting on policy research, among others. The following policy challenges were identified from the study findings. First, there should be a system to support and manage youth health; measures to improve the youth capacity to participate and their awareness of rights; and an adequate environment for youth activities. Second, there should be measures, network, and system to promote local community-based “Youth Club Activities.” Third, there should be expanded facilities, space, infrastructure, and play・leisure programs at the Village Community level to support youth activities. Fourth, there should be an expanded system to manage and foster various types of “Private Youth Activity Leaders” in local communities.

      • Z세대 10대 청소년의 가치관 변화 연구

        오해섭,문호영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금년도 ‘Z세대 10대 청소년의 가치관 변화’ 연구의 목적은 급속하게 변화하는 사회적 환경에서 성장하고 있는 10대 청소년의 가치관 조사 및 변화 트렌드를 분석하여, 현안 이슈들을 파악하고 지역사회와 학교 등 다양한 영역에서 청소년의 사회적 참여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및 정책적 지원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주요 연구 내용은 ① Z세대 청소년의 가치관을 조사하기 위한 측정문항의 개발과 선정, ② 전국의 중고등학생을 모집단으로 층화다단계집락 추출법을 통해 6,000명을 목표로 표본을 추출하여 설문조사 실시, ③ 조사결과 분석 및 정책포럼 등을 통한 정책과제 도출 등이다. 연구 방법은 국내외 문헌 고찰, 설문조사, 콜로키움, 정책포럼, 정책연구실무협의회 등이며, 연구결과에 따른 정책과제는 다음과 같다. 1) 긍정적 관점의 청소년정책 개발 및 제도적 기반을 조성한다. 2) Z세대 실물경제 이해 및 온라인 소비자교육 시스템을 강화한다. 3) 지역사회 ‘취약계층 청소년 정신건강 지원단’을 운영한다. 4) 지역사회 세대통합(브릿지) 및 가족 친밀도 증진 프로그램을 확대한다. 5) ‘Z세대 청소년의 결혼과 및 자녀출산 인식 전환 프로젝트’를 실시한다. 6) Z세대 청소년을 위한 ‘맞춤형 일학습병행제’를 확대 실시한다. 7) ‘Z세대 청소년의 사회⁃정치 참여 교육’ 시스템을 강화한다. 8) 미래세대를 위한 ‘스마트 시민청소년센터’를 설립⁃운영한다. 9) 읍⁃면 단위 ‘지역사회 청소년 참여 기획단’을 구성·운영한다. The research this year, 「A study on changing youth values of generation Z」 aims to analyse trend changes and research youth values of those who are growing up in this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 The research had a focus on how to support policies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for Youth who can actively participate in social engagements in terms of their local communities, schools and various areas. The study mainly covers ① development and selection of survey questionnaires, ② survey for 5,740 youth nationwide, ③ drawing up of policy takes through analysing research results and forums. The methodology included: both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review, survey, colloquium, policy forum and working-level consultative meetings etc.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e following policy tasks were created: 1) Develop youth policy and establish an institutional base from a positive perspective. 2) Intensify and focus on real economy and on-line consumer education system for generation Z. 3) Operate ‘Mental Health Support Groups’ for vulnerable youth in local districts. 4) Expand and improve upon the community’s inter-generational (‘BRIDGE’) and family intimacy programs. 5) Promote projects to change the perspectives (in terms of marriage and childbirth) about generation Z. 6) Increase focus on ‘customized work-study balance’ for generation Z. 7) Strengthen ‘social, politics and participatory education systems’ for generation Z. 8) Establish and operate a ‘Smart Citizen’s Youth Centre’ for future generations. 9) Organize and operate ‘Community Youth Participation Planning Groups’ on a small town unit scale such as county(Eup-Myeon).

      • KCI등재후보

        최고농업경영자과정의 강사와 학습자간의 교육방법 및 내용에 대한 효과 인식비교

        오해섭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2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4 No.1

        이 연구는 평생교육 학습과정의 강사와 학습자간의 교육방법 및 내용에 대한 효과 인식비교를 위하여 한국최고농업경영자과정의 학습자들과 강사들을 대상으로 교육방법 및 매체 활용, 그리고 학습내용의 효율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이 프로그램의 참여하는 강사들이 학습자들에게 전달하는 학습활동, 주제, 그리고 학습효과 등에 대한 우선순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공주대학교 산업대학, 그리고 농협대학교 최고농업경영자과정의 학습자들과 강사들을 임의 추출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습자들과 강사들 간에 학습과정에서 선택된 학습주제 및 다양한 학습활동에 관한 인식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학습자들은 소그룹 학습방식, 패널 토의, 그리고 현지견학을 선호하는 반면, 강사들은 사례연구, 질적인 작업일지, 그리고 요약자료 등의 사용이 더욱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 교육과정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학습 주제, 학습활동, 그리고 학습효과 등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정도가 강사들보다 훨씬 높게 나타나고 있다.

      • KCI등재

        농업후계인력 육성을 위한 농촌청소년교육 및 지원방향

        오해섭,김정주 한국농촌지도학회 2002 농촌지도와 개발 Vol.9 No.2

        The supporting system for agricultural workforce and education strategy has been changing both domestically and worldwide range term. To change the fundamental directions, much more needs to be learned about the process of structural adjustment regarding the dynamics of the agricultural and rural sectors. A rural development doctrine must pay more attention to the ongoing problems of population imbalance and the dissolution of the countryside, The focus should be young people prefer to live in cities because there are more opportunities, services, and great personal fulfillment. This paper was described the effective fostering directions of young agricultural workforce and educational program to prepare future and young farmer for teaching careers in agriculture, food, farm management, and marketing. To achieve these goals, the specific approaches are 1) establish the strong partnership between related organizations of agricultural business, 2) strengthen the management and marketing education of products, 3) create the various in-farming or out-fanning incomes including green tourism, 4) enhance the aggressive marketing strategies by Internet, Telephone, and TV etc, 5) make the association among the same items for the effective research and risk management.

      • 청소년 기업가정신 함양 및 창업 활성화 방안 연구Ⅰ: 기업가정신 및 창업관련 의견조사

        오해섭,맹영임,문호영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는 기업가정신과 창업에 대한 청소년들의 인식, 관련교육 참여현황 등을 분석하여 이를 기초로 청소년 기업가정신과 창업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정책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업가정신 및 창업 관련이론 등을 살펴보고자 국내·외 관련문헌과 선행연구를 수집·분석하였으며, 청소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기업가정신 및 창업관련 인식 및 요구를 분석하였다. 또한 전문가워크숍, 자문회의 등을 통하여 관련정책방안을 모색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분석을 통해 도출된 시사점은 첫째,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에 대한 관심과 홍보가 필요하다. 둘째,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 관련프로그램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 셋째,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 관련전문가 양성이 필요하다. 넷째,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체험활동을 통해 기업가정신을 함양하고 창업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지역사회 관련 기관간 연계 강화 및 협의체 구성이 필요하다. 다섯째,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을 의무화 할 수 있는 법적·제도적 지원 및 강화가 필요하다. 여섯째, 교사대상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 관련연수 확대가 필요하다. 일곱째, 학교급별 교과와 연계한 체험활동 구성·운영 및 활성화가 필요하다. 여덟째, 문화가치 및 셀프리더십수준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보급이 필요하다 등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에 대한 홍보강화, 관련프로그램 개발·보급,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 담당교사제 운영,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 관련 동아리활동 지원 강화 등 초등학교에서의 기업가정신 함양 및 창업역량 강화방안 4과제,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을 위한 표준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발,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을 위한 교수 ? 학습방법 혁신, 동아리활동중심의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활성화 등 중학교에서의 기업가정신 함양 및 창업역량 강화방안 3과제,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지도자 연수기회 확대, 비즈쿨 선도학교 역할 재정립, 고등학교-대학교-지역사회가 연계된 삼위일체형 프로그램 개발?보급,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부 지원정책 확대?강화 등 고등학교에서의 기업가정신 함양 및 창업역량 강화방안 4과제, 청소년활동과 학교행사활동 연계를 통한 기업가정신 및 창업체험활동 활성화, 문화가치?셀프리더십수준 제고를 위한 청소년활동프로그램 개발 및 활성화 등 청소년활동을 통한 기업가정신 함양 및 창업역량 강화방안 2과제가 도출되었다. The goal of this study was initiated in order to provide basic documents for preparing policy to cultivate youth entrepreneurship and youth start-up competency through analyzing youth perception and related educational participation regarding youth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goals, the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national and international empirical research, and conducted and analyzed a survey with youth regarding the perception and the need of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This study also analyzed related policy plans through a specialized workshop and the policy advisory council. Implications drawn through the surveys results suggests the following needs: (1) interest and public relations regarding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2) developing and distributing programs related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3) cultivating experts in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4) strengthening connections with related centers in community and forming consultation groups in order to cultivate entrepreneurship and keep start-up competency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that are systematical and effective; (5) supporting and strengthening the current law and institutions to have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courses as required education; (6) expanding training programs of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among teachers; (7) forming and invigorating experiential activities connected with curriculums in school grade levels; (8) developing and distributing programs that enhance cultural values and levels of self-leadership.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concludes that in order to address the needs outlined above, various education and support system should be implemented, which include the following: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Four-Plans for elementary schools through strengthening public relations regarding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developing and distributing related programs, managing head teachers for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supporting club activities for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Three-Plans for middle schools through developing standard curricula and text book of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innovating teachers and teaching methods of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and invigorating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focused on club activities,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Four-Plans for high schools through enlarging training opportunities for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leaders, reestablishing leading schools of Bizcool, developing and distributing programs with high school-college-community, expanding and strengthening governmental support policies for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Two-Plans for invigorating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experimental activities through youth activities and school event activities, developing and invigorating youth activities programs to improve cultural value and levels of self-leadership.

      • KCI등재

        청소년의 기업가정신 함양을 위한 개인역량 강화와 정책적 지원방안

        오해섭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2015 청소년시설환경 Vol.13 No.3

        The goal of this project was initiated to provide basic documents for strengthening the personal competency and supporting the policy to cultivate youth entrepreneurship. The survey was conducted and analyzed regarding the perception of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of youth(n=6,612). To compensate for the quantitative survey, one-to-one interviews(n=14) were implemented. Implications drawn through the survey's results are as follows: 1) developing and distributing programs related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2)cultivating experts in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3) strengthening connections with related centers in community and forming consultation groups; (4) supporting and strengthening the current law and institutions to build the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courses; (5) expanding training programs for teachers of this area; (6) forming and invigorating experiential activities connected with curriculums in school grade levels; (7) developing and distributing programs that enhance cultural values and levels of self-leadership. To this end, efforts need to be made to change the overall perception of society in order for young entrepreneurs to be sought after as a key growth engine driving the national economy. A main strategic point is to establish a life-cycle entrepreneurship education system and develop education models reflecting objectives and education content corresponding to each stage of development starting from elementary schools all the way to universities. The efficient implementation of the process requires consensus and cooperation among students, parents, teachers,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related government ministries and agencies. At the same time, companie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need to work closely at the local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