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손상된 멀티콘센트 사용에 따른 열적특성과 전기적 신호 분석
오부열,박종영,이재훈,전규남,최돈묵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6 No.2
Recently, the use of multi-outlets has been increasing owing to the increased use of electrical appliances in households. The majority of users do not replace multi-outlets for several months or even years after purchase. Moreover, with theintention to save energy and prevent fire, users frequently unplug electrical appliances from multi-outlets, which may causestructural defects. Owing to a poor connection between the multi-outlet and plug, there is a risk of generating local heat,which may lead to fire. Therefore, in this study, a damaged multi-outlet with structural defects owing to long-term use issecured through repeated tests, and the risk of fire is determined based on its thermal characteristics and electrical currentgenerated during use. It was confirmed that the temperature of the main switch was higher than that of the plug connection,and the damaged multi-outlet temperature was up to 2.4-fold higher than normal. 최근 일반 가정에서의 전기제품 사용량 증가에 따라 멀티콘센트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구매 후 수개월 수년간 교체하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더욱이 에너지 절감 및 화재 예방을 위하여 멀티콘센트에 ⋅전기제품 플러그를 꼽고 빼는 횟수가 증가하여 이에 따른 구조적인 결함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콘센트와 플러그의 접속불량에 의한 국부적인 열을 발생시켜 화재로 이어질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오랜기간 사용으로 인하여 구조적 결함이 발생한 손상된 멀티콘센트의 사용에 따른 열적특성과 전기적 신호를 통하여 화재 위험성을 분석하였다. 열적특성은 정상의 경우 플러그 결속부보다 메인스위치의 온도가 높았으며, 결함 제품의 경우 정상에 비해 최대 2.4배 높음을 확인하였다.
소사체의 혈중 헤모글로빈-일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연소형태 연구
최승복,오부열,최돈묵 한국화재소방학회 2012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26 No.3
Fire patterns have been used to determine the origin and cause of fires in every setting imaginable.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identify fire patterns and causes from the fire-damaged remains of a devastated structure. If someone was killed by the fire, it is possible to identify fire patterns by analyzing the Hb-CO concentration in charred bodies of deceased as well as the pace of the fire. For example, a low level of Hb-CO concentration in the charred bodies indicate a rapid fire with accelerants and the death was caused by severe heat and thick toxic fumes. However, a high level of Hb-CO concentration in the charred bodies demonstrates that the fire was slow and/or there was a flameless form of combustion. Thus, it is possible to identify fire patterns through analyzing the level of Hb-CO concentration on the dead from the fire. In this study, the Hb-CO concentration in the charred bodies was from 3 % at the case of gas burning oneself to death to 93 % at the death caused by smoldering fire. 심하게 소손된 화재현장은 남아 있는 잔존물만으로 초기 화재의 유형을 판단하기 곤란할 때가 많다. 화재로 인해 사람이 사망하였을 경우 혈중 헤모글로빈(Hb)-일산화탄소(CO) 농도는 생존 당시의 화재의 유형을 가늠할 수 있으며 촉진제를 사용한 급격한 화재의 경우 열기와 유독가스로 인해 재실자의 생존은 화재진행속도와 비례되어 체내 Hb-CO 농도는낮았으며, 훈소와 같이 서서히 진행되는 연소의 경우 오랜 시간 호흡하면서 체내에 축적되는 CO 농도는 증가하였다. 이러한 인체의 Hb-CO 농도를 분석하면 생존 시 어떠한 형태의 화재에 노출되었는지 알 수 있다. 휘발유로 분신한 자살의 경우를 포함해 훈소성 화재사에 이르기까지 Hb-CO 농도는 3 %에서 최고 93 %로 다양한 농도를 보였다.
이승훈,박주희,오부열,이흥수 한국화재조사학회 2021 한국화재조사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1
대부분 인간의 생활공간에는 분말소화기가 비치되어 있으며 화재의 규모가 작을 경 우 재실자들은 분말소화기를 이용하여 화염을 향해 소화를 시도하므로 화재조사에 있 어서 화재 이후 현장에서 발견되는 소화기분말은 최초 소화시도 위치, 즉, 화재초기의 화염 위치에 대한 정황증거로서 활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소화기 분말가루 중 현 행 보급과 활용도가 높은 3종(ABC급) 소화기의 분말이 시너(Thinner)의 접촉에 의한 변화가 관찰되었던 방화사례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본 사례연구에서 ABC 소화분말 에 시너가 접촉하여 색상과 뭉침 등 변화가 일어난 사례를 보고함과 동시에 소화기 분 말의 이러한 변화를 관찰함으로서 발화부에 대한 위치적 정황증거뿐만 아니라 화재초 기에 석유류 물질이 존재하였다는 가설에 관한 증거로서의 활용 가치를 검토하였다. The most of human spaces have powder fire extinguishers, and if the size of the fire is small, the occupants try to extinguish the fire by using the extinguisher. Therefore, the extinguishing powder that is found at the fire scene after the fire is the evidence of location where the fire extinguishing was attempted. And it may can be used as a circumstantial evidence for the fire origin of the fire. In this case study is for new forensic interpretation of extinguishing powder and reporting of the case which the powder of ABC extinguisher were changed at the color and agglomeration by the contact with thinner. And we also considered the possibility of that the change can prove the fire origin and the presence of petroleum at the arson sce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