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고등어(Scomber japonicus)의 난발생 및 자치어 형태발달

        박충국,연인호,최낙현,허승준,한경호,이원교 한국발생생물학회 2008 발생과 생식 Vol.12 No.3

        In order to monitor the developmental features of embryos, larvae, and juveniles of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the fertilized eggs were obtained by artificial insemination. The fertilized eggs were spherical in shape and floated separately. Their membrane and yolk having 1 oil globule were transparent. The transparent eggs, having one oil drop in the yolk, were 0.94~1.02 mm(mean, 0.95±0.03 mm) in diameter. The fertilized eggs started hatching at 51 hrs after fertilization in 20±0.5℃ water. The total length of the hatched larvae was 2.52~3.0 mm(mean, 2.75±0.04 mm). At hatching, the larva, with the mouth and anus not opened yet, had yolk sack, 28~31 myomeres and eyes with melanophore. Yolk completely 2 days after hatching and the total length of post-larvae 3.12~3.63 mm(mean, 3.39±0.05 mm). At the 18 days after hatching, the tip of tail became curved at the end and the stems for pectoral, dorsal, and caudal fins appeared. Juveniles, having all firm rays, was 44.12~58.72 mm(mean 55.95±6.74 mm) in TL 25 days after hatching.

      • KCI등재

        거제 구조라 및 망치 연안에 출현하는 자치어의 분포 특성

        강다연,남기문,최옥인,김병섭,연인호,김기둥,백근욱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 2020 수산해양기술연구 Vol.56 No.2

        이번 연구는 경남 거제 구조라 및 망치 연안에서 2018년 6월부터 2019년 5월까지 매월 1회 조사하였다. 또한, 조사 정점은 총 3개였으며, RN80 Net (망구 0.8 m, 망목 330 ㎛)를 표층에서 수평 인망하여 1 m/sec의 속도로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5목 15과 21종의 어류가 출현하였다. 출현 종은 까나리(Ammodytes japonicus), 멸치(Engraulis japonicus), 샛줄멸(Spratelloides gracilis), 청보리멸(Sillago japonica), 망둑어과(Gobiidae), 날돛양태(Repomucenus beniteguri) 등의 순으로 우점하였다. 월별 우점종은 2018년 6월에 망둑어과, 7월에는 샛줄멸, 8월에 성대속(Chelidonichthys sp.), 9월에 망둑어과, 10월에 날돛양태, 11월에 쏨뱅이, 12월에 쏨뱅이와 쥐노래미(Hexagrammos otakii)가 우점하였고, 2019년 1월에는 문치가자미(Pleuronectes yokohamae), 2월에 까나리, 3월에 멸치, 4월에 쏨뱅이속과 망둑어과, 5월에는 멸치가 가장 우점하였다. 월별 출현양상은 7월에 출현 종 수와 개체수가 가장 많았고, 8월에 가장 적게 출현하였다. 월별 유사도는 4월, 6월, 9월의 그룹Ⅰ과 1월, 2월의 그룹Ⅱ로 나뉘었으며, 그룹Ⅰ의 우점종은 청베도라치(Parablennius yatabei)와 망둑어과, 그룹Ⅱ의 우점종은 까나리와 볼락(Sebastes inermis)으로 나타났다. An ecological study for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the fish assemblages in the coastal waters of Gujora and Mangchi of Geoje, Korea was conducted using monthly larval collection by an RN80 net from June, 2018 to May, 2019. A total of the 5 Orders, 15 Families, 21 species were collected. The dominant species were Ammodytes japonicus and Engraulis japonicas. Gobiidae was the most dominant species in June, Spratelloides gracilis in July, Chelidonichthys sp. in August, Gobiidae in September, Repomucenus beniteguri in October, Sebastiscus marmoratus in November, Sebastiscus marmoratus and Hexagrammos otakii in December of 2018, Pleuronectes yokohamae in January, Ammodytes japonicus in Febraury, Engraulis japonicus in March, Sebastes sp. and Gobiidae in April and Engraulis japonicus in May of 2019. The highest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were found in July and the smallest in August. Thus, the diversity index was the highest in July and the lowest in August. As a result of the similarity by month was divided into Group I in January and February and Group II in April, June and September. The most dominant species in the Group I were the Ammodytes japonicus and Sebastes inermis, and the most dominant species in the Group II was Gobiidae.

      • KCI등재후보

        수온이 찰가자미(Microstomus achne)의 난발생에 미치는 영향

        변순규,이성훈,황재호,한경호,연인호,김진도,이종하,이배익 한국발생생물학회 2009 발생과 생식 Vol.13 No.4

        찰가자미 Microstomus achne의 어미로부터 수정란을 받아 수온이 난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찰가자미의 난발생 속도와 부화율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난발생이 개시되는 생물학적 영도는 평균 0.4℃였다. 수정에서 부화에 이르기까지 평균 소요시간은 9~21℃에서 86.5~296.67시간이 소요되었으며, 수온이 높을수록 각 발생단계에 이르는 시간이 짧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부화율은 12~18℃에서 95.8~97.0%였으며, 9℃와 21℃에서는 각각 86.9%, 9.3%가 부화되었다. 한편, 24℃에서는 24시간 이전에 모두 사망하였다. 기형어의 발생율은 21℃에서 88.3%, 9℃에서는 2.1%였으며(P<0.05), 12~18℃에서는 0.4~0.8%였다.

      • KCI등재후보

        큰미끈망둑(Luciogobius grandis)의 난발생 및 자치어 형태 발달

        윤성민,한경호,이성훈,임후순,황재호,연인호,김이청 한국발생생물학회 2008 발생과 생식 Vol.12 No.2

        이 연구는 2006년 2~5월에 전라남도 여수시 오천동 주변해역의 하천과 연계된 기수구역에서 간조시 돌 밑부분에 부착된 큰미끈망둑의 난을 채집하여 전남대학교 자원생물실험실로 운반하여 실내사육하면서 난발생과정 및 자치어 형태발달을 관찰하였다. 큰미끈망둑의 수정란은 난막이 타원형으로 부풀어 장경이 2.06±0.23 ㎜(n=20), 단경이 0.74±0.04 ㎜(n=20)로 투명하였고, 난막의 기부에는 많은 부착사가 있어서 돌에 부착하는 부착란으로 다수의 소유구를 가지고 있었다. 부화에 소요된 시간은 수온 18.4~21.0℃(평균 19.4℃)일 때 상실기로부터 120시간 54분이었으며, 그때의 근절수는 34~36개로 되었다. 난은 발생 후반에 배체의 머리 부분이 난황의 선단부를 향하는 정상란과 반대로 난막의 기부, 즉 부착사쪽을 향하는 역자란이 출현하였다. 부화직후의 자어는 전장 3.30±0.07 ㎜로 입과 항문이 열리고, 나뭇가지 모양의 흑색소포는 부화직전 보다 증가하였으며, 근절수는 34~36개였다. 부화 후 9일째 자어의 전장은 5.06±0.18 ㎜(n=30)로 눈의 앞쪽에서 부레의 앞까지 직선상으로 흑색소포가 더욱 넓게 발달하였으며, 난황이 완전히 흡수되어 후기자어기로 이행하였다. 부화 후 29일째 전장은 11.46±0.12㎜(n=30)로 모든 지느러미 수가 정수에 달하고, 근절수는 40~41개로 증가하여 치어기로 이행하였다.

      • 강진만에 분포하는 짱뚱어(Boleophthalmus pectinirostris)의 서식과 산란

        정순재(Sun Jae JEONG),이성훈(Sung Hoon LEE),황재호(Jae Ho HWANG),연인호(In Ho YEON),김희진(Hui Jin KIM),이정현(Jung Hyun LEE),한경호(Kyeong Ho HAN) 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2010 수산과학연구소논문집 Vol.18 No.2

        The habitat and spawning of the Blue Spot Mudskipper, Boleophthalmus pectinirostris were studied in the mud flat of the Kangjin bay, Jeollanam-do.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 and salinity in the habitat were 29.7℃, 28.53‰ and 15.3℃, 10.34‰, respectively. Blue Spot Mudskipper is living in 10 to 14 caves in coastal mud. As for the value of gonadosomatic index, female was highest in May and lowest in September, and male was highest in May showing that the main spawning period of Boleophthalmus pectinirostris was May to July. The number of eggs in ovary was 358 to 8,612, and the fertilized egg was 0.65-0.77×1.23-1.44mm. From the viewpoint of stomach content analysis, main content was vegetables(97.6%) and minor content was animals(2.4%) including shrimps mainly. After spawning, females go out from the cave but males stay to protect eggs in the cave.

      • 청어(Clupea pallasii)의 난발생 및 자어의 형태

        한경호 (Kyeong Ho Han)이성훈(Sung Hoon Lee),황재호(Jae Ho Hwang),연인호(In Ho Yeon),김희진(Hui Jin Kim),오성재(Seong Jae Oh) 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2011 수산과학연구소논문집 Vol.19 No.-

        이 연구는 2004년 2월 12일에 여수시 돌산읍 하동주변해역에서 해조류에 부착되어있는 수정난과 이각망을 이용하여 채집한 어미를 전남대학교 자원생물 실험실로 운반하고 건식법으로 수정한 난의 발생과정 및 부화한 자어를 관찰하였다. 청어의 수정난은 구형의 무색투명한 침성점착난으로 난황이 벌집과 같은 형태이고, 난경은 1.31~1.43㎜(n=50)이었다. 수정 후 42분이 경과하여 배반이 형성되기 시작하였고, 수정 후 1시간 48분 후에 2세포기에 달하였다. 분화가 계속 진행되면서 수정 후 11시간 13분 후에 상실기에 달하였으며, 수정 후 21시간 46분만에 포배기에 달하였다. 수정 후 27시간 58분에 배체가 형성되기 시작하였고, 수정 후 44시간 34분에 렌즈와 이포가 형성되었으며, 수정 후 67시간 30분에는 렌즈가 착색과 가슴지느러미가 분화하였다. 수정 후 96시간 56분에 첫 부화가 시작되었다. 부화 직후 자어는 전장이 평균 6.82 ㎜로 난황을 달고 있었고, 입과 항문은 열려 있지 않았으며, 항문은 전장의 75~80%에 위치하였다. 흑색소포는 나타나지 않았고, 근절은 40~43개였으며, 지느러미는 막상 이었다. 부화 후 1일째 자어는 평균 전장이 7.15㎜로, 입과 항문이 열리기 시작하였다. 부화 후 6일째 자어는 평균전장이 8.99㎜로 난황이 완전히 흡수되었다. 부화 후 20일째 자어는 꼬리말단이 휘어지기 시작하였고, 등지느러미 부분에 5~6개의 줄기가 나타났다. In order to monitor the early developmental features of the Pacific herring, Clupea pallasii larvae and embryos, the fertilized eggs were artificially inseminated by dry method. The fertilized eggs were colorless and transparent spherical, and demersal and adhesive. The diameter of fertilized eggs was 1.31~1.43 mm (n=50). The fertilized eggs started to hatch at 96 hrs 56 min after fertilization. The total length of the hatched larvae was 6.82 mm. At hatching, the mouth and anus of the larva were not opened yet showing yolk sack and 40~43 myomeres. Yolk was completely absorbed at 6 days after hatching and the total length of post-larvae was 8.99 mm. At the 13 days after hatching, the end of tail fin became curved and the 5~6 stems were appeared at dorsal fin.

      • 개소겡(Taenioides rubicundus)의 난발생 및 자어의 형태

        박상언(Sang Un Park),이성훈(Sung Hoon Lee),유동재(Dong Jae Yoo),황재호(Jae Ho Hwang),연인호(In Ho Yeon),민재원(Jae Won Min),한경호(Kyeong Ho Han) 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2011 수산과학연구소논문집 Vol.19 No.-

        이 연구는 2004년 7월과 2005년 7월에, 전라남도 순천만에서 자연 산란된 수정 난을 직접 채집한 후, 실험실에서 사육하면서 난 발생 과정 및 부화한 자어의 형태를 관찰하였다. 수정란은 수정 후 20분까지는 무색투명한 구형이지만, 수정 후 25분부터는 전구모양(타원형)으로 변하기 시작하여 수정 후 5시간 30분, 상실기에는 장경이 2.29~2.57㎜(평균 2.46㎜), 단경이 0.71~0.85㎜(평균 0.77㎜)였다. 난막의 기부에는 많은 부착사가 있어서 부착하는 분리 부착란으로 여러 개의 작은 유구를 가지고 있었다. 수정 후 1시간 4분에 배반이 형성되기 시작하여, 수정 후 1시간 47분에 2세포기에 달하였다. 수정 후 16시간 30분에 배체가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부화는 수온 18.4~23.2℃(평균 21.2℃)에서 수정 후 82시간에 시작하였다. 부화 직후 자어는 전장이 2.09~2.24㎜(평균 2.17㎜)였고, 부화 5일째 자어는 전장이 3.86~4.17㎜(평균 4.00㎜)였다. The eggs of Taenioides rubicundus were collected at Sunchun Bay, Jeollanam-do in the July 2004, 2005, and were carried to the laboratory to observe the early development of egg and Larva. Colorless and transparent eggs were spherical at 20 mins after fertilization but the shape changed to an oval at 25 mins after fertilization. The blastodisc began to form at 1 hr 4 mins after fertilization. The diameter was 2.29~2.57×0.71~0.85 mm (mean 2.46×0.77 mm) at 5 hrs 30 mins after fertilization. Embryo formation appeared at 16 hrs 30 mins after fertilization. Hatching was observed at 82 hours after fertilization at 18.4~23.2℃ (mean 21. ℃). The newly-hatched larvae, showing opened mouth and closed anus, were 2.09~2.24 mm (mean 2.17 mm) in total length.

      • KCI등재
      • 순천만에 분포하는 개소겡(Taenioides rubicundus)의 서식 및 산란

        박상언(Sang Un PARK),이성훈(Sung Hoon LEE),유동재(Dong Jae YOO),김춘철(Chun Chel KIM),황재호(Jae Ho HWANG),연인호(In Ho YEON),한경호(Kyeong Ho HAN) 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2007 수산과학연구소논문집 Vol.16 No.-

        전라남도 순천만에서 2004년 3월부터 2005년 3월까지 개소겡의 서식생태와 산란에 관하여 기초자료를 얻었다. 개소겡의 서식지 수온의 년평균은 최저 6.30℃였고, 최고 29.28℃였으며, 염분은 년평균 최저 18.20‰이였고, 최고 30.48‰이였다. 개소겡의 서식지는 저질이 펄질인 연안으로서 저질의 입도는 사질(Sand) 입자가 7.0%, 실트질(Silt)입자 53.5%, 점토질(Clay) 입자 39.5%로 이루어져 있었고, 개소겡은 이곳에서 5~8개의 굴을 파서 살고 있었다. 수컷의 생식소 중량지수는 서서히 증가하는데 반하여 암컷의 생식소 중량지수는 5월에 접어들면서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5월 중순에 최고값을 기록하였으며, 6월 초에는 다소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으로 보아 5~7월이 산란기임을 알 수 있었다. 개소겡 난소내의 난수는 1만 9천개~2만 1천 정도이며, 난경의 4월 평균 0.34mm에서 산란기인 6월에는 평균 0.74mm로 난소의 크기에 비례하여 알의 크기가 커지고 있었다. 개소겡의 서식지 크기는 평균 122cm였고, 입구의 넓이가 3~4cm인 굴을 5~8개 뚫으며, 서식굴의 안쪽 벽에 3,000~4,000개의 알을 낳아 수컷이 보호하였다. The habitat and spawning of the green eel goby, Taenioides rubicundus were studied in the mud flat of the Sunchun bay, Jeollanam-do. Maximum and minimum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in the habitat were 29.28℃, 6.30℃, and 30.48‰, 18.20‰, respectively. Green eel goby is living in 5 to 8 caves in coastal mud consisting of sand(7.0%), silt(53.5%), and clay(39.5%). Gonadosomatic index in male was increased slowly, but gonadosomatic index in female was rapidly increased in May and reached to the highest record in the middle of May, and turned to decrease in the beginning of June. Therefore, it was speculated that May is the spawning season for green eel goby. The number of eggs in ovary was 19,000 to 21,000, the diameter of egg was 0.34mm in April and 0.74mm in June. The diameter was bigger together with the size of ovary. Depth in the cave was average 122cm, width of entrance was 3~4cm, and male green eel goby keeps 3,000~4,000 eggs in inside of ca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