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도, 전류 제어에 의한 레이저 다이오드 파장 안정화

        염진수,양태규,허창우 한국정보통신학회 2001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5 No.3

        본 연구는 광 전송 시스템에 레이저 다이오드의 안정되고 고정된 출력 파장의 광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동하기 위하여 안정된 정전류 회로를 설계하려 했으며, 레이저 다이오드 자체의 온도센서와 TEC(Thermo Electric Cooler)를 이용하여 레이저 다이오드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제어 회로를 구성하였다. 또한 광 출력에 Wavelength Locker글 이용하였다. 최종적으로 이들을 제어하기 위하여 A/D, D/A 컨버터와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사용하였다. This paper has been studied about supply of optical source of laser diode with stable and uniform output wavelength i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The stabilized constant current circuit is designed. The temperature control circuit is constructed for the control of internal temperature of laser diode. Also, the wavelength locker is used in optical output. Finally, A/D, D/A converter and micro-processor are used for the control of temperature.

      • KCI등재후보

        Ethernet 기반의 광다중화 방식을 이용한 광 송수신기 설계

        염진수,임재산,이영우,허창우 한국정보통신학회 2003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7 No.7

        최근에 VOD, HDTV, 라이브 스트리밍 등의 서비스가 늘어나면서 가입자들은 광대역 서비스를 요구하고 있다. 이를 가입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광대역폭을 지원할 수 있는 FTTH(Fiber to The Home)의 실현이 필수적이며, FTTH의 고비용과 설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PON(Passive Optical Network)이 부상하고 있다. PON은 네트워크를 시스템이 아닌 소자로 구성해, 일정거리까지는 하나의 광 회선을 설치하고 스플리터를 중심으로 여러 개로 회선을 분배하는 것이다. 이 또한 스플리터의 한계로 분배할 수 있는 회선이 제한적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PON이 고려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WDM-PON에 적용할 수 있는 Ethemet 기반의 광 송수신 채널 유닛을 설계하였다. 채널 유닛은 1000BASE-T Ethernet 신호를 입력받아 파장별 DFB-LD에 직접 변조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구현하였다

      • KCI등재

        40 채널 광 신호 레벨 제어기

        염진수,허창우,Yeom Jin-su,Hur Chang-Wu 한국정보통신학회 2006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0 No.2

        채널 레벨 컨트롤러는 DWDM(Den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의 OXC(Optical Cross Connect), OADM(Optical Add/Drop Multiplexer), 광 증폭기(EDFA : Erbium Doped Fiber Amplifier) 등의 시스템에서 채널별 광 신호의 세기를 조절하여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이는 중요한 제어기다. 본 논문에서는 12채널 VOA(Variable Optical Attenuator) 4개를 사용하여 40채널의 광 신호 레벨을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러를 구현하였다. 각 채널의 광 신호 레벨을 제어하는데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가 5개의 채널을 제어하고 총 8개의 마이크로프로세서로 40채널을 분산 제어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외부와 통신을 하고 사용자로부터의 명령을 각각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전달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추가하였다. 출력 되는 광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VOA를 제어하고 VOA 출력에서 바로 PD(Photo Detector)로 입력하였다. 일반적으로는 AWG(Arrayed Waveguide Grating) 출력에서 광 신호를 다시 분파하여 PD에 입력하는 방법으로 매우 복잡하다. 본 연구는 이를 개선하여 매우 간단한 방법으로 다 채널의 광 신호를 제어 할 수 있었다. In this paper, we studied about the level controller of optical signal with 40 channels by 4 VOA(Variable Optical Attenuator) with 12 channels. Total 8 microprocessors control 40 chamois for control of optical signal level so that a microprocessor controls 5 channels each. Moreover a microprocessor was added to communicate with outside and transfer instruction to each microprocessor. The output optical signal is measured and VOA is controlled as a result of it. The VOA outputs is inputted into PD(Photo Detector) at once. We could control multi-channel optical signals simply like this.

      • KCI등재후보

        $\mu$-processor로 제어되는 WDM 전송 시스템용 광 전송기 설계

        염진수,이규정,허창우 한국정보통신학회 2003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7 No.4

        본 연구는 WDM(wavelength-division-multiplexed) 전송 시스템에서 안정된 파장의 광 송신기를 설계한다. 기본적으로 광 출력의 안정성을 위하여 10uA 미만의 안정성을 갖는 정 전류 회로를 설계하였으며, 출력되는 광의 파장은 Wavelength Locker를 이용 에러신호를 검출하고, 이 신호로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여 파장을 제어하였다 최종적으로 이 들은 A/D, D/A 컨버터와 $\mu$-Processor로 구성된 마이컴 회로를 통해서 제어 되도록 하였다. 또한 마이컴 회로는 송신기가 WDM 전송 시스템에 장착되었을 때의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신호들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is paper has been studied about the design of optical transmitter with stable output wavelength in WDM transmission system. The stabilized constant current circuit is designed with deviation less than 10$\mu$A. The temperature control circuit is constructed for the control of internal temperature of laser diode. Also, the wavelength locker is used in optical output. Finally, A/D, D/A converter and micro-processor are used for the control of these.

      • 광섬유 증폭기에서의 이득제어 방법과 제어기 설계

        염진수,이정찬,류광열,허창우 한국정보통신학회 2002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6 No.3

        본 연구는 파장 분할 다중화(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방식 전송 시스템 (Transmission System)에 사용되는 어븀 첨가 광섬유 증폭기(EDFA : Erbium-Doped Fiber Amplifier)의 이득 제어(Gain Control) 방법에 관한 것으로 어븀 첨가 광섬유에서 상호 이득 포화(Cross Gain Saturation) 현상, 이득 비동질 (Gain In-homogeneity) 특성, 그리고 어븀 이온의 밀도 반전(Population Inversion)의 변화 에 의해 출력되는 다 파장 광 신호들의 광 세기가 각기 다르게 출력되는 현상을 고출력을 내도록 구성된 어븀 첨가 광섬유 증폭기와 고속 제어기를 구성하여 위 현상들을 억제하며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 : LD)의 제어전압 조사하고, 얻어진 결과들을 토대로 이득 제어에 적합한 방법을 제시하고 제어기를 설계한다.

      • KCI등재

        광 송수신기채널 유닛 설계에 관한 연구

        허창우,염진수,Hur, Chang-Wu,Yeom, Jin-Su 한국정보통신학회 2007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1 No.7

        오늘날 급격히 증가되고 있는 광 대역 멀티미디어 서비스, 초고속 대용량 인터넷 서비스 등을 가입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광 가입자망 기반의 네트워크 구성이 필수적이다. 최근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광 가입자망 구축을 위한 기술들이 빠르게 개발됨에 따라 효율적인 네트워크 구성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중 대표적인 기술로 PON(Passive Optical Network)을 이용하여 ONU(Optical Network Unit)를 공유하는 방식의 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PON 기술이 있으며, 이를 이용한 FTTH(Fiber to The Home)시스템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전송 시 출력 광 파워에 따라 데이터 변조 전류를 자동으로 최적화 시킬 수 있는 방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Nowaday, the wideband multimedia service, high speed and great capacity internet service etc. are increasing, so the network construction with the base of optical subscriber network is necessary. As efficient and economic optical subscriber networks are developed, so efficient network construction is possible. The most technology of them is 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PON technology of ONU(Optical Network Unit) jointing method using PON(Passive Optical Network). In this paper, we have studied on a method for automatic optimization of data modulation current as optical power when the data is transmit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