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Factors Determining Turnover Intention of Newly Graduated Nurses during COVID-19 Pandemic

        오세미,오진욱 부산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23 글로벌 건강과 간호 Vol.13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factors affecting the turnover intention of newly graduated nurs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secondary analysis of data from the 2019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collected in September 2020. Overall, 240 nurses who graduated from universities in August 2018 or February 2019 were selected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logistic analysis of the data were performed using Stata 15.0. Results: The results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among individual factors, married individuals and men (relative to single individuals and women, respectively) were more likely to hold turnover intentions. While none of the organizational factors affect turnover intentions of new nurses, both work-related factors, namely job satisfaction and perception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negatively affect turnover intention (β=-0.67, p=.018, β=-0.59, p=.043, respectively). Conclusion: In response to the call for further studies on nurses' turnover during the pandemic, we provide additional empirical evidence that corroborate with and expand upo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Moreover, this study offers a nuanced view to understand nurses' turnover by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nurses' human resource management perceptions in minimizing turnover intentions, which may help medical institutions understand factors and strategies to reduce turnover.

      • KCI등재
      • 공공기관 건설공사의 안전강화를 위한 안전보건대장이 건설산업에 미치는 기대효과와 취약점에 관한 연구

        오세미,Semi, Oh 한국건설안전학회 2019 한국건설안전학회 논문집 Vol.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how to draw up a safety guarantee certificate and its future expected effects in connection with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 as it becomes mandatory to draw up a safety guarantee led by the owner who exercises practical decision-making authority and pays for the construction work. Therefore, Therefore, this study predicts the expected effects of the health and safety guarantee on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the weaknesses that future health and assurance have in settling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relation to the revised Act on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nd It will be used as basic data on the changes that will be brought by the shipper-led preemptiv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as well as strengthening responsibilities and safety for the role of the shipper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안전보건법과 관련하여 실질적인 의사결정 권한을 행사하고 건설공사 비용을 부담하는 자가 주도하는 안전보건대장을 작성하는 것이 의무화됨에 따라 안전보건대장 작성방법과 향후 예상되는 효과를 연구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정된 산업안전보건법과 관련하여 건설산업에 대한 안전보건대장의 기대효과와 향후 안전보건대장이 건설산업에 미치는 취약점을 예측한다. 이것은 건설산업에서 발주자의 역할에 대한 책임과 안전을 강화하는 것뿐만 아니라, 발주자가 주도하는 선제적 안전 및 보건 관리 시스템이 가져올 변화에 대한 기본적인 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 KCI등재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불안의 관계: 대인존재감과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오세미,김주은,장수정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23 人間理解 Vol.44 No.1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mattering and self-accept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and social anxiety. An online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college students, and a total of 371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SPSS 24.0 and SPSS PROCESS macro 4.0.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s (emotional warmth, rejection) and social anxiety, there was a sequential double-mediated effect of mattering and self-acceptance. Second,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mattering and self-accept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verprotection parenting attitude and social anxiety, indicating a direct impact of overprotection on social anxiety.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presented, and the need for follow-up research is suggested.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인존재감과 자기수용이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도, 충청도, 강원도, 경상도에 소재하는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총 371부의 자료를 SPSS Statistics 24.0과 SPSS PROCESS macro 4.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애정적 부모양육태도는 사회불안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거부적 부모양육태도, 과보호적 부모양육태도는 사회불안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애정적 부모양육태도와 사회불안 간 관계에서 대인존재감과 자기수용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거부적 부모양육태도와 사회불안 간 관계에서 대인존재감과 자기수용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과보호적 부모양육태도와사회불안 간 관계에서 대인존재감과 자기수용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과보호적 부모양육태도는 사회불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의의 및 한계점,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폭식행동에 대한 마음챙김 명상과 마음챙김-자기자비 명상의 효과 비교: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조절곤란을 중심으로

        오세미,장재홍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24 인지행동치료 Vol.24 No.1

        본 연구는 폭식행동에 대한 치료적 개입으로, 마음챙김-자기자비 명상 개입의 효과를 순수 마음챙김 명상 개입과 비교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거주 20대 남녀 463명을 대상으로 폭식 척도(BES)를 실시하여 폭식 경향이 있는 참가자를 선별하였고, 마음챙김 명상집단에 9명, 마음챙김-자기자비 명상집단에 10명, 무처치 통제집단에 11명을 할당하였다. 마음챙김 명상집단은 8주간 주 1회 마음챙김 명상을 실시하고, 마음챙김-자기자비 명상집단은 초반 4주는 동일한 마음챙김 명상, 후반 4주는 자기자비 명상을 실시하였다. 측정 도구는 폭식(BES), 마음챙김, 자기자비(SCS), 내면화된 수치심(ISS), 정서조절곤란(DERS) 척도이며, 프로그램 사전, 중간(4주), 사후, 추후(종결 이후 1개월), 총 4번에 걸쳐 반복측정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마음챙김 명상집단과 마음챙김-자기자비 명상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마음챙김, 자기자비 수준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폭식행동, 정서조절곤란 수준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내면화된 수치심은 마음챙김 명상집단에서만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마음챙김-자기자비 명상집단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성이 있었다. 이는 마음챙김-자기자비 명상개입이 기존의 마음챙김 명상개입과 마찬가지로 폭식, 정서조절곤란에 유사한 효과가 있음을 의미하며, 수치심 개선에서는 다소 제한된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및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improving mindful self-compassion and mindfulness as a treatment for binge eating and compared the effect of two methods. 463 men and women in their 20s completed Binge Eating Scale(BES) and participants with binge eating tendency were assigned to three conditions: mindfulness(n=9), mindful self-compassion(n=10), and control condition(n=11).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The mindfulness meditation group and the mindful self-compassion meditation group showed significant reduction in binge eating and emotion dysregulation as well as significant improvement in mindfulness and self-compass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ternalized sham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mindfulness meditation group while for mindful self-compassion meditation group it showed a tendency to decline but not reaching significance. This means that mindful self-compassion meditation is as effective in binge eating and emotion dysregulation as mindfulness meditation, and has a limited effect on improving internalized sham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일제시기 빵의 전래와 수용에 대한 연구 : 군산의 근대 제과점 이즈모야[出雲屋]를 중심으로

        오세미나(Oh Se-Mi-Na) 역사문화학회 2012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5 No.1

        본 논문은 일제시기 군산에 등장한 제과점 이즈모야의 사례를 바탕으로 지역 사회에 빵이 유입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그리고 조선인들에게 빵과 과자의 문화가 어떻게 근대적이고 이국적으로 다가왔는지에 대해 알아본다. 빵의 전래와 수용이 일제시기를 거치면서 복잡하게 전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 사람들은 빵을 단순히 서구의 문화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 연구는 출발한다. 논문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일제시기 군산에서 빵을 만들고 있던 이즈모야 제과점의 역사를 추적한다. 그리고 근대 제과점 이즈모야의 특징을 공간, 유통구조, 기술과 기구, 경영 네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이를 통해 당시 조선인들에게 새로운 경험으로 다가온 맛과 근대화 된 공간에 대해 논의한다. 본 논문에서 중시하고 있는 바는 근대 문화의 수용에 있어서 다양한 양상과 행위 주체들이다. 따라서 본 논의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군산 지역의 제과점의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서 근대적 공간인 제과점을 둘러싸고 일어난 행위 주체들의 역동적인 움직임을 구체적으로 다룬 미시적인 연구 사례가 될 것이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ntroduction of bread to Korea on the basis of the example of a bakery called Izumoya in Guns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In addition, the paper deals with how modern and exotic the culture of bread and snack foods was considered by Koreans in those days. What this research starts from is that quite a few Koreans simply regard bread as a part of western culture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 introduction and reception of the food underwent complicated processes through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ncy. The contents of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it focuses on the trace of history for the bakery named Izumoya running in Gunsan under the colonial rule. Next, the features of the modern bakery are approached from the four sections of space, distribution structure, techniques and utensils, and management. Then, the paper discusses the modernized space and the new taste for Koreans about that time. This research places an emphasis on various aspects and agents in the introduction of modern culture. By thoroughly examining the history of the bakery having been run since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research is expected to be the microscopic study of dynamic movements with agents around a modern place of a bakery.

      • KCI등재

        전통 음식 관광 프로그램을 통해 본 무형유산 관광과 방향성 연구 -전주음식명가 김치 체험을 중심으로-

        오세미 무형유산학회 2024 무형유산학 Vol.9 No.1

        음식문화유산은 2010년 최초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으로 등재되었다. 등재된 문화는 프랑스의 미식 문화(Gastronomic meal of the French), 미초아칸의 패러다임(Traditional Mexican cuisine - ancestral, ongoing community culture, the Michoacán paradigm)이다. 이후 음식문화유산이 지속적으로 등재되었으며, 2022년 제17차 유네스코 정부간위원회에서는 다수의 음식문화유산이 등재되었다. 이는 최근 유네스코가 ‘무형유산과 관광’을 내세운 정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유네스코 협약의 운영지침(Operational Directives)의 Chapter IV-117은 무형유산 관광의 상업적 이용에 대한 주의를 다루며, Chapter VI-187은 무형유산 보호에 미치는 영향에 대비한 권고안으로, 무형유산 관광과 관련된 모든 차원에서 적용될 수 있는 문제에 대한 윤리 원칙을 제시한다. 또한 최근 유네스코 비정부기구(Nongovernmental Organization,이하 NGO)는 무형유산과 관광의 주제로 하여 유의미한 연구를 공개하였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본고는 무형유산과 관광의 국제적 동향을 살펴보고, 그 안에서 음식문화유산 관광의 방향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실제 무형유산 현장에서 진행되고 있는 전통음식을 주제로 한 무형유산 관광 사례를 살펴보고, 국제적 흐름 안에서 무형유산 관광의 의미를 고찰한다. 이를 토대로 무형유산 관광의 지속가능한 음식문화유산 관광의 방향과 시사점을 찾아본다. The concept of food cultural heritage was first inscribed onto the UNESCO Representative List in 2010. The inscribed cultures include the Gastronomic meal of the French, Traditional Mexican cuisine—a paradigm of ancestral, enduring community culture in Michoacán. Subsequently, more instances of food cultural heritage were inscribed, and at the 17th session of the UNESCO Intergovernmental Committee in 2022, numerous food cultural heritages were listed. This can be viewed in conjunction with UNESCO's recent policy emphasis on 'Intangible Heritage and Tourism'. The Operational Directives of the UNESCO Convention, particularly Chapter IV-117, address the caution needed in the commercial us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ourism, while Chapter VI-187 provides recommendations in anticipation of the impacts on the safeguard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fering ethical principles that can be applied across all dimensions related t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ourism. Moreover, recent publications by UNESCO's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NGOs) have opened meaningful research on the them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tourism. In this context,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international trend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tourism, specifically focusing on the direction of gastronomy based tourism. It examines case studie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ourism based on traditional foods in actual heritage sites and contemplates the significanc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tourism within international currents. Based on this, the paper seeks to identify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sustainable food cultural heritage tourism. It proposes tha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ourism should be community-based, facilitated through professional cultural mediators, and that it must support solidarity and social return by the stakeholders involved.

      • KCI등재후보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씨름’, 남북한 공동 등재 이후 과제

        오세미 무형유산학회 2021 무형유산학 Vol.6 No.2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the Ssireum community in North and South Korea by focusing on the joint inscription on the UNESCO Representative List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Based on this joint inscription, this paper considers ways to exchange and communicate based on the cooperation from both the North and South Korea’s Ssireum community in the process of the joint inscription. In 2018, both South and North Koreas were preparing separate entries for Ssireum even though there is only one Ssireum in the worl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s were improved at this time period making it possible for a quickly adapted join inscription. However, due to the urgency in registration for the joint inscription of Ssireum as well as the rapidly changing political relations between the Koreas, one of the main requirements for inscription on the representative list, which is inventorying exchanges and cooperation method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 ssireum-related holders (individuals), groups, and communities, were not specifically discussed between the Koreas. In order to carry out efficient inventorying between the Koreas, it is important to analyze the contrasting involvement of the differing communities or organizations in each country through the joint inscription for the UNESCO Representative List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The South Korean Ssireum community is made up of many regional Ssireum organizations affiliated under the Korea Ssireum Association. The North Korean Ssireum community consists of government agencies, social groups, universities, research institutes, sports-related organizations, ssireum committee, and students of the Ssireum who all partake in the process of transmission and have been listed in the application. The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 Koreas of their Ssireum network is correlated to how each governments perceive their Ssireum community, as this paper seeks to examine various exchange methods and communication that can continuously spread the valu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s a traditional customs of the Korean peopl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se communities in each coun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