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직무만족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여수진(Yeo-Su Jin)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4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직무만족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6년 9월 7일부터 2016년 9월 23일까지 D시 소재 2개의 종합병원 간호사 274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하여 일반적 특성, 감정노동, 직무만족 및 긍정심리자본을 조사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적 통계, 분산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하였으며, 감정노동과 직무만족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는 Baron & Kenny의 3단계 절차를 이용한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검증하였다. 감정노동과 직무만족(r=-.36, p <.001), 감정노동과 긍정심리자본(r=-.25, p <.001)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직무만족과 긍정심리자본(r=.47, p <.001)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긍정심리자본은 감정노동과 직무만족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z=-3.44, p =.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을 감소시키고 긍정심리자본을 강화하여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조직적 중재 프로그램 개발과 그 효과를 밝히는 연구를 제언한다. This descriptive research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PC)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EL) and job satisfaction (JS) of clinical nurse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274 nurses working for two hospitals in the D city, Korea, from 7 Sep. 2016 through 23 Sep. 2016. General characteristics, EL, JS, and PPC were survey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WIN 21.0. The mediating effect of PPC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L and JS was tested using Baron & Kenny"s 3-step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EL and JS (r=-.36, p<.001) and EL and PPC (r=-.25, p<.001) an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JS and PPC (r=.47, p<.001). In addition, the PPC,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z=-3.44, p=.001)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L and JS. It is proposed, based on the results, to develop an organized intervention program that enhances job satisfaction by reducing emotional labor and strengtheni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clinical nurses.

      • 부산물 비료에 발효미생물의 첨가가 잎들깨의 생장특성과 수량 증수효과

        하상영,박선일,정대수,여수진 東亞大學校 1999 東亞論叢 Vol.36 No.-

        공시재료 부산물 비료 3종류에 발효미생물을 혼합하여 재배한 잎들깨의 생장 특성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장에 있어 공기 발효미생물을 혼합한 부산물 비료는 대풍, 바이오청, 풍작 순이며, 엽수의 채엽증가는 바이오청, 풍작, 대풍 순으로 채엽의 수가 증가하였으며, 엽의 길이느 ㄴ처리구에서 엽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향은 잇고, 조사 횟수에 따라 엽의 길이에 차이가 있었다. 엽의 폭은 엽의 길이와 같은 경향이 잇으며, 엽의 건물비율은 부산물 비료와 발효미생물의 혼합 유무와 환경요인에 따라 건물비율이 증감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줄기 30cm의 직경은 바이오짐+대풍, 하이그린 J+대풍, 아제론+대풍이 직경이 커지는 경항이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perilla, Perilla Frutescens, which was cultivated by mixture Fermentative microbe into three types Organic compost. In the height of perilla, Daepung mixed with Fermentative microbe showed the highest level and followed by Biochong and Pungchag in order. Number of the harvested leaves were the highest in Biochong, Pungchag and Daepung in order. Leaf length and leaf width were more effective at the three kinds on Organic compost than Control. The rate of dried leaf weight was decided by Organic compost, Fermentative microbe and Environmental factor. Diameter of perilla stem at 30cm above the ground increased mixture Fermentative microbe and Organic compost and was the thichest in Biojim+Daepung, Higreen-J+Daepung and Ajelon+Daepung.

      • 음원 모델에 기초한 합성음의 피치 조절

        최용진,여수진,김진영,성광모 한국음성과학회 1998 음성과학 Vol.3 No.-

        Previously developed methods for pitch modification have not been based on the voice source model. Therefore, the synthesized speech often sounds unnatural although it may be highly intelligibl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alteration of a voice source signal with pitch period and to establish the pitch-modification rule based on the result of this analysis. We examine the alteration of the interval of closing phase, closed phase and open phase using the excitation waveform as the pitch increases. In comparison to the previous methods which performed directly on the speech signal, the pitch modification method based on a voice source model shows high intelligibility and naturalness. This study might benefit the application to the speaker identification and the voice color conversion. Therefore the proposed method will provide high quality synthetic speech. Keywords: pitch modificaion, Laryngograph signal, voice source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