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착용형 전자 점자 기기의 점자 출력 인터페이스

        홍정기(Jeong-ki Hong),김성연(Seongyeon Kim),김태현(Taehyeon Kim),엄정훈(Junghoon Eom),남춘성(Choonsung Nam),조광수(Kwangsu Cho)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정보화 사회, 디지털 사회로 넘어오면서 정보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동시에 정보를 습득하기 위한 기술이 발달하였다. 일반인들은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전자 기기를 사용하여 정보를 쉽게 획득하는 반면 시각장애인은 여전히 정보의 사각지대에 머물러 있다. 이러한 정보의 비대칭 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가 가능한 착용형 전자 점자 기기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흐름 속에서 착용형 전자 점자 기기가 차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형태에 대해 제시하고 있다. 특히 한글 점자의 특성에 맞추어 점자를 초성, 중성, 종성으로 구별하여 제시하는 인터페이스와 이를 검증할 수 있는 실험 설계를 제안한다. Since we are living in information-oriented society, also so-called as digital society, the importance of obtaining information is greater than any times, and thus the technology for acquisition of information has been improved rapidly. However, blind people are still limited to take those advantages. To solve this issues, many researchers are focusing on developing wearable electronic braille device.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nterface device for Korean braille. The interface we propose has advantage of using multi braille cells with representing first, middle, bottom components of Korean braille to increase read efficiency for blind people. Our experimental subject test validates the efficacy of the proposed interf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