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전환기 내한 선교사 저술 속에 나타난 한국인식: 헐버트, 게일, 베어드를 중심으로

        오지석 ( Jieseok Oh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본 연구는 근대전환기 내한 선교사 가운데 헐버트, 게일, 베어드의 활동과 저술 속에 나타난 각각의 한국인식을 살펴보았다. 선교사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였고, 거기서 경험한 한국인식을 기고, 집필의 형태로 세계와 소통하고, 강연회를 통해 직접 영미지역에 한국학을 유통하며 한국학을 주도했다. 근대전환기에 헐버트는 교육과 정치 분야에서, 게일은 문학과 문화영역에서, 베어드는 교육과 문서 활동분야에서 족적을 남겼다. 이들이 갖고 있던 한국인에 대한 공통적인 생각은 ‘존중’이라는 표현된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동시대 같은 인문학 담론장에 있던 외국인들의 시선을 개별로만 보지 말고 횡단으로 들여다보면 ‘따로 또 같이’라고 표현할 수 있는 담론장을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럴 때 근대전환기 한국의 모습이 생생하게 다가 올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looked at the activities of Hulbert, Gail, and Baird among the missionaries in Korea during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and the respective Korean style in their writings. Missionaries worked in various fields, contributed to the Korean knowledge experienced there, communicated with the world in the form of writing, distributed Korean studies, and led Korean studies. During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Hulbert left a mark in education and politics, Gale in literature and culture, and Baird in education and document activities. Their common idea of Koreans is expressed as “respect.”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foreigners who were in the same humanities discourse center as the contemporary era do not only look at the eyes individually, but look at the discourse hall as a cross-section, which can be described as “separately and together.” With this sense, the image of Korea in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will be vivid.

      • KCI등재

        근대전환기 기독교계 학교 과학교과서 이해 -평양 숭실대학의 과학교과서를 중심으로

        오지석 ( Jieseok Oh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1

        본 연구는 서양으로부터 직접 영향을 받은 과학교과서들 가운데 평양 숭실대학 설립자 윌리엄 베어드와 그의 아내 애니 베어드가 번역하고 번안한 과학교과서에 대한 기초 연구로서 근대전환기의 과학교육을 이해하고 그 변용을 추적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근대전환기 과학교과서 관련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격치학에서 과학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기독교계 학교 과학교과서가 갖는 특징을 제시하였다. 평양 숭실대학에서 간행된 과학교과서의 특성을 찰스 다윈의 진화론을 수용한 기독교 세계관에서 찾았으며, 당시 평양숭실대학의 교과과정과 함께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근대전환기 과학교과서를 통해서 새로운 학문, 과학에 대한 교육의 형성에 있어서 서양인들의 영향을 추적하고 그 교과서의 성격을 분석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하여 앞으로 기독교와 과학의 관계를 관련 학문들이 함께 연구하는 접근방법으로 연구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 basic study of science textbooks translated and developed by William Baird and his wife Annie Baird, founders of Pyong-yang Soongsil among science textbooks directly influenced by the West. Therefore, we reviewed prior studies related to science textbooks in encountering the modern, and 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Christian science textbooks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from radical science to science.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 textbooks published in Soongsil, Pyong-yang were found in the Christian worldview that embraced the theory of evolution by Charles Darwin, and analyzed with the curriculum of Union Christian College in Pyong-yang.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traced the influence of Westerners and analyzed the nature of the textbooks in the formation of new science and education through science textbooks in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Through this, it can be said that it provides a clue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Christianity and science in the future through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 KCI등재

        근대전환기의 기독교 혼인윤리 성립과정고찰 -소안론과 배위량의 논쟁을 중심으로

        오지석 ( Oh¸ Jie-seok )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21 기독교사회윤리 Vol.49 No.-

        이 글은 근대전환기 한국에서 기독교가 수용되면서 초기 내한 선교사들이 겪는 난제 가운데 하나였던 중혼자 혹은 복혼자(polygamist) 문제에 대해 선교사들이 논쟁과 토론을 통해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밝혀 기독교 가정윤리, 혹은 혼인윤리가 이식되고 정착되어 가는 과정을 추적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통적으로 한국사회에서 일부일처제도는 형식상 존재하였으며 공공연히 축첩이 허용되었다. 기독교 교리에 비추어 볼 때 축첩풍습은 허용될 수 없었지만 중혼자 처리 문제는 선교사들 사이에서 신학의 차이를 드러내기도 하였다. 1895년 감리교에서는 중혼자는 남녀를 불문하고 감리교회에 입교·재적할 수 없다고 정리하였고 장로교에서는 1894년부터 시작해 1897년 미북장로교 해외선교부의 스피어가 참석한 한국선교부 연례회의에서 일단락을 지었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소안론은 중혼자의 교회 회원 자격에 대해 온건한 입장이고 이 문제에 대해 배위량은 원칙론을 주장한다. 1897년 연례회의에서는 소안론이 주장한 온건론보다는 원칙론을 주장한 배위량의 입장을 받아들인다. 중혼자는 교회 회원이 될 수 없다는 이런 입장은 그 후에도 유지된다. 소안론과 배위량의 중혼자관련 논쟁은 한국 기독교의 혼인윤리에 근간이 되는 것으로 한국사회가 형식적 일부일처제에서 실질적 일부일처제로 이행하는 데 일정한 역할을 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article clarifies the process by which missionaries resolve through debate and debate on the problem of the polygamist, which was one of the challenges faced by Korean missionaries in the early days as Christianity was accepted in Korea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Christian family ethics, or marriage. Its purpose is to track the process by which ethics is being implanted and established. Traditionally, in Korean society, monogamy system existed in form, and constriction was openly allowed. In the light of Christian doctrine, the custom of constriction could not be allowed, but the issue of dealing with polygamist also revealed differences in theology among missionaries. In 1895, the Methodist Church organized that polygamist, regardless of gender, could not enter or enroll in the Methodist Church. The Presbyterian Church began in 1894, and in 1897, it was establish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Korean Mission, attended by Speer of the North Korean Presbyterian Mission. It should be noted here that W. L. Swallen is a moderate position on the self-serving of a member of the church of , and insists on the principle of principle. At the annual meeting in 1897, the position of William M. Baird who insisted on principle rather than the moderate theory of W. L. Swallen was accepted. This stance that a big man cannot become a member of the Church persists after that. The debate on the serious marriage between Swallen and Baird is the basis of the marriage ethics of Christianity in Korea, and it can be evaluated that Korean society has played a certain role in the transition from formal monogamy to practical monogam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