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파일공유시스템과 검색엔진에 대한 차별적 시각의 비교고찰 -소리바다5 가처분 사건과 트위스트김 사건을 비교하여-

        오병철 한국정보법학회 2008 정보법학 Vol.12 No.2

        Through the long-time legal action for Sori-bada, the courts have a negative preconception that P2P is a technology for substantial infringing use. On the contrary, a positive preconception that search engine is a neutral technology for substantial non-infringing use and public interest is shaped. This discriminative treatment is obviously revealed for recent two cases which are what people call Sori-bada case and Twist-Kim case. From the point of view of technology, there is no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P2P and search engine. The conclusion is not that the courts have also a negative preconception to the search engine, but that they make an indiscriminate application of law P2P. The nature of a technology is not determined by it’s originator, actually the direction of evolution of technology is made up by a practical application of users. What is a responsibility of it’s originator for a infringing application of the technology by users is a very sensitive matter in the law and technology. It is criticized as retrogression to responsibility for bad result without a fault that P2P operator should be born contributory liability for infringing adaptation of users without a profound consideration of a direction of evolution of technology. 오랜 기간 이어진 소송과정을 통해서 우리 법원은 P2P프로그램은 본질적으로 침해 적인 용도의 기술이라는 부정적인 선입견을 형성한 것으로 생각된다. 반면에 검색엔진에 대해서는 정반대로 본질적으로 비침해적이고 공공성있는 중립적인 기술이라는 긍정적인 예단을 형성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최근의 두 사건을 통해 이러한 차별적 시각은 명백히 드러났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차별적 시각이 근거하고 있는 기술을 고려해보면, 양자 간에 결정적인 차이가 존재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검색엔진에도 P2P프로그램과 같은 부정적 시각을 가지라는 것이 아니라, P2P프로그램에 대해서도 부정적 선입견을 버리고 검색엔진과 동일한 규범적 판단기준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기술은 원시적 고안자가 그 본질을 결정하기 보다는 이용자가 활용을 통해 진화의 방향성이 결정되는 것이다. 이용자에 의한 부정적 방향으로의 진화에 대해 기술 보유자가 어떠한 책임을 져야 하는가는 매우 신중하게 다루어져야 할 문제이다. P2P프로그램에 관한 일련의 소송에서 나타나는 방조에 의한 불법행위책임의 적용은 이용자에 의한 불법적 활용으로의 진화에 대해 기술보유자에 대한 가혹한 결과책임으로의 규범적 회귀라 비판하지 않을 수 없다.

      • KCI등재

        아이폰 앱스토어의 계약관계

        오병철 한국정보법학회 2010 정보법학 Vol.14 No.2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로 인해 최근 아이폰은 폭발적인 사회적 인기를 모으고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앱스토어를 통해 거래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앱스토어가 전상법상의 통신판매중개자, 저작권법상의 온라인서비스제공자, 정보통신망법상의 정보통신서비스제공자로서의 지위에 해당되는가가 문제가 된다. 앱스토어는 전상법상 통신판매중개자로서의 지위에 해당되어 통신판매중개자로서의 책임을 면하기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앱스토어는 저작권법상의 온라인서비스제공자에 해당된다고 볼 수 없어서, 온라인서비스제공자로서의 면책주장은 불가능하고 개발자의 저작권침해에 따른 책임을 그대로 부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정보통신망법상의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에 해당되어 개발자의 저작권침해나 상표권침해에 대해 책임을 부담하여야 할 것이다. 이용자는 개발자와 어플리케이션 설치를 통해 최종사용계약을 체결하게 된다. 어플리케이션의 질적 평가는 개발자가 제공하는 정보를 기준으로 평가되어야 할 것이며, 특수한 경우가 아니라면 업데이트는 무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 어플리케이션에 하자가 있는 경우에 개발자는 하자담보책임을 부담하여야 한다. For various applications iPhone is getting into public favor. Applications can be downloaded in App-store so that whether App-store has a position as a EC-broker in “Act on the consumer protection in the electronic commerce transactions, etc”, a Online service provider in “Copyright act” or provider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service in “Act on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etc” is expected to generate a lot of controversy. App-store has a position as a EC-broker so it has to take the joint responsibility for torts by developer. It does not have a position as a Online service provider, so it can not assert an exemption from contributory negligence caused developer. It can be deemed as a provider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service, it should take the responsibility for infringement of copyright and trademark right by developer. The application user make a end-user license contract to install the application program with a developer. The performance of contract is evaluated according to information provided by developer and the application should update and upgrade for free. A developer has to be responsible for providing warranty service for his application.

      • KCI등재

        인격적 가치 있는 온라인 디지털정보의 상속성

        오병철 한국가족법학회 2013 가족법연구 Vol.27 No.1

        Issues of if the family of the deceased can exert a right over online digital information left by the deceased, such as email, SNS, blog and comment etc. are raised. The most controversial issue, especially, is whether the family of a decedent can inherit the online digital information of the decedent by succession law or not. Following is the conclusion of the research on the inheritance of online digital information. ① Among online digital information left by a decedent, one with property values can belongs to inheritors by inheritance. ② Since online digital information and personal information as a personal right are not properties and can be considered as personal nature under Korean Civil Code Article 1005, it is hard to admit the legal inheritance. ③ Even assuming inheritance is granted by amendment of Korean Civil Code or new legislation, due to its character, succession law is not applicable except management of inherited property and distribution of inherited property at nonexistence of inheritor. ④ Therefore, giving control right of online digital information with personal right value and personal right of the deceased to inheritors through succession legal system is not a desirable way of protecting the personal trace of the deceased. ⑤ To protect personal trace of the deceased left for people around him, it is proper to establish a regulation to grant control right to a special act such as Information Telecommunication Act or to enjoin a duty to delet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deceased right after realizing the death of one on personal information manager. ⑥ Even when the deceased leaves a will on the posthumous treatment of online digital information of oneself, clauses about online digital information with personal value are invalid since the contents of will are rigidly determined by succession law.

      • KCI등재후보

        기술적 보호조치의 침해에 따른 불법행위책임

        오병철 법무부 2005 선진상사법률연구 Vol.- No.27

        The prohibition of circumvention on technical measures that technically protect digital information against infringement has enacted in various countries. Copyright system in Korea has the provisions to protect technical measures attached digital information. A 'copy protection technical measure' can be protected by law but an 'access protection technical measure' can not be protected. While the conduct to circumventon a technical measure for oneself is prohibited by 'Computer program protection act', Copyright act has no provision to prohibition of this conduct. For all technical measure is not regally protected, the circumvention on technical measure protected by law is merely illegal for making a tort. Finally the conducts to circumvent on a 'access protection technical measure' and on a 'copy protection technical measure' for oneself are not illegal but regally permitted. The provision that the circumvention on technical measure regards as copyright infringement under section 92, Copyright act and the presumption clause to estimate damage section 93, Copyright act may be copyright holer-oriented regulation. 저작권자가 자신의 저작권을 기술적인 방법으로 보호하기 위한 기술적 보호조치는 각국의 입법에서 널리 인정되어 왔다. 우리 저작권법체계에서도 디지털정보에 부착된 일정한 기술적 보호조치는 법적으로 보호되고 있다. 다만 침해방지 기술적 보호조치만이 법적으로 보호될 뿐, 접근통제 기술적 보호조치는 법적인 보호대상이 되지 못한다. 또한 컴퓨터프로그램보호법에서는 스스로 기술적 보호조치를 무력화하는 행위 자체를 금지하고 있는 반면, 저작권법에서는 그러한 기술적 보호조치의 무력화 행위 자체를 금지하는 규정을 두고 있지 아니하다. 결국 모든 기술적 보호조치가 법으로 보호되는 것이 아닌 만큼, 법으로 금지된 기술적 보호조치의 무력화에 국한하여 불법행위의 성립에 필요한 위법성을 인정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침해방지 기술적 보호조치를 무력화하는 행위만이 위법하다고 할 것이며, 접근통제 기술적 보호조치의 무력화는 위법하다고 할 수 없다. 또 침해방지 기술적 보호조치라도 스스로 기술적 보호조치를 무력화하는 행위 자체에 대해서는 컴퓨터프로그램의 경우에만 위법하다고 할 수 있지만, 디지털콘텐츠의 기술적 보호조치인 경우에는 위법하다고 할 수 없을 것이다. 그 외에 저작권법 제92조 2항과 같이 기술적 보호조치의 무력화를 저작권침해로 간주하는 것이나, 저작권법 제93조의 손해배상의 산정에 있어서의 추정규정은 저작권자의 보호에 경도된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