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전 및 육종 : 초위성체 표지를 이용한 한국재래돼지 집단의 분자유전학적 고찰

        연성흠 ( Seong Heum Yeon ),이승수 ( Seung Soo Lee ),조창연 ( Chang Yeon Cho ),진현주 ( Hyun Ju Jin ),유용희 ( Yong Hee Yoo ),이풍연 ( Poong Yeon Lee ),위미순 ( Mi Soon Wee ),고응규 ( Yeoung Gyu Ko ),손준규 ( Jun Kyu Son ) 한국동물자원과학회(구 한국축산학회) 2011 한국축산학회지 Vol.53 No.1

        초위성체(MS) 표지를 이용하여 한국재래돼지 집단의 각각의 분자유전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그 평가를 통해 한국재래돼지에 대한 품종 및 계통분류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각 재래돼지 집단 내 및 집단간의 유전적 변이성을 확인하고, 그 분류 및 특성평가를 위한 MS 분석체계를 마련하여 국내 가축유전자원 관리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국내 관리기관 및 농가에서 보유하고 있는 6개 재래돼지 집단을 중국의 4개 재래돼지 집단 및 외래종 돼지 7개 집단과 함께 분석하였다. 도합 17집단 648두를 대상으로 26개 MS 표지로 분석한 결과, 한국재래돼지 집단은 외래종과 중국재래돼지로부터 분자유전학적으로 별개의 집단으로 확연히 구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국재래돼지 집단의 기대이형접합도(HE)는 0.65의 값을 보인 두 집단(B, D)을 제외한 나머지에서 0.48~0.55의 수준을 보여 전반적으로 외래종에 비해 낮았다. 한국재래돼지 집단간의 유전거리 또한 0.12~0.34 정도로 비교대상에 비하여 낮았다. 분석대상 한국재래돼지 6집단 중 세 개의 집단은 높은 유전적 균일도를 보였으나, 두 집단에서는 일부 집단의 혼입을, 나머지 하나의 집단에서는 둘 이상의 집단으로부터의 복잡한 혼입이 의심되는 매우 낮은 유전적 균일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재래돼지 집단간의 유전적 차이 및 동질성, 그리고 집단내의 유전적 균일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유전자원의 고유성을 인정할 수 있는 과학적인 근거로서, 국가수준의 가축유전자원 평가, 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and optimize microsatellite(MS) markers for evaluation of Korean native pig(KNP) populations in order to provide standard for the classification and breed definition of the indigenous breeds. The study also aimed to characterize and classify each KNP populations. A total of 648 pigs from 17 pig populations including six KNP, four Chinese native pig and four commercial pig populations were analyzed with 26 MS markers. KNP populations formed separate cluster from those of Chinese native pig and introduced pig populations. Expected heterozygosity(He) of KNP populations were 0.48~0.55 except two populations with 0.65. Genetic distances between KNP populations were relatively shorter: 0.12-0.34. Among six KNP populations, three showed high genetic uniformity, two showed lower uniformity and one showed high level of impurity and heterozygosity. The results can be used to evaluate and manage animal genetic resources at national scale.

      • KCI등재후보

        한우 FASN 유전자변이와 한우 지방형질 및 지방산조성과의 연관성 분석

        이승환(Seung-Hwan Lee),김형철(Hyeong-Cheol Kim),조원모(Won-Mo Cho),장선식(Sun-Sik Chang),김범수(Bum-Soo Kim),장길원(Gul-Won Chang),이준헌(Jun-Hun Lee),연성흠(Seong-Heum Yeon),홍성구(Seong-Koo Hong)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2011 농업과학연구 Vol.38 No.2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olymorphism on fatty acid synthase (FASN) gene and its association with fat traits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Hanwoo. We genotyped a SNP (g.16024G → A) detected in Exon34 of FASN on 90 Hanwoo steers by PCR RFLP. A linear mixed model revealed an association of g.16024G → A with total body fat contents (P=0.006), while there is no significant effect between g.16024G → A and other traits (IMF, BF and fatty acid composition). Regression coefficient and R² of the SNP was -1.5 ㎏ and 0.36 in this anslysis. Expecially, AA type of g.16024G → A bas a less amount of body fat (1.5 ㎏) than GG type of the SNP in Hanwoo. In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s an important role for FASN gene in determining body fat content in Hanwoo.

      • KCI등재

        유전 및 육종 : 한우의 초음파 측정 형질과 도체 형질의 유전모수 추정

        김형철 ( Hyeong Cheol Kim ),조영무 ( Young Moo Cho ),이상민 ( Sang Min Lee ),양보석 ( Boh Suk Yang ),김종복 ( Jong Bok Kim ),연성흠 ( Seung Heum Yeon ),이승환 ( Seung Hwan Lee ),당창권 ( Chang Gwon Dang ),전기준 ( Gi Jun Jeon ) 한국동물자원과학회(구 한국축산학회) 2012 한국축산학회지 Vol.54 No.5

        본 연구는 한우 번식우와 거세우의 도체형질과 초음파 측정형질 의 유전모수를 추정하여 도체형질과 초음파 측정형질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한우 암소에 있어서 초음파 등지방두께의 유전력은 0.43이었고, 초음파 등심단면적의 유전력은 0.23 그리고 초음파 근내지방도는 0.32이었다. 한편, 한우 암소 도체형질의 유전력은 등지방두께는 0.33, 등심단면적이 0.13 그리고 근내지방도는 0.33으로 분석되었 다. 한우 암소에 있어서 초음파 측정 형질 간 유전상관은 초음파 등지방두께: 초음파 등심단면적에서 -0.19, 초음파 등지방두께: 초 음파 근내지방도는 -0.61이었고, 초음파 등심단면적: 초음파 근내 지방도는 -0.36으로 각 형질 간 부의 유전상관을 보였다. 표현형 상관에 있어서는 초음파 등지방두께: 초음파 등심단면적에서 0.03, 초음파 등지방두께: 초음파 근내지방도는 0.13이었고, 초음파 등심 단면적: 초음파 근내지방도는 0.26으로 분석되었다. 한우 암소에 있어서 초음파 측정 형질과 실제 도체형질 간 유전 상관은 등지방두께 0.97, 등심단면적 0.94 그리고 근내지방도 0.92 로 매우 높은 정 (+)의 상관을 나타내었고, 초음파 측정형질과 실제 도체형질 간 표현형상관에 있어서도 등지방두께 0.90, 등심단면적 0.86 그리고 근내지방도 0.81로 높은 정 (+)의 상관계수가 추정되 었다. 그리고 암소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결과는 거세우 자료에서나 암소와 거세우를 통합한 자료에서도 일관되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초음파 측정치와 실제 도체에서 측정한 값 들 사이 에 유전적으로나 표현형적으로 높은 수준의 정 (+) 상관이 존재하 는 본 연구 결과는 육질 개량을 위한 간접 선발의 도구로 초음파 측정 자료를 활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며 한우의 도축 결과를 상 당히 정확한 수준으로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양관리 측면에 Kim et al. ; Genetic Parameters for Ultrasound and Carcass Traits in Hanwoo -3 3 6- 서도 큰 활용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genetic parameters for ultrasound and carcass traits in Hanwoo. Heritabilities and genetic and phenotypic correlations were estimated for carcass and ultrasound measurements collected from Hanwoo cows (n=312) born at Hanwoo experiment station. Traits evaluated were eye muscle area (EMA), backfat thickness (BF), marbling score (MS) from carcass, and ultrasound eye muscle area (UEMA), ultrasound backfat (UBF), and ultrasound marbling score (UMS). Parameters were estimated using multi-trait animal models byderivative-free restricted maximum likelihood procedures. Estimated heritabilities for UBF, UEMA and UMS were 0.43, 0.23 and 0.32, while heritabilities for BF, EMA and MS were 0.33, 0.13 and 0.33 in fattened cows, respectively. Genetic correlations between ultrasound and carcass measurements were estimated to -0.19, -0.61, and -0.36 for UBF: UEMA, UBF: UMS, and UEMA: UMS in fattened cows, respectively. Phenotypic correlations between ultrasound and carcass measurements were 0.03, 0.13 and 0.26 for UBF: UEMA, UBF: UMS, and UEMA: UMS in fattened cows, respectively. As for the steer, genetic correlations between ultrasound and carcass measurements were 0.36, -0.80 and 0.27 for UBF: UEMA, UBF: UMS, and UEMA: UMS in steers, respectively. Phenotypic correlations between ultrasound and carcass measurements were 0.13, 0.07 and 0.41 for UBF: UEMA, UBF: UMS, and UEMA: UMS in steers,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is finding would be very useful to implement into Hanwoo breeding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