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19 상황하의 한국의 계승일본어 교육의 실태

        오이카와히로에 ( Oikawa Hiroe ),이와마아키코 ( Iwama Akiko )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2021 日本硏究 Vol.- No.90

        국내에 거주하는 한일 국제결혼 가정 및 계승 일본어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자조 모임은 계승 일본어교육 네트워크 확대 및 그 지원을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국제교류기금 서울 일본문화센터에서 위탁을 받아 2021년 2월에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368개의 가정에서 응답을 받았다. 본고에서는 코로나19 하에서 계승일본어 교육 실태는 어떠한지에 대해 다음의 세가지에 관해 분석하며 고찰하였다. 첫째, 코로나19로 인해 대면 교실 활동이 어려워져서 가정에서만 학습을 진행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지만, 계승일본어 교육과 관련된 활동은 가정에서도 실시되고 있는가 그리고 그 구체적인 내용은 어떤 것인가, 둘째, 지금까지 참여한 온라인 활동 중 인상에 남아있는 활동은 무엇인지, 셋째, 앞으로 하고 싶은 온라인 활동은 무엇인가 등이다. 이 작업을 통해 코로나19로 인해 초래된 온라인 환경정비 촉진에 의한 계승일본어 교육 활동의 성과 및 가능성을 찾아내었다. The Japan Foundation Seoul aims to expand the network of JHL(Japanese as a heritage language) Education by Korea-Japanese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and community-based JHL Groups that provide Japanese education and to expand their support. We were commissioned to conduct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in February 2021. As a result, 368 households responded. In this paper, we analyzed and considered the following three points about the actual situation of JHL education under the situation of COVID-19. First, face-to-face classroom activities have become difficult due to COVID-19, so they have no choice but to study at home. Under this situation, can you keep stuyding JHL or not. Second, what are the most memorable online activities that your child has participated in. Third, what kind of online activities do you want your child to participate in the future. Through this work, we were able to discover the results and possibilities of JHL education activities by promoting the improvement of the online environment brought by COVID-19.

      • KCI등재

        韓国の継承日本語教育活動の実態と支援課題 ー自助グループの運営形態に関する考察をもとにー

        이와마아키코 ( Iwama Akiko ),오이카와히로에 ( Oikawa Hiroe ) 한국일어일문학회 2021 日語日文學硏究 Vol.116 No.-

        본고는 국제결혼으로 인해 다문화가정 자녀로서 한국 국내에서 거주하는 아이들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계승일본어자조그릅을 고찰하여 국내 그릅의 특징과 그릅에 대한 지원 과제를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본 국내에서는 2019년 6월에 그러한 계승일본어학습자의 일본어 교육을 지원하는 ‘일본어 교육의 추진에 관한 법안(일본어교육추진법)’이 제정되어 지금 현재 전 세계에 분산하는 해외장기거주자에 대한 일본어교육을 어떻게 지원해 갈지에 대한 논의가 열리고 있다. 한국 국내에서는 2000년 이후 한일 국제결혼 커플이 증가함에 따라 2010년 전후부터 가정 밖에서 보호자가 지인들 등과 협조해서 봉사활동 개념으로 계승일본어교육활동을 하는 자조그룹이 전국각지에서 발생하였다. 본 연구는 그러한 자조그룹에 대해서 2016년부터 2년마다 실시한 총 3번의 설문조사를 토대로 그 운영형태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여 국내 자조그릅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특징이 보인다. 첫째, 자조그릅 재적 학생 수의 증가와 연령대가 상하 양방향으로 확대함에 따라 한국 국내 지원기관을 이용하거나 역할을 자세히 나누는 등 보다 지속가능한 운영 형태를 모색하는 모습이 보인다. 둘째, 운영비에 대해서는 한국 국내에서 경제적, 물리적 지원을 받거나 활동 담당자(교사 등)에 대한 사례금을 지급하는 그룹이 증가하여 각 역할에 대한 책임과 부담을 분산하여 안정적인 운영을 시도하는 모습이 보인다. 셋 째, SNS를 이용하여 각 그룹 내부 연락망이 발달하였을 뿐만 아니라 2018년 당시까지는 외부에 대한 정보 노출을 피했던 그룹들이 관련 SNS이나 웹사이트 등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단체가 증가하였다. 한편 그룹 규모가 확대하면서 운영 체계가 무너지는 것을 우려해서 더 이상 외부에 노출을 피하는 태도도 보였다. 위와 같은 결과는 국가 규모의 지원이 있거나 계승일본어화자가 2,3세대 이상이 되는 유럽이나 미주 등 배경이 다른 지역과는 또 다른 정부지원 과제가 있을 것이다. 특히 한국 국내에서는 지금까지 계승일본어교육에 대한 (일본 측에서) 국가 규모의 교육지원이 없었던 만큼 앞으로 그러한 자조그룹에 변화가 기대된다. 한국 국내에서 계승일본어교육활동 자조그룹들이 보다 원활하고 지속적인 운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또 계승어교육 관련 교육기관에 적절한 지원과제를 제시할 수 있도록 조사대상자나 조사대상 항목을 확대하며 후속 연구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In 2019, an Act on Promotion of Japanese Education (日本語の教育に関する法律) was put into effect and now people related to learners with a multilingual background are trying to figure out how to support heritage Japanese language learners covered by the law. In Korea, with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international marriag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the issue of ‘Japanese as a heritage language (JHL)’ education to their children has been brought into focus since 2000. Among domestic JHL students, 97% of them are getting no educational support on their Japanese learning, and consequently, the mothers of those children find themselves both organizing and managing those groups in order to cater to their own children's language need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anagement of community-based JHL groups in Korea in order to analyze the overall trend and unveil ways to support them under the newly enacted law. Through the surveys conducted in 2020, the following three characteristics have stood out. First, following the situation that the number of the children at each group is increasing and that the range of the childrens’ age is wide-spreading, the running members (mainly the parents of the children) of each community is trying to not only get more support from the Korean government but also the stability of the management situation. Third, twelve out of thirteen groups are mainly using SNS to interact with one another within each group and using websites or SNS to share information about the groups outside in public, which is a big leap from the 2016 survey. Still, running members are not proactively publicizing their information since the new members may interrupt and close-knit and mentality of the groups. For future studies, further research across Korea will be required to seek a concrete analysis on what kind of support needs to be implemented for effective, stable, and long-term management of community-based JHL groups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