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협상 테이블 위에 놓인 개발 계획서: 제2차 전원(電源) 개발 계획 수립 과정을 중심으로

        오선실 한국과학사학회 2018 한국과학사학회지 Vol.40 No.3

        Planning the electric power system for postwar South Korea involved many powerful actors such as the United States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USAID), American technology advisory groups, the Korea Electric Power Company (KEPCO, the nationalized electric utility company), relevant Korean-government agencies, and of course Korean geographical and material settings. While all the involved parties agreed on the need to devise a “rational” plan, they needed a long process for negotiating their different ideas about what was economically, politically, and technologically rational for South Korea. This paper examines strategies and different technological styles that produced an agreement on the new power development plan in South Korea, by focusing on various conflicts between different parties. In the end, they reached a loose consensus on the rational power development plan. It was not about balancing the supply and demand of power, but about negotiating each others’ different economic strategies in the world system and economy. Also, it was not only about calculating economical mixture of thermal/hydro power plants, but also about persuading each other over the proper technological styles.

      • KCI등재후보

        과학 지식을 “국민의 지식”으로 : 『태극학보』의 과학기사 생산과 지식 가공을 중심으로

        오선실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2023 한국기독교문화연구 Vol.20 No.-

        이 논문은 근대전환기 재일본 유학생들이 간행한 태극학보에 실린 과학기사들을 분석해, 지식 수용의 최전선에 있던 유학생들이 서양의 새로운 지식체계이자 새로운 문명의 힘으로서 과학을 인지하고, 한국 사회에 이식하고자 벌인 노력의 양상들을 추적한다. 태극학보는 발간사에서부터 “국민교육”과 “지식 개발”이라는 목표를 명확히 제시했던 만큼, 독자들에게 서양 지식체계를 전달하고 교육하기 위한논설, 기사를 작성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서양 학문을 배우고 익히는학생인 동시에 이를 위태로운 대한제국에 전달할 교사라는 책임을 진유학생 필자들은 비전문가라는 한계에 갇히지 않고, 태극학보에 허용된 과학기사 지면을 실험공간으로 삼아 과학지식을 함께 학습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시험·가공해 “국민의 지식”을 창출할 수 있었다. 과학기사들은 초기 새롭고 신기한 지식을 단순히 나열한 데서 벗어나차츰 중요도에 따라 각 분야를 개론한 강담의 형태로 정식화되었고, 보통학교 교사들을 위한 교안들도 적극적으로 개발됐다. 특히 어린이들에게 들려주는 이야기 형태의 서술된 과학자들의 전기는 유용한 도구 발명가라는 새로운 인간형을 제시했다. This paper analyzes scientific articles published by students studying in Japan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of the modern era at Taegeukhakbo to trace the efforts of international students, who were at the forefront of knowledge reception, to recognize science as a new Western knowledge system and a new civilizing force, and to transplant it into Korean society. As the goal of Taegeukhakbo was clearly stated by its publishers to "educate the people" and "develop knowledge," the emphasis was on writing essays and articles to convey and educate readers about the Western knowledge system. The international student writers, who had the responsibility of being both students learning and mastering Western disciplines and teachers transmitting them to the precarious Korean Empire, were able to go beyond the limits of being non-professionals and use the Taegeukhakbo space for scientific articles as an experimental space to learn scientific knowledge together, test and process it in various ways, and create "people's knowledge." The scientific articles were organized in the form of formalized lectures according to their importance, rather than simply listing new and novel knowledge in the beginning, and teaching materials for ordinary school teachers were actively developed. Biographies of scientists, especially those written in the form of stories told to children, presented a new human figure: the scientist or inventor.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평양의 기독교 공동체와 숭실전문학교의 과학기술 교육-기계창과 과학기술 관련 학과 설립 시도를 중심으로-

        오선실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2 한국학연구 Vol.- No.64

        This study aims to show that Soongsil College, which adheres to the evangelical doctrine, implemented a Christian community centered on Pyongyang, an area well-infused with Christian culture, and made an effort to supply the knowledge and skills required by the community for that purpose. Soongsil College, which envisioned an independent Christian education system that encompasses a wide area in the northwestern part of Pyongyang, allowed admission only to Christian believers, and gave a lot of weight to Christian doctrine and liberal arts essential for seminary admission. As it is operated by sponsorship and support to the local community, it was intended to provide the knowledge, education, and training required by the local community. In particular, Soongsil College built and operated “Anna Davis Industrial Shop” from the beginning of its establishment to educate students on technology and at the same time help students become self-reliant through technical work. As an affiliated institution that best meets the founding purpose of Soongsil College, which is to nurture hardworking and sincere Christians, it has taken an important part in the school operation and curriculum establishment process. In addition, the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that Soongsil College envisioned while attempting to establish a science department in the 1920s and 1930s was in fact specialized in the field of chemical engineering, which was the science and technology knowledge needed for Pyongyang to grow into a central industrial area in the northwest region. Eventually, the establishment of the Science department was canceled due to the refusal of the Colonial government, who had been reluctant to teach science and technology in colonial Korea. But as the direction was shifted to agriculture and establishment, Soongsil College was able to meet the needs of the local community. 이 연구는 근대전환기 근본주의 교리를 고수하며 평양이라는 기독교 문화가 잘 베어든 지역에서 기독교공동체를 구현하고자 했던 북장로교 선교사들에 의해 설립된 기독교대학, 숭실전문학교에서 이뤄진 과학기술 교육의 내용과 의의를 추적한다. 서북지역을 넓게 포괄하는 독자적인 기독교교육체계를 구상한 숭실대학은 기독교 신자들에 한정해 입학을 허용하고 신학교 입학에 필수적인 기독교교리와 자유학예에 많은 비중을 두었지만, 지역사회에 후원과 지원에 의해 운영되는 만큼 지역이 요구하는 지식과 교육, 훈련을 제공하고자 했다. 특히 숭실대학은 설립 초기부터 기계창을 함께 건립해 운영해 학생들에게 기술을 교육함과 동시에 학생들이 기술 근로를 통해 자립할 수 있도록 도왔다. 기계창은 근면하고 성실한 기독교인을 기른다는 숭실대학의 설립 취지에 가장 잘 부합하는 부설 기관으로 이후 학교 운영 및 커리큘럼의 정립 과정에서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다. 무엇보다 기계창은 학교와 지역사회를 연결하는 창구 역할을 담당했는데, 기계창에서 공급하는 단조, 주물, 유리, 철공 등은 서구사회에서는 이미 오래된 기술들로 새로울 것이 없었지만, 당시 평양에 꼭 필요한 기술들로 지역사회가 유학비를 지원해서라도 학생들을 유학 보내 시급히 배워야 하는 기술들로 지목한 것들과 정확히 일치했다. 또한 1920~30년대 이학과 설립을 시도하며 숭실대학이 구상한 과학기술 교육은 사실 화학공학 분야에 특화된 것이었다. 이는 평양이 서북지역의 중심 산업지역으로 성장하는데 필요한 과학기술 지식이었다. 결국 식민지 조선에서 과학기술 교육을 저어하던 총독부가 인가하지 않음으로써 이학과 설립은 무산되었지만, 농학과 설립으로 방향을 전환하면서 숭실대학은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국가주도 전원개발계획의 출현 : 통합한전의 설립과 제1차 전원개발계획을 중심으로

        오선실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8 한국문화연구 Vol.35 No.-

        한국의 현대 전력망 체계는 국가가 미리 전력수요를 예측, 관리하고 그에 적합한 전력체계를 기획하는 국가주도 개발계획을 통해 성장해왔다. 이러한 계획에 따른 전원개발사업은 5·16 군사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군사정부가 전원개발기구로서 통합한전을 출범하고 제1차 전원개발계획을 입안하면서 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전원개발계획은 경제발전의 기반이 되는 수력, 화력 발전방법과 비율, 발전소의 위치와 용량, 송배전망의 배치까지 수많은 쟁점들을 포함했고, 무엇보다 엄청난 자금과 물자를 동원하는 대규모 건설사업이었다는 점에서 단순히 수요공급 예측으로 만들어질 수 없었다. 이 논문은 경제발전의 토대로서 시급한 전력 확충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바탕으로 군사정부가 설립한 통합한전이 제1차 전원개발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해가는 과정을 추적함으로써 1960년대 초 한국 사회가 추구한 근대 산업화의 목표와 구상을 확인하고자 한다. 더욱이 1960년대 초 부족한 건설 자금을 미국의 차관기구로부터 충당할 수밖에 없었다는 점에서 한국의 전원개발계획 구상은 한국의 산업정책뿐 아니라 미국의 제3세계정책과도 조응해야했다. 이러한 제1차 전원개발사업의 성과와 한계는 1964년 비교적 빠르게 이뤄진 무제한 송전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데, 대도시에 풍부한 전기를 공급함으로써 산업성장의 토대를 만들었지만, 배전망 확충 없는 전력체계의 성장은 전기사용 지역을 확대하는 데까지는 나가지 못했다. In July 1961, the Military government established the Korea Electric Power Company (KEPCO) as the nationalized power. The KEPCO was a technology enterprise and also a subordinate organiz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military government. Thus the industrial policy of military government was reflected in KEPCO’s business direction. The first project of KEPCO was the establishment of the first five-year electrical power resource development plan (1962-1966). By working together with the Ministry of Commerce and Industry (MCI, Sanggong-bu), KEPCO had to adjust the plan’s details such as the generation amount, plant location, construction time in order to keep pace with the first five-year Economic Development plan of the military government. Most of all, they wanted to supply enough electricity to use for the factories and establish a stable base for the growth of industry, but there was a limit to implementing their plans due to a lack of time and funding. The needed funds could have been provided by USAID, but USAID requested that KEPCO to receive technological advice for the plant design from American experts as a pre-requisite for the loan. These demands were difficult to complete in a short time, so the construction of the plant was delayed. In April 1964, the Pusan thermal power plant (130MW) was completed, and connected to the power system. KEPCO then announced “unlimited transmission” as a way of showing the economic growth taking place smoothly during the first year after Park’s election as president. The unlimited transmission, however, was only for the major industrial cities such as Seoul and Pusan. The company was not installing new transmission lines or expanding its distribution network; most of South Korean areas still had no electricity.

      • KCI등재

        1970년대 경제성장 정책과 전력체계의 재구성 -제2,3차 전원개발계획과 대규모 전력생산단지의 등장-

        오선실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22 한국학연구 Vol.83 No.-

        이 연구는 1960년대 말에서 1970년대 중반까지 박정희 정부의 중화학공업화 정책이 본격화되던 시기, 그 기반으로써 전원개발을 추진하는 과정을 추적한다. 전원개발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은 발전원의 종류와 비율, 발전소의 크기와 위치, 전력공급계획까지를 포함해 한국에 적합한 기술 배치를 묻고, 한정된 자원과 물자를 효율적으로 배치하는 기술적인 작업이었지만, 동시에 한국 사회의 경제성장의 방향과 속도, 그리고 그 경제성장을 가로막지 않기 위해 필요한 전력량을 결정하는 정치적인 문제였다. 1970년대 전원개발 극대화 정책은 박정희 정부가 안보체계와 경제성장의 기반 모두에게 높아진 불확실성을 더 급속한 경제개발을 통해 돌파하는 과정에서 관철되었다. 그러나 1970년대 전력체계에 대한 치밀한 구상 없이 성급하게 추진된 전원개발은 전력생산이 풍부해졌지만, 전력공급은 오히려 불안정해지는 기묘한 상황과 마주했다.

      • KCI등재

        한국 전기기술자 집단의 형성과 1950년대 전원개발계획의 재구성- 식민지의 유산과 미국의 대외경제원조 정책 사이에서 -

        오선실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人文科學硏究 Vol.45 No.-

        In the 1950’s, planning the electric power system for South Korea involved many powerful actors such as the United States aid agencies, American technology advisory groups, Koreans electrical technical expert groups and relevant Korean government agencies, and of course Korean geographical and material settings. While all the involved parties agreed on the need to secure electricity urgent, they needed a long process for negotiating their different ideas about what was economically, politically, and technologically rational for South Korea. This paper examines techno politics that produced an agreement about the new power development plan in South Korea, by focusing on various conflicts between different parties. Above all, the U.S. aid agencies, which wanted to curb Korea's severe inflation and stabilize society, said it would be enough to quickly introduce several thermal power plants to secure a minimum power supply. However, the Korean electrical technical experts thought hydropower plants more appropriate for Korea and more economic in the long run given its geographical condition and its reliance on imported oils. These Korean electrical technical experts argued that hydro electricity was a reasonable choice of technology, but in fact, it was a colonial heritage created based on the experience of Korea's power system growing rapidly from small scale thermal power to large scale hydroelectric power plants. Eventually, Korean electrical engineers failed to persuade the American aid organization, but they were able to discover thermal power generation as a new technology option. Large scale thermal power plant facilities and retraining programs provided by the U.S. aid organization served as an opportunity for Korean electric engineers to recognize thermal power generation as a technology factor that further flexibility capital and resources, and soon Korean electrical technical experts were able to establish a new strategies for construction of power plants development. 1950년대 전력체계의 재구성 과정을 추적하는 이 논문은 특히 가용 자원과 자본이 턱없이 부족한 상황에서 과연 어떤 방식으로 재건을 이뤄야하는가를 끊임없이 질문하며 집단적 정체성을 형성한 한국의 전기기술자들과 그들이 고수한 수력발전 중심의 전력체계 구상에 주목한다. 이시기 전원개발을 둘러싼 기술정치는 무엇을 한국 전력체계의 기본 발전원으로 삼을 것인가라는 기술 선택의 문제로 집약됐다. 미국 원조기구의 담당자들은 한국의 심각한 인플레를 억제하고 사회를 안정시키기 위해 빠르게 건설할 있는 화력발전소를 도입해 최소한의 전력공급을 확보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는 입장이었지만, 한국의 전기기술자들은 전력체계 구축이야말로 향후 국가 건설의 초석을 다지는 일이므로 시간이 걸리더라도 한국의 지형과 자원 배분을 고려한 중대형 수력발전소를 건설해야한다는 주장을 고수했다. 이러한 한국 전기기술자들의 주장은 합리적 기술 선택의 외향을 띠었지만, 기실 식민지 시기 한국의 전력체계가 소규모 화력에서 대규모 수력 발전으로 중심으로 전환하며 비약적으로 성장한 경험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식민지의 유산이었다. 결국 당시 한국의 전원개발이 원조자금에 의존했던 만큼 수력중심의 전원개발은 실패할 수밖에 없었지만, 거듭된 협상 과정에서 한국의 전기기술자들은 새로운 기술 선택지로서 화력발전소를 발견할 수 있었다. 미국의 원조기구가 제공한 대규모 화력발전소 기술은 더 이상 낡은 기술이 아닌 자본과 자원을 한층 유연하게 하는 기술 요소였으며, 곧 한국의 전기기술자들은 화력발전을 포함하는 새로운 전력체계 재구성 전략을 수립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근대인의 몸과 마음 길러내기: 안종화의 뺷초등생리위생학대요뺸(1909)를 통해 본 생리위생학의 수용과 변용

        오선실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과학연구논총 Vol.42 No.1

        이 연구는 안종화의 소학교용 생리위생학 교과서, 뺷초등생리위생학대요뺸를분석함으로써, 비전문가라는 장벽에도 불구하고 생리위생학 수용에 높은 관심을 보였던 계몽지식인들이 서구 생리위생학을 어떻게 이해하고 전유했는지 추적한다. 이때 서구 근대 생리위생학은 전염병 통제라는 사회적 수요, 그리고 사회진화론의 과학적 근거라는 오해로 인해 계몽지식인들의 높은 관심을 받으며, 다른 서구 과학기술 지식에 비해 빠르게 수용될 수 있었다. 특히 실력양성을 표방한 각종 학회들이 발간한 학회지들은 계몽지식인들이 서구 근대 생리위생학의 실제 내용을 배우고 익히는 효과적인 학습 공간을 제공했다. 이러한 학회지에 토대한 집단 학습을 통해 생리위생학은 근대전환기 가장 주목받는 과학이론이자 계몽지식인이라면 누구나 알아야할 교양지식으로서 나름의 지식 체계를갖출 수 있었다. The study analyzes Ahn Jong-hwa's textbook on physiological hygiene for elementary schools, which is the result of group learning by enlightenment intellectuals, and traces how enlightenment intellectuals actually understood and inherited Western physiological hygiene. Western modern physiological hygiene was quickly accepted compared to other Western science due to the social demand for epidemic control and the misunderstanding of evolution. In particular, academic journals published byvarious academic societies provided effective learning spaces for enlightenment intellectuals to learn and deepen Western modern physiological hygiene. As a result of collective learning through these journals, physiological hygiene was the most popular scientific theory during the transition to the modern era, and the cultural knowledge that any enlightenment intellectuals should know.

      • KCI등재

        1910-30년대 조선총독부의 전력정책과 식민지 기술관료들의 조선개발 인식

        오선실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과학연구논총 Vol.41 No.1

        This paper explores the electricity policy of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which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mponent of the electric power system becoming indigenous. The introduction of the electricity industry in Korea took place very quickly during the Korean Empire, but full-fledged growth could not begin until the colonial period. At that time,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which is responsible for fostering and managing the electricity industry of the colonial Korea, did not transplant Japan's electricity technology or Electricity policy. Rather, it used the colonial Korea as a venue for policy experiments for address the problems facing Japan's electricity industry. The principle that a single region is one electric company, the initial power policy of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was derived from the diagnosis that the free market put Japan's power industry into excessive competition and overlapping investment. However, the half-baked policy experiments, could not prevent the monopoly’s closure, and in the end had to be revised in the face of resistance from citizens. In setting up a new electricity control policy, technocrats submitted a huge package of "super-electric power links," which had never been attempted in Japan. They considered the colonial Korea to be still blank, unlike Japan, which has already complicated its industrial structure. So they regarded the colonial Korea as a place to realize an ideal technology society, ‘high modernism’ by efficiently developing it through the powerful control of the colonial Government. But colonial Korea was not in a blank state, and the complex interests that had been deleted from their "reasonable" designs frustrated their designs. 이 연구는 식민지 조선에서 전기시스템이 토착화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한 구성요소 중 하나였던 조선총독부의 전력정책을 분석한다. 한국에서 전기산업의 도입은 대한제국 시기 매우 빠르게 이뤄졌지만, 본격적인 성장은 식민지시기가 되어서야 시작될 수 있었다. 이때 식민지 조선의 전기산업을 육성하고관리할 책임을 가진 조선총독부는 일본의 전기기술 혹은 전력정책을 그대로 이식하지 않았다. 오히려 식민지 조선을 일본의 전기산업이 처한 문제를 해소하기위한 정책실험의 장으로 삼았다. 조선총독부의 초기 전력정책인 1지역1사업 원칙은 자유로운 시장이 일본의 전력산업을 과잉경쟁과 중복투자에 빠뜨렸다는진단에서 도출된 것이었다. 그러나 조선총독부의 설익은 정책실험은 초기 전기사업자들이 지역독점권을 바탕으로 소규모배전시스템을 구축하는 조건을 마련했지만, 독점의 폐단을 막을 수 없었고, 결국 시민들의 저항에 부딪쳐 수정되어야했다. 새로운 전력통제정책을 수립하며 식민지 기술관료들은 ‘초전력연계’라는 거대한 종합계획서를 제출했는데, 그것은 일본에서도 시도 된 바 없는 것이었다. 그들은 이미 산업구조가 복잡해진 일본과 달리 아직 백지 상태에 있는 식민지 조선을 조선총독부의 강력한 통제력을 통해 효율적으로 개발함으로써 이상적인 기술 사회, 하이 모더니즘을 실현해 볼 수 있는 공간으로 여겼다. 그러나 식민지 조선은 백지 상태가 아니었고, 그들의 “합리적인” 설계에 삭제되었던복잡한 이해관계들에 의해 계획은 변형될 수밖에 없었다.

      • KCI등재

        압록강에 등장한 동양 최대의 발전소, 수풍댐과 동아시아 기술체계의 형성

        오선실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0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1 No.1

        1938년 동아시아 최대 규모이자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수풍댐이 식민지 조선과 만주 국의 사이를 가르는 국경하천 압록강에 건설됐다. 수풍댐에서 생산된 대량의 전기는 고 압 송전망을 통해 식민지 조선의 각지는 물론 만주국의 주요 산업도시에도 송전되어 산 업화를 진작하는 기반이 되었다. 이렇듯 제국의 변방에서 일어난 기술혁신을 통해 식민 지 조선과 만주국은 오히려 제국의 중심지 일본보다도 풍족하고 안정된 전력공급체계를 구성할 수 있었다. 이러한 수풍댐의 등장과 고압 송전망 체계 구축 과정에서 주목해야할 것은 수풍댐의 규모가 제국의 중심지, 일본에서는 시도조차 된 바 없는 수준이었을 뿐 아니라 무엇보다 당시 식민지 조선과 만주국의 전력산업 규모에 비해 과도하게 컸다는 것이다. 남아도 저장할 수 없는 전기 산업의 특성상 산업 규모를 뛰어넘는 발전소 건설은 시도되기 어려운 것이었다. 더욱이 만주국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던 기존 화력발전 중심의 전력체계를 수력발전 중심으로 전환하고자 시도했다. 이러한 식민지 조선과 만 주국 사이의 협력 사업에서 전력다소비 업체이자 발전소 건설의 실질적 주체로서 일본 질소는 식민지 조선과 만주국 사이를 오가며 양 측의 이해관계를 조절하고 매개하는 역 할을 했다. 일본질소가 이러한 역할을 할 수 있었던 데에는, 일본질소가 그간 대규모 발 전소 건설을 해온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양 측 모두에게 깊은 신뢰를 받고 있었다는 점 외에도 일본질소가 비료사업체를 가진 사기업이라는 점이 중요했다. 일본질소는 양국 의 이해가 충돌할 때마다 실용적인 해답을 제시했고, 대규모로 생산된 전기를 소비할 생 산업체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프로젝트를 실질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했던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국의 중심지가 아닌 식민지 변방에서 거대한 기술혁신이 일어날 수 있었으며, 결국 통제권을 가진 식민지 통치기구와 이권을 보장받은 기업 사이에 강력 한 협력을 통해 개발이 이뤄지는 식민지 조선의 독특한 전원개발방식이 동아시아의 기 술개발체제로 확대될 수 있었다. In 1938, Sup’ung Dam, the largest scale dam in Asia and 2nd in the world, was constructed at the Yalu River, the border between colonial Korea and Manchukuo. Sup’ung hydropower plant linked the north industrial area of colonial Korea with newly developed cities in Manchuria through high-voltage transmission lines. Consequently, Korean and Manchuria had more stable electric power systems as compared to the Japanese system, which was still based upon small- and middle-scale power plants. This paper explores how this innovation of electric power system was made possible in the colonial periphery of the Japanese empire. Originally, the innovation began in colonial Korea when large-scale power plants were advanced as product of negotiation between Nitchitu and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 the early 1930s. Since the Nippon Chisso Hiryō(Nitchitu) had failed to acquire sufficient electricity in Japan, it tried to secure new power resources in Korea;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suffering from the resistance of existing power suppliers and the lack of enough money for stabilizing the public power system, chose Nitchitu as an ideal partner. The cooperation between two made the construction of large-scale plants, which would provide the foundation not only for expanding Nitchitu business, but also for the stable grid system in the colony. Sup’ung dam was the third plant constructed by their partnership, and the first plant, built by cooperation between colonial Korea and Manchukuo. A Newly “independent” country, Manchukuo, established in 1932 by Japanese Kwantung army, launched a strong government-led industrialization program. Kwantung army and young Japanese reformist bureaucrats planed big industrial cities and heavy chemical industrial complexes that required abundant power resources. Finding an ideal model of electric power system from colonial Korea, not Japan, they suggested the plan for construction of large-scale plants to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Soon, this international project for constructing large scale plants at Yalu River was materialized. Nitchitu played an important role in mediating the two colonial governments’ uneasy partnership as well as providing technology and experience of construction. When their interests were conflicted, Nitchitu built bridges by suggesting practical and flexible solutions. One of the problems was that two countries used different power frequencies. In a way that tooled up generators of each country’s exclusive use, instead of unifying two systems, they could avoid social controversy as well as saving money and time. In the end, the two countries shared Sup’ung plant while at the same time preserving different electric power systems. In Colonial Korea, Sup’ung plant was connected a multiplicity of factories and houses via existing power suppliers’ distribution. In Manchukuo, it, as the result of development led by strong nation, provided power for planed industrial cities, and become a part of fanatical nationalistic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