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 교실대화의 특성 탐구:

        오정희(Oh, Ju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12

        본 연구는 유아교실에서 나타나는 대화의 특성을 활동유형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 교육적 의미를 해석학적 관점에서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B시에 소재한 2개의 유아교육기관의 만 5세반을 각각 선정하여 자유선택활동, 소집단활동, 대집단활 동을 중심으로 총 31회기의 비참여관찰을 실시하였으며, 면담, 연구자일지, 문서자료등을 함께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질적 분석방법 중 귀납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 교실대화는 활동유형에 따라 구조화된 독특한 대화유형이 나타나고 있었다. 자유선택활동에서는 질서와 놀이 유지를 위한 대화가 이루어지고 있었고, 대집단활동에서는 수업진행을 위한 대화의 구조가 형성되고 있었다. 한편 소집단활동에서는 활동과제를 매개로 하여 활동을 안내하고 정보를 공유하는 대화가 구성되고 있었다. 이러한 언어적 실천은 유아 교실대화를 통해 교사와 유아들이 한 집단의 일원으로써 어떻게 정체성을 형성해 가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lassroom dialogues among Kindergarteners in the classrooms, which were structuralized based on the types of class desig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e Kindergarteners in classes of age 7 in two different kindergartens located in the city of B. Classroom observation data, teacher interview data, this researcher s journal and activity plans were gather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n inductive method, which was one of qualitative analys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structure, regularity and repertory of their dialogues depended on the types of class design. They had a talk to keep order and keep playing while they engaged in free-choice activities, and the kind of dialogue that aimed to ensure the smooth progression of classes took place during whole-group activities. In small- group activities, activity emerged tasks served as media to stir up dialogue between the Kindergarteners and their teachers. The verbal classroom dialogue of the Kindergarteners and their teachers showed that they were building their identity as group members.

      • KCI등재

        마이크로티칭 과정에서 나타나는 예비유아교사의 언어교수능력 및 실천적 지식 탐구

        조채영(Jo, ChaeYoung),오정희(Oh, Ju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마이크로티칭 경험이 예비유아교사의 언어교수능력과 실천적 지식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4년 5월 1일부터 6월 12일까지 유아언어교육 교과목을 수강하는 학생 60명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여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사전·사후 언어교수효능감 검사지, 수업촬영 동영상, 반성적 저널, 면담자료 등을 함께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양적자료를 분석한 결과, 마이크로티칭 경험 유무에 따라 예비유아교사의 언어교수효능감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마이크로티칭이 예비유아교사의 언어교수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다음으로 질적자료를 분석한 결과, 예비유아 교사들은 마이크로티칭 과정을 통해 제 3자의 눈으로 교사로서의 자신과 동료를 평가하고 체계적으로 언어교수를 성찰하면서 자신과 수업의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부각시키면서 실천적 지식을 형성해 가고 있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이루어진 팀원들 간의 협력적 사고와 실천은 언어교수에 대한 총체적 안목을 형성케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be how microteaching experience effect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language teaching efficacy and practical knowledge.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60 students taking languag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Language teaching efficacy pretest and post test, videoing simulated instruction, reflective journal and interview data were collected. The result of quantitatively analyzed data showed that microteaching was significant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language teaching efficacy. In qualitative analysis, the study revealed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valuated themselves and reviewed peers objectively. They also made up for the weak points, highlighted merits and developed practical knowledge through systematic assessment. In addition, they acquired whole perspective on languag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by their collaborating and practicing.

      • KCI등재

        초보상담자가 경험하는 윤리적 이슈

        최경란(Kyungran Choi),오정희(Junghee Oh),홍지영(Jiyoung H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5

        목적 본 연구는 초보상담자들이 상담과정에서 경험하는 윤리적 이슈가 무엇인지 밝히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를 위해 J지역과 D지역 소재의 상담관련 대학원 재학이상, 3년 이하의 경력을 가진 초보상담자 12명을 대상으로, 총 3회에 걸쳐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9개의 영역, 19개의 범주, 52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결과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내담자 보호’(범주: 내담자 보호의 어려움 등), ‘사전 동의’(범주: 내담자에게 충분히 설명하고 사전 동의 받는지 의문이 듦 등), ‘비밀보장’(범주: 초보상담자로서 불안을 감소시키려는 욕구와 비밀보장이 갈등됨 등), ‘상담기록물 관리’(범주: 기록물 관리가 비밀보장을 어렵게 할까 우려됨 등), ‘상담자 전문역량’(범주: 전문역량이 부족하나 성장하고자 사례를 진행하며 갈등함 등), ‘상담자 보호’(범주: 위기사례에서 상담자가 보호받지 못함 등), ‘상담자의 자격관리’(범주: 수련기관과 프로그램을 신뢰할 수 없음 등), ‘수퍼비전 관계’(범주: 다중관계로 상담에서 힘듦을 말하지 못함 등), ‘운영기관과의 관계’(범주: 기관방침과 내담자 복지가 상충됨 등) 영역이 추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초보상담자의 상담과정에서 경험되는 다양한 윤리적 이슈를 밝히고, 이러한 이슈에 내적논쟁을 심화하거나 완화하는 환경적 요인을 탐색적으로 드러냈다. 마지막으로 초보상담자의 적응과 윤리적 발달을 위한 제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ttempted to clarify the ethical issues experienced by novice counselors during the counseling process. Methods For this study, 12 novice counselors with 3 years or less of counselling experience and graduate school experience in J and D regions were interviewed with three focus groups and analyzed the data. Results From the results analyzed, 9 areas, 19 categories, and 52 concepts were derived. The main concepts are ‘Client protection’ (category: Difficulty relating to client protection, etc.), ‘Informed consent’ (category: Doubt about whether client was given enough explanation before informed consent, etc.), and ‘Confidentiality’ (category: Dilemma between desire to relieve anxiety as a novice counselor and concern of confidentiality, etc.), ‘Management of counseling records’ (Category: Worries if client confidentiality would be in crisis because of the management of consult records, etc.), ‘Expert competency of counselors’ (category: Conflict between recognition of incompetence and desire of self-improvement, etc.), ‘Counselor protection’ (category: Difficulty in counselor protection in critical situations, etc.), ‘Qualification management of counselors’ (category: Mistrust in training institutions and training programs, etc.), ‘Relationship in supervision’ (category: Difficulty in discussing hardships in counseling due to multiple relationship with supervisor, etc.), and ‘Relationships in operating institutions’ (Category: Conflict between institutions’ policies and welfare of client, etc.) were extracted.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for adaptation and ethical development of novice counselors were discussed among with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