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강 정구의 학문관과 교육적 함의 고찰

        여상운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2 민족문화논총 Vol.82 No.-

        The academic view of the Hang ang can be divided into four main categories : Seong-hak(聖學, sacred learning), Ha-gak(下學, etiquette learning), Bak-hak(博學, broad learning) and So-hak(小學, personality learning). The first is the pursuit of being a saint. Hangang devoted himself to a sacred learning with the goal of becoming a saint at a relatively early ag e. His humble personality was naturally embodied because he always felt that he lacked himself compared to a saint and reflected on himself. Second, the emphasis was placed on an etiquette learning. He emphasized etiquette in everyday life and emphasized the practice of basic personnel affairs before metaphysical philosophy. Third, he pursued a broad learning. Hangang’s trend of the broad learning began with the recognition that there was nothing to throw away in order to pursue the Neo-Confucian philosophical system. His pursuit of the broad knowledge was again implied by simplicity as he g rew older. The broad academic trend of youth had converg ed to simplicity in his last years. Fourth, a personality learning was thoroughly emphasized. So-hak was viewed as the starting point of all studies, and before learning the philosophical system of Neo-Confucianism, he emphasized basic manners as a human being, and emphasized constant self-discipline and a diligent lifestyle. This academic tendency of Hangang was also reflected in education. Hang ang ’s education viewpoint could be divided into three categ ories. First, it was the emphasis on a character education. The character education, which emphasized etiquette, was viewed as the starting point of education. The basis of all education is to cultivate basic personality education and manners, and after this basis was established, customized education was implemented to suit the intellectual level of the disciples. Second, it emphasized timely education suitable for the situation. In other words, it emphasized education suitable for the learner's environment and situation. Filial piety was taught to those in need of filial piety, and the achievement of Tao was taug ht to disciples who wanted to study. If a student's personality is brave, he/she was taught according to their personality. This type of customized education was able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and everyone could exercise their capabilities. Third, Hang ang pursued customized education tailored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is is similar to the method Confucius did to his disciples, and the streng ths of his disciples could be maximized by educating them to suit their qualities and characteristics. Even today, education is customized, focusing on individual specificity, but most of them are cognitive differential education. Differential education according to such individual temperament and character is considered to require further research and active discussion in modern education. These comprehensive analysis and systematic research are meaningful in itself, but based on this, it is meaningful in that it laid the foundation for additional and in-depth research on Hangang’s practical life, ideas, or educational view.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Hangang can be summarized as personality education, timely education, and customized education, and it will be a very meaningful study if Hangang’s educational ideas are re-analyzed and applied to modern education in the future. Above all, the customized education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is expected to have a very high educational value and significance if it can be realized in modern society through additional research. In this reg ard, research on learning and education of Hang ang will be a reference to presenting the direction of new research and education today.

      • 국가교육과정 시기별 초등 경제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여상운 교과와교과서학회 2022 교과와교과서연구 Vol.2 No.1

        초등학교 경제교육은 중고등 및 대학교뿐만 아니라 성인의 경제교육에도 영향을 미친다. 그 이유는 경제교육을 처음 접하는 초등학생이 이를 단순히 암기식이 아닌 생활 일부로서 받아들인다면 어린 시 절의 좋은 습관과 바람직한 가치관이 평생을 좌우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초등학교 경제교육은 학 문 자체에 대한 교수보다는 경제 현상에 대한 근본 원리와 상호 연관성을 깨닫게 하고 건전한 민주시 민으로서 사회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할 것이다. 이런 점에서,해방후 우리나라에서 초 등학교의 경제교육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국가 교육과정 시기별로 살펴보았다. 1 제 차 교육과정(1955 교육과정까지 국가 교육과정에 나와 있는 사회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하여 시기별 , 년 부터 현행 ) 2015 경제교육의 내용과 변천과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 , 2007 교육과정부터는 경제교육 비중이 10% 이하 로 많이 낮아졌음을 알 수 있다. 오늘날 경제적인 요구와 이해관계가 더욱 커지고 있는 현실에도 불구 하고 경제교육의 비중이 오히려 더 낮아졌다는 점에서는 이에 대한 근본적인 재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Economic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ffects not only middle/high schools or universities, but also adults' economic education. The reason is that i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new to economic education accept it as part of their lives, not just memorizing, the good habits and desirable values of their childhood will determine their entire lives. Therefore, economic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should help them realize the fundamental principles and interrelationships of economic phenomena rather than teaching about academic knowledge and contribute to social development as sound democratic citizens. In this respect, how economic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was conducted in Korea after establishment of South Korea was examined by the period of the national curriculum. From the first national curriculum(1955) to the current 2015 national curriculum, the content and transition process of economic education by period were analyz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the national curriculum.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from the 2007 curriculum, the proportion of economic education has decreased significantly to less than 10%. Despite the growing economic demands and interests today, a fundamental review seems to be needed in that the proportion of economic education has rather decreased.

      • KCI등재후보

        괴테의 『젊은 베르터의 슬픔』에 나타난 루소의 영향

        여상운 한국헤세학회 2006 헤세연구 Vol.16 No.-

        Rousseaus Einfluss auf Die Leiden des jungen Werther von Goethe- Lotte als ein Frauenbild und Frauenbildung

      • KCI등재

        중국 사범대학생의 유교적 가치관 유형 분석 - Q방법론적 접근 -

        여상운,이장패,이효휘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11

        This study aims to analysis the types of features of confucian values of China normal university students. To achieve this purpose, Q methodology is applied. This study was conducted at Sichuan Normal University in China. Total 42 students and 47 statements collec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e implementation were formed in four types, statism, traditionalism, nominalism, and naturalism. Through this study,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relations, family relations, and friendship, all four type of features were presented intellectualized intelligentiae. The common feature of the four types is gender role, and the cognition of gender role is changing, and women will becoming an independent individual. Although confucian values had made great contribution for the development of Chinese traditional culture, it is an undeniable fact that some ideas not according with the modern social demand for development are hidden in the back.And we should look at and appreciate confucian values from a comprehensive and dialectic view.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사범대학 대학생들의 유교적 가치관 유형과 특징을 알아본 것이다. 연구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Q방법론을 연구방법으로 선정하였으며, 중국 사천사범대학교 대학생 42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중국 사범대학교 대학생의 유교적 가치관은“국가주의”,“전통주의”,“명분주의”,“자연주의” 네 가지 유형이 도출되었으며, 각 유형은 선명한 특징을 기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내린 결론은 첫째. 네 유형은 국가 관계, 가족 관계, 붕우 관계에 대하여 유기적, 화해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둘째, 네 유형간 가장 공통적인 특징은 바로 남녀관계, 역할에 대한 관점이다. 중국 사범대학교 대학생들은 유교적 가치관에서 남녀관에 대한 관점을 동의하지 않고 부정적으로 이해하고 있다. 여성은 가족이나 남성의 부속물이 아니라고 생각하고 있다. 셋째, 비록 유교 가치관은 중국 문화의 발전에 대해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만, 현대 사회 발전과 부합하지 않는 관점도 존재하는 것도 부인할 수 없다. 따라서 유교 가치관에 대해 변증적이고 전면적인 관점으로 볼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직업능력향상과 교육․훈련사업의 연계 가능성 탐색- 평생교육분야와 지역고용사업을 중심으로-

        여상운,CHEN DAN,박창언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6

        이 연구는 직업능력향상을 위한 평생교육과 지역의 교육훈련사업의 연계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우선, 평생교육기관의 직업능력향상 교육에 대해 살펴보았다. 여기에서는 평생교육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평생교육 영역과 거기에서의 직업능력향상의 위상을 살펴보고, 실제 전국의 프로그램과 해당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자 수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지역의 교육훈련 사업에 대해 살펴보았다. 여기서는 교육․훈련사업의 의의와 유형에 대해 알아보고, 교육․훈련사업의 프로그램 수와 학습자 수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였다. 이들을 살펴보면서 직업능력향상과 교육․훈련사업의 연계 가능성을 다섯 가지로 모색하였다. 그 다섯 가지는 비경제 활동 인구에 대한 고용관련 평생학습, 소외계층에 대한 평생교육과 연계의 강화, 재직자 중심의 평생교육 직업능력의 강화, 지역 내 평생교육기구와 대학을 활용한 직업능력 강화, 그리고 지역 일자리 수요와 공급자를 매개할 수 있는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강화로 나타났다. The study aims to explore the possible link between lifelong education and local education․training projects to enhance vocational skills. To this end, we first looked at vocational training in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We looked at the areas of lifelong education presented by the Lifelong Education Act and the status of job improvement in them, as well as the actual number of learners across the country. Next, we looked at local education training projects. In this case, We investigated the significance and type of education․training projects, and identified the number of programs and the number of learners. Looking at them, we looked for five possibilities the possible link of between vocational abilities and educational․training projects. The five were to strengthen employment related lifelong learning of the economically inactive population, to strengthen lifelong education related to the underprivileged people, to enhance vocational skills for lifelong education centered on the employed, to utilize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and universities in the region, and to strengthen the role of local governments to guide local job demands and suppliers.

      • KCI등재

        직업능력향상과 교육․훈련사업의 연계 가능성 탐색 - 평생교육분야와 지역고용사업을 중심으로-

        여상운,천단,박창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6

        이 연구는 직업능력향상을 위한 평생교육과 지역의 교육훈련사업의 연계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우선, 평생교육기관의 직업능력향상 교육에 대해 살펴보았다. 여기에서는 평생교육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평생교육 영역과 거기에서의 직업능력향상의 위상을 살펴보고, 실제 전국의 프로그램과 해당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자 수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지역의 교육훈련 사업에대해 살펴보았다. 여기서는 교육․훈련사업의 의의와 유형에 대해 알아보고, 교육․훈련사업의 프로그램 수와 학습자 수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였다. 이들을 살펴보면서 직업능력향상과 교육․훈련사업의 연계 가능성을 다섯 가지로 모색하였다. 그 다섯 가지는 비경제 활동 인구에 대한 고용관련 평생학습, 소외계층에 대한 평생교육과 연계의 강화, 재직자 중심의 평생교육 직업능력의 강화, 지역 내 평생교육기구와 대학을 활용한 직업능력 강화, 그리고 지역 일자리 수요와 공급자를 매개할 수 있는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강화로 나타났다. The study aims to explore the possible link between lifelong education and local education․training projects to enhance vocational skills. To this end, we first looked at vocational training in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We looked at the areas of lifelong education presented by the Lifelong Education Act and the status of job improvement in them, as well as the actual number of learners across the country. Next, we looked at local education training projects. In this case, We investigated the significance and type of education․training projects, and identified the number of programs and the number of learners. Looking at them, we looked for five possibilities the possible link of between vocational abilities and educational․training projects. The five were to strengthen employment related lifelong learning of the economically inactive population, to strengthen lifelong education related to the underprivileged people, to enhance vocational skills for lifelong education centered on the employed, to utilize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and universities in the region, and to strengthen the role of local governments to guide local job demands and supplier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중용 수양과 교육 동의적 관계 탐색

        여상운(Yeo Sang Woon) 한국국제교육교류학회 2022 국제교류와 융합교육 Vol.2 No.1

        유교에서 교육 또한 가르치고 변화시키는 의미가 있으나 중용 장에서의 교 의 의미는 매우 , 1 ( ) 『 』 敎 간명하고 함축적이다 중용 장에는 천명 을 성 이라고 하고 성을 따르는 것이 도 라고 . 1 ( ) ( ) , ( ) 『 』 天命 性 道 하며 이 도를 닦는 것을 교 라고 하였다 요약하면 천명을 따르도록 닦는 것이 바로 교 라는 것 , ( ) . , ( ) 敎 敎 이다 그러니까 중용 장에서의 교 의 의미는 바로 수 와 일맥상통한다 여기서 교 의 의미 . 1 ( ) ( ) . ( ) 『 』 敎 修 敎 는 소위 천자문 이나 논어 와 같은 경전을 가르친다든지 지식 전달을 말하는 것이 아니 『 』 『』 ( ) 千字文 다 세상의 이치와 사람의 도리 등을 깨치고 수양하는 의미이다 수양은 자기 변화를 말한다 교 의 . . . ( ) 敎 내면적 확충이 바로 수양이 되는 것이며 타인에 대한 수양의 가르침이 바로 교육이 되는 것이다 이처 , . 럼 최소한 중용 장에서는 수양과 교육은 동의어이다 나에게 향하면 수양이 되는 것이고 타인에 『 』 1 . , 게 향하면 교육이 되는 것이다 이것이 중요한 이유는 교육이 전정한 의미에 대한 재고의 여지 때문이 . 다 오늘날 교육에 대한 보편적 정의는 지식이나 기술의 전달이다 그러나 중용 에서는 다른 사람이 . . 『 』 수양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교육이라고 하였다 지식이나 기술 전달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본인의 천 . 명을 스스로 깨닫도록 도와주어서 누구나 깨쳐서 행복하게 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로 교육의 본연 의 역할임을 강조하였다. In Confucianism, education is also meaningful in teaching and changing, but the meaning of education in Chapter 1 of “Jungyong” is very concise and implicit. In Chapter 1 of “Jungyong”, “Cheonmyeong( )” is called “Sung( )”, and it is 天命 性 called “Do( )” to follow “Sung”, and it is called “Gyo( )” to cultivate this 道 敎 “Do”. In short, it is education(Gyo) that is practiced to follow the “Mandate of Heaven(Cheonmyeong)”. Therefore, the meaning of education in Chapter 1 of “Jungyong” is in line with “Su( )”. Here, the meaning of education does not 修 mean knowledge transfer or teaching scriptures such as the so-called “Cheonja” or “Analects”. It means enlightening and cultivating the principles of the world. Discipline is self-change. The inner expansion of an education is to be cultivated, and the teaching of cultivation to others is to be an education. As such, at least in Chapter 1 of “Jungyong”, discipline and education are synonymous. If one goes to oneself, it becomes a discipline, and if one goes to others, it becomes an education. The reason why this is important is that we can reconsider the true meaning of education. The universal definition of education today is the transfer of knowledge or skills. However, in “Jungyong”, it was said that education is to help others cultivate them. It is not important to convey knowledge or skills, but to help them realize their own “Mandate of Heaven(Cheonmyeong)”so that anyone can wake up and live happily.

      • KCI등재

        NCS 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공업계 특성화 고등학교 교원의 관심수준과 실행여건정비에 대한 인식 분석

        여상운(Yeo Sang Woon),민용성(Min Yong seong),박창언(Park Chang 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8

        본 연구는 공업계 특성화 고등학교에서 NCS 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교원의 관심 수준과 실행여건정비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것이다. 이러한 인식조사 결과는 현재 개정 중인 교육과정에 제시된 NCS 관련 사항의 교육현장 적용 안착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이 연구를 위해 D지역의 공업계 특성화 고등 학교 교원을 대상으로 교원의 관심수준과 실행여건정비와 관련된 조사를 실시하였 다. 그 결과 특성화 고등학교 공업계열 고등학교 교사의 수준은 NCS 자율화를 도입 하고 준비하는 과정에서 보이는 관심 수준에 있었다. 그리고 실행여건의 정비와 관 련된 인식에서도 마찬가지로 탐색 수준에 머물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관심 수준 에서는 현장 교원이 참여할 수 있는 NCS 논의의 장 마련, 교사가 필요로 하는 구체 적 정보의 제공, 국가 교육과정 개발과정에서의 NCS 내용에 대한 공개와 연수의 대 응성 강화가 요구되었다. 실행여건의 정비와 관련해서는 NCS 기반 교육과정의 편 성․운영 모형의 제시, 교원에게 다양한 프로그램의 제공, 학과별 관심수준과 실행 여건 정비의 인식 차이에 따른 차별화된 대응 방안 마련이 필요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tage of concern, level of use, and the innovation configuration of specialized subjects teachers of industrial specialized high schools regarding NCS-based curriculum.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delivered through online to specialized subjects teachers who works for a industrial specialized high schools in the D city. 130 data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by using SPSS(18.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Most of the specialized subjects teachers don’t have a interest of the NCS-based curriculum, showing a low stage of concerns. That means it needs much participation of teachers in public forum, workshop, in-service training programs and so on. Their implementation level of the NCS-based curriculum is also low, implying that the government needs to provide the model for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about NCS-based curriculum and various educational materials etc.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