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 평행선의 정신 : 中島敦의 자의식과 국민의식

        오경환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06 코기토 Vol.60 No.-

        中島敦は漢學的敎養と西洋的知性に基づいて様々な小說の形式を完成させた。しかし、その技法がいかなる變化を見せようとも、一つの觀念と一つの情緖によって貫かれている。觀念とは存在と知に対する懷疑精神であり、情緖とは抒情的ペシミズムである。ところが、この作家は成長期の五年間を朝鮮で、また没する前の数ヶ月間をミクロネシアのパラオで過ごした特異な經歷の持ち主でもあった。植民地經驗が彼の精神に何をもたらしたか。自意識と國民意識は、その作品世界の中でいかなる變容を見せ、また、いかに持續したか。

      • KCI등재

        坂口安吾「文学のふるさと」と「日本文化私観」論

        吳京煥 대한일어일문학회 2017 일어일문학 Vol.76 No.-

        Ango, Sakaguchi is a well-known Japanese author who wrote in various styles. For instance, he wrote realistic novels, fantasies, autobiographical novels, and also historical one, even farces. Generally speaking, we can call him as a decadent writer. But the decadent tendency was a result of his rhetorical intent. His literature was made from a serious root. He was also a critic of Japanese culture. Especially, "A personal opinion on Japanese culture" is a representative critical work by him. His thinking reached to the essence of beauty and tradition through this critical work. This essay is a study of his critical work "A personal opinion on Japanese culture."

      • KCI등재

        方法としての危機) - 小林秀雄の「おふえりや遺文」と「Xへの手紙」論-

        오경환 대한일어일문학회 2020 일어일문학 Vol.85 No.-

        Hideo Kobayashi who is an extroadinary Japanese critic started his literary career as a novelist and a critic. This fact dose not mean Kobayashi had two talents. If we read his earlier works, we can understand that he had experienced a kind of crisis on his self-consciousness and language. The crisis came from the influence of French symbolism. But he had to overcome the barrier of the foreign literature. So he made up his mind to examine his own consciousness through the internal thinking. For that purpose he wrote two novels whose speaker was “ I ”. Those titles were “ An testament of Ophilia” and “A letter to X”. Kobayashi realized that he should start his literature from the existential isolation and the material theory on language. This essay aims to clarify the course of Kobayashi’s goal.

      • KCI등재

        日本批評史硏究 IV -小林秀雄と占典-

        오경환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1999 日本硏究 Vol.13 No.-

        제2차 대전중의 小林秀雄는 종래의 유물적 언어관을 더욱 첨예화시키려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한 경향은 최종적으로 「物」의 사상으로 정착되나, 그러한 비평원리가 일본의 고전문학을 대상화한 결과가 「 無常とふ事」라는 작품이다. 小林는 이 작품을 통해 일본의 고전을 관념이나 이데오르기로부터 해당시킨 뒤, 詩魂이 美로, 精神이 思想으로 정착되는 순간을 목격하려했다. 본 논문은 국문학계의 說과는 무관한 小林 자신의 정신적 증명행위가 비평언어로 정착되는 과정을 추적한 것이다.

      • 기억과 반-기억의 사이 : 1917년 프랑스 육군 반란

        오경환 문화사학회 2014 역사와 문화 Vol.28 No.-

        집단기억을 통한 역사 연구는 기억과 반-기억 사이의 복잡한 동학에 대한 인식론적반성을 필요로 하고 있다. 집단기억이 개념의 엄밀성을 잃고 오용되거나 ‘역사’와 구분되지 않는 동어 반복에 머무르는 경우도 많기 때문이다. 이런 맥락에서 반-기억의개념은 기억의 개념만큼 중요할 수 있다. 반-기억은 대항기억이라는 사회적 실체로도, 기억을 지배적 서사(들)에 편입시키는 일종의 행위 범주로도 이해할 수 있다. 이논문은 반-기억에 대한 양가적인 정의를 모두 사용하여 프랑스에서의 제1차 세계대전에 대한 다양한 기억 형성 과정을 살펴보고 특히 1917년 군사반란을 분석한다. 제1차 세계대전에 대한 기억은 시대적인 순서에 따라 영웅적 서사, 수정주의 서사, 국제 협력의 서사의 단계를 거치며 형성되어 왔다. 영웅적 서사는 보불전쟁의 복수와남성성의 회복을, 수정주의 서사는 폭력의 일상화라는 관점을, 또 국제 협력의 서사는 유럽적인 보편성의 강조를 각각의 서브텍스트로 삼았다. 따라서 각각의 서사는제1차 세계대전의 기억을 기억-하기와 망각-하기를 통해 재구성해 왔으며, 이는 행위로서의 반-기억을 끊임없이 반복하고 있는 것이다. 이 경우 행위로서의 반-기억은 단순한 왜곡이 아니라 의미망을 형성하고 지식을 생산하는 기제가 된다. 1917년의 군사반란이 중요한 의미를 갖는 이유는 이 사건이 사회적으로 합의된 서사의 틀에 포섭될 수 없는 모순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사회적 서사들은다양한 방식으로 이 사건의 의미를 구성해 왔다. 하지만 이 반란자들은 지배적인 이데올로기를 수동적으로 수용하는 행위자가 아니라 대단히 복잡한 방식으로 얽힌 정치적 입장을 보여 준다. 이들의 기억을 ‘온전히’ 복원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하더라도 이들의 기억이 갖는 복잡한 맥락을 드러내며 다방향으로 기억을 방사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 Historical investigations employing collective memory require a epistemologicalreflection on the complex dynamics between memory and countermemory. All too often, the concept of memory loses its analytical vigor orremains a tautology with “history”. In this vein, the concept of memoryhas to be coupled with that of counter-memory. Counter-memory canbe understood both as social and sociological reality that goes againstgrain of the socially dominant narrative(s); and as a performative categorythat constantly appropriates the reservoir of memory within the sociallydominant narrative(s). This article utilizes both definitions, surveying avariety of appropriation of the memory of the First World War and criticallyexamining the mutiny of 1917. The First World War narratives have evolved,chronologically, from heroic to revisionist and finally to the internationallycooperative one. The heroic narrative privileges the revitalization ofmasculinity, while the revisionist one emphasizes the everyday violence and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one focuses on European universality. Eachnarrative thus reconstructed the memory of the War, constantly performingcounter-memory. It is not a simple fabrication but an ideological apparatusthat produces a network of meanings — both mnemonic and historical. The mutiny of 1917 is important because it implies contradictory meanings that can never be fully appropriated. The mutineers cannot be considered as passive agent rehashing existing ideology; they constantly appropriated ideologies and political positions out of their initial context. It may not be possible to restore their original memory but it is possible to exhibit its complicated contexts and project them multi-direction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