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서구 식민지 문학(자)의 경계 넘기와 주변부로부터의 상상력: 서승희, 식민지 근대의 크리틱: 1930~40년대 한국문학비평, 제도, 서사 (소명출판, 2023)를 읽고

        오태영 민족문학사연구소 2024 민족문학사연구 Vol.84 No.-

        이 글은 서승희의 식민지 근대의 크리틱: 1930~40년대 한국문학비평, 제도, 서사 (소명출판, 2023)에 대한 서평 형식의 글이다. 저자는 식민지 말 조선문학의 위상 변동 과정 속에서 비서구 식민지 문학의 주변부성을 대동아문화권의 주역이 되어 해결해 보고자 했던 다종다양한 시도들이 갖는 의미를 고찰하고 있다. 최재서는 제국대학의 엘리트주의와 출판 저널리즘의 교착, 영문학의 보편성과 조선문학의 특수성 사이의 길항, 그리고 제국 일본과 식민지 조선 사이의 문화 교섭이라는 다층적 장에 위치했다. 그는 식민지 말 전시총동원 체제기 대동아공영권 담론을 전유해 식민지 조선문학을 변혁하려고 했다. 하지만 그러한 문학적 실천은 결국 좌절되었는데, 무엇보다 그것은 조선문학을 변혁하기 위한 보편 기준을 조선문학의 외부에서 찾았기 때문이었다. 한편, 식민지 조선의 국민문학에 포섭되었던 작가들은 새롭게 자기를 정립하고, 식민지 국민문학을 통해 조선을 말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그러한 문학적 실천 과정 속에서 식민지 조선인 문학자로서 자기와 대면하면서 차이와 균열을 일으키거나 파국을 맞이하였다. 이 책의 논의 내용을 통해 근대의 끝에서 근대 이후 한국문학의 존재 방식을 모색했던 식민지 조선인 문학자들의 행위와 그 속에 내재된 욕망을 가늠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전시총동원 체제하 동원된 식민지 조선문학(자)의 근대를 넘어서기 위한 모험들이 상상력 부재라는 파탄 상황에 처하게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is in the form of a book review on Seo, Seung-hee’s Literary Criticism, System, and Narrative in Colonial Korea, 1930~40. Author examines the meaning of various attempts to resolve the marginality of non-Western colonial literature by becoming a leading player in the Greater East Asian cultural sphere i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topology of Joseon literature at the end of colonial Japanese rule. Choi, Jae-seo was located in the multi-layered field of the stalemate between the elitism of imperial universities and publishing journalism, the antagonism between the universality of English literature and the specificity of Joseon literature, and cultural negotiations between imperial Japan and colonial Joseon. He attempted to transform colonial Joseon literature by appropriating the discourses of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during the wartime general mobilization system at the end of colonial rule. However, such literary practice was ultimately frustrated, especially because universal standards for transforming Joseon literature were sought outside of Joseon literature. Meanwhile, writers who had been included in the national literature of colonial Joseon established themselves anew and tried to talk about Joseon through colonial national literature. However, in the process of such literary practice, he came face to face with himself as a colonial Joseon writer, causing differences and cracks, or even facing catastrophe. Through the content of this book’s discussion, we will be able to gauge the actions and desires inherent in the colonial Joseon writers who sought a way for post-modern Korean literature to exist at the end of modern times. In addi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adventures of colonial Joseon literature mobilized under the wartime mobilization system to go beyond modernity ended up in a ruinous situation due to lack of imagination.

      • KCI등재
      • KCI등재

        월경의 욕망, 상실된 조국- 탈북 재일조선인의 귀국사업에 관한 기록과 증언을 중심으로

        오태영 구보학회 2018 구보학보 Vol.0 No.19

        재일조선인은 경계 위의 존재들이다. 그들은 전후(戰後) 일본사회, 그리고 분단 체제하 남/북한사회에서 포섭되면서 동시에 배제되는 대상이다. 그들은 일본과 한국, 북한이라는 국민국가(=민족국가) 체제의 실정성을 강화하는 장치로서 호명된다. 하지만 재일조선인들은 그 어디에서도 민족적 정체성을 확립하지 못하고 유동적인 상태에 놓여 있다. 그래서 그들은 그러한 유동적 상태에 놓인 불안 의식을 극복하기 위해 ‘조국’ 관념을 가지고 월경의 욕망을 강화한다. 그들에게 상상된 조국은 ‘자기’를 확인하는 한편, 재일조선인 사회를 결속하게 하는 동력으로 작동한다. 그런데 귀국사업을 통해 조국 북한으로 이동하는 과정 속에서 재일조선인들은 실재로서의 북한과 조우하는 한편, 자신들의 상상된 조국을 상실하게 된다. 전후 일본사회에서 재일조선인으로서 차별과 억압의 대상이었던 그들이 스스로의 제한적·폐쇄적 위상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욕망을 증폭시켰던 조국은 또 다른 차별과 억압의 공간이었던 셈이다. 이러한 재일조선인들의 조국 관념의 상실은 유토피아로서의 장소상실로 이어진다. Korean residents in Japan are those on the border. They are objects that are both excluded and simultaneously excluded from post-war Japanese society and in the inter-Korean society under the division. They are Interpellated as dispositif to strengthen the positivity of the nation-state regime of Japa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However, Korean residents in Japan are in a state of flux without establishing a national identity elsewhere. So they strengthen the desire of menstruation with the idea of ​​“motherland” to overcome the anxiety that is in such fluid state. The homeland, imagined by them, works as a power to unite the society of the Koreans residents in Japan while confirming ‘self’. In the process of moving to North Korea through the repatriation of ethnic Koreans from Japan, Koreans residents in Japan encounter North Korea as the real and lose their imagined homeland. The country, which amplified the desire that it would be able to overcome its limited and closed status as the subject of discrimination and oppression in the postwar Japanese society, was another space for discrimination and oppression. The loss of the idea of a motherland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is connected the placelessness as a utopia.

      • KCI등재

        전후 여성의 이동과 (반)사회적 공간의 형성- 정비석의 『자유부인』과 손소희의 『태양의 계곡』을 중심으로 -

        오태영 한국문학연구학회 2020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72

        The Korean War, which broke out in 1950, was a historical event that brought profound changes in human movement. Women during the war, discovering their inner desires, moved to plan and practice their own lives. Postwar women stared at themselves in response to the new order and system, and led by their desires, they left home and headed to the streets. It was a process of escaping oneself as being in the home and a process of repositioning oneself as a social being. However, their movement in the baptism of freedom and democracy was stigmatized as deviance, indulgence, decadence and injustice. And they were defined as anti-social beings in the names of Madame Freedom and Après-girls. As a result, the women who left their homes and went to the streets were once again returned to their homes, resulting in being fixed as beings in the homes. The desire of women as a moving subject is contrary to the male-centred order, and the production of feminine spaces is considered to be the creation of antisocial spaces and is therefore taboo. Furthermore, women were transferred to restore masculinity lost in the male homosocial desire, which formed the core of postwar gender politics. 1950년 발발한 한국전쟁은 인간의 이동에 심대한 변화를 가져온 역사적 사건이었다. 전쟁기 여성들은 내밀한 자기의 욕망을 발견하면서 자기만의 삶을 기획하고 실천하기 위해 움직였다. 전후 여성들은 새로운 질서와 체제에 호응에 자기의 내면을 응시하고 자신의 욕망에 이끌리면서 가정을 나와 거리로 향했다. 그것은 가정 내 존재로서 자신을 탈각하는 과정이자 사회적 존재로서 자기를 새롭게 자리매김하는 과정이기도 하였다. 하지만 자유와 민주주의의 세례 속에서의 그녀들의 이동은 일탈과 방종, 퇴폐와 향락으로 낙인찍혔다. 그리고 그녀들은 자유부인과 아프레 걸 등의 명명 속에서 반사회적인 존재로 규정되었다. 그리하여 가정을 떠나 거리로 나섰던 여성들은 다시금 가정으로 회수되어 가정 내 존재로 고착화되는 결과를 낳았다. 이동하는 주체로서 여성의 욕망은 남성중심주의적 질서에 반하는 것으로, 여성적 공간의 생산은 반사회적 공간의 창출로 여겨져 금기시되었다. 나아가 남성 동성사회적 욕망 속에서 상실된 남성성을 회복하기 위해 여성들은 양도되었고, 이는 전후 젠더 정치의 핵심을 이루었다.

      • KCI등재

        식민(지) 의 기억과 전후 연대의 상상력 - 고바야시 마사루의 『쪽발이』를 중심으로

        오태영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人文科學 Vol.114 No.-

        After the defeat, there were always excluded and marginalized persons in the process of drawing the boundary of the national state and the process of 'nation-becoming' in accordance with it. They are the reincarnations of the collapse of the empire-colonial system, the emancipation of the empire and the liberation of the colonies. Also, they were those who were shaken or bound up as non-people on the border. Among them, there were those who had been involved in establishing their identity as the experiences and memories of the colonial Joseon continued to evolve in the process of living in Japanese society after postwar. Those who had a contradictory stance of the Japanese residents in colonial Joseon as the colonial, they uncovered the sealed memories, and became aware of the share of memory and understood the position of the Korean residents in Japan as the others. At the same time, they searched for the possibility of solidarity with the Korean residents in Japan who had been living in a system of orderly cold division under the Korean War. In this article, we focused on recognizing the limits of formulating the memories of the colonial rather than recognizing the nationality and demarcating the national boundaries through sharing the memory of defeat. Thus, this article discussed the possibility of solidarity through the ethical practice of disguising self as the object of denial that operates the technology of memory for self-affirmation. 패전 이후 국민국가 경계 긋기의 작업과 그에 조응한 ‘국민-되기’의 과정에 는 언제나 배제되고 소외된 자들이 존재했다. 그들은 제국-식민지 체제의 붕괴, 제국의 해체와 식민지의 해방이라는 사건이 새롭게 탄생시킨 존재들로, 경계 위 에서 동요하거나 비(非)국민으로 내몰린 자들이었다. 그리고 그들 중에는 과거 식민지 조선의 체험과 기억이 패전 이후 일본사회를 살아가는 과정 속에서도 지 속적으로 환기되면서 정체성 구축에 동요일 일으키고 있는 자들도 있었다. 구식 민자 재조일본인이라는 모순적 위상을 가졌던 그들은 봉인된 기억을 발굴하고, 기억의 분유(分有)를 자각하여 타자로서 재일조선인의 입장을 이해해가는 한편,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고착화되어갔던 냉전적 질서 하 분단 체제를 살아가고 있 었던 재일조선인과 연대의 가능성을 모색하기도 하였다. 이 글에서는 패전의 기 억을 공유하는 것을 통해 국민국가의 경계를 획정하고 국민 됨을 자각하는 것이 아닌, 식민(지)의 기억을 분유하는 것이 갖는 한계를 자각하는 한편, 자기 긍정을 위한 기억의 테크놀로지를 작동시키는 자기를 부정의 대상으로서 환멸하는 윤리 적 실천을 통해 연대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는 고바야시 마사루의 서사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팔굽혀 펴기 중 시각 정보와 지면 안정성이 상지 근육의 근활성에 미치는 영향

        오태영,이창민,서채민,서주혜,박소현,이재호 대한신경치료학회 2023 신경치료 Vol.27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isual information and ground stability on muscle activation of upper extremity muscles during doing pushup. Methods Participants were adult male college students (n = 19) who could do pushup normally. The subjects first measured the MVIC (Maximal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after attaching the electrodes to the upper Trapezius, lower Trapezius, Serratus anterior, and Pectoralis major. After that, muscle activation was measured during doing pushup. The environment for pushup was divided into four conditions according to visual information and the stability of the ground. Results As a result, the rest of the muscles except lower Trapezius showed differences in muscle activation according to the stability of the ground in an environment that provided or blocked visual information. However, compared to upper Trapezius and Pectoralis major showing higher muscle activation on unstable ground, Serratus anterior showed lower muscle activation on unstable ground. Conclusion The stability of the ground affects the difficulty of pushup before visual information. Afterwards, the difficulty level on the neck and upper shoulder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visual information.

      • KCI등재

        두 개의 밀항, 해방과 전쟁 사이의 월경-황순원, 손소희, 박해준 소설의 밀항자 표상을 중심으로

        오태영 구보학회 2023 구보학보 Vol.- No.33

        In the period from liberation to the Korean War, countless borders surrounding/ penetrating the Korean peninsula were produced, but from a large perspective, they were the product of (re)defining the boundaries between Korea and Japan and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nd while those boundaries were being defined, various aspects of movement beyond the boundaries appeared, such as return and salvage, went to North and South Korea, Korean war mobilization and evacuation. Considering these points, this article paid attention to the ‘stowaways’ from the liberation period to the Korean War. Moving ‘outside’ the borders of the country, they are noteworthy in that they embody the possibility of critically thinking about the East Asian regional order and the Cold War-division system of South and North Korea, which are transitioning from the imperial-colonial system to the post-colonial-Cold War system. The stowaway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do not stop at simply symbolically showing the boundary division and the gap in the process of system change, but show that the political and economic order of the postcolonial-Cold War system surrounding South and North Korea and Korea-Japan continues as a remnant of the empire-colonial system in fact. Also, stowaways during the Korean War appear as those who commit illegal acts and those who deviate from the rules of mobilization for war. The censorship of those who are disobedient and the punishment of those who have deserted from the state confirms how stowaways exist (im)possible as cross-borderers after liberation. In this way, smuggling makes it possible to gauge how the nationalist power positioned and ruled the population as an object of bio-politics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post-colonial-Cold War system that lurks within this self-evident thing.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hed new light on the form of Korean border crossing in the mid-20th century in that it raises questions about the state that reinforces its governance by concealing individual acts and desires that slip outside the state in the illegal realm. 해방에서 한국전쟁에 이르는 시기 한반도를 둘러싼/관통한 경계들은 무수히 많이 생산되었지만, 크게 보아 그것은 한일 간의 경계와 남북한 사이의 경계를 (재)획정하는 작업의 산물이었다. 그리고 그러한 경계들이 획정되는 가운데 귀환과 인양, 월남과 월북, 전쟁 동원과 피난 등 경계를 넘는 다양한 이동의 양상들이 나타났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점을 감안해 해방 이후부터 한국전쟁기에 이르기까지 황순원, 손소희, 박해준의 단편소설에 나타난 ‘밀항자’ 표상에 주목하였다. 국가의 경계 ‘밖’으로 이동한 그들은 제국-식민지 체제에서 탈식민-냉전 체제로 전환되는 동아시아 지역 질서와 남북한 냉전-분단 체제를 비판적으로 사유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몸으로 체현하고 있는 자들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해방기 밀항자들은 단순히 체제 변동 과정 속에서 경계 구획과 그 틈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남북한과 한일을 둘러싼 탈식민-냉전 체제의 정치경제적 질서가 기실 제국-식민지 체제의 잔여로 계속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한국전쟁기 밀항자는 불법을 저지른 자이자 전쟁의 동원 문법으로부터 이탈한 자로 나타난다. 그들 불온한 자에 대한 검열과 국가로부터의 이탈자에 대한 처벌은 해방 이후 월경자로서 밀항자가 어떻게 존재 (불)가능한가를 확인케 한다. 이처럼 밀항은 바로 이 자명한 것 내부에 도사리고 있는 탈식민-냉전 체제 형성 과정에서 국가주의 권력이 어떻게 생명정치의 대상으로 인구를 위치시키고 통치했는가를 가늠할 수 있게 한다. 뿐만 아니라 국가의 밖으로 미끄러져가는 개인의 행위와 욕망을 불법적인 영역 속에 은폐하는 것을 통해 다시금 통치성을 강화해가는 국가에 의문을 제기한다는 점에서 20세기 중반 한국인의 월경의 형식 중 새롭게 조명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웹소설 연구의 현황과 전망: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국내학술논문을 중심으로

        오태영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22 한국문학연구 Vol.- No.70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ritically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web novel research and to predict the future direction of web novel research. To this end, domestic academic papers derived as a result of keyword search for web novels in RISS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from 2015 to 2022 were reviewed. Since the papers are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detailed analysis of the history of web novel research will inevitably be limited. Nevertheless, in the academic discourse, it was possible to observe the main trends in the history of web novel research that has been conducted for the past 10 years. The first thing that stands out in the research on web novels is the discussion of the origin and development process of web novels. In this regard, it is largely divided into a position to view web novels as a new novel genre or genre novel, and a position to view web novels as cultural contents based on the web platform. And the most important thing in web novel research is the analysis of the web novel narrative structure for each genre and the discussion of its effects. These discussions have largely focused on revealing how genre recognition and the function and role of web platforms affect the formation of the narrative structure of web novels. On the other hand, in the study of web novel readers, discussions on the conditions and process of reading behavior centered on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readers were the main focus. Web novel research like this will be developed in a variety of ways in the future in the status and cultural performativity of web novel writers-readers, the vitalization of the web platform, and the spread of cultural contents. 이 글의 목적은 웹소설 연구의 현황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이후 웹소설 연구의 방향을 전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5년부터 2022년까지 학술연구정보서비스를 대상으로 웹소설을 키워드로 검색한 결과 도출된 국내학술논문을 검토 대상으로 삼았다.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웹소설 연구사에 대한 세밀한 분석을 수행하는 것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럼에도 학술 담론장에서 지난 10여 년 동안 진행되어온 웹소설 연구사의 주요 경향을 조망할 수 있었다. 웹소설에 관한 연구에서 먼저 눈에 띄는 것은 웹소설의 발생 및 전개 과정에 대한 논의이다. 이와 관련해서는 웹소설을 새로운 소설의 장르 또는 장르소설로 보는 입장과 웹 플랫폼 기반의 문화 콘텐츠로 보는 입장으로 대별된다. 그리고 웹소설 연구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각 장르별 웹소설 서사 구조의 분석 및 그것의 효과에 대한 논의이다. 이러한 논의들은 대체로 장르 인식 및 웹 플랫폼의 기능과 역할이 어떻게 웹소설의 서사 구조 형성에 영향을 끼치는가를 밝히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한편, 웹소설 독자 연구에서는 독자의 특징을 파악하는 것을 중심으로 하여 독서 행위의 조건 및 과정에 관한 논의들이 주를 이루었다. 이와 같은 웹소설 연구는 웹소설 작가-독자의 위상 및 문화적 수행성, 웹 플랫폼의 활성화와 문화 콘텐츠의 확산 속에서 이후에도 다채로운 방식으로 전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