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유한양행 사례를 통한 사회적 책임정신에 관한 연구: SPICE 모형을 중심으로
엄재근 한국사회적질학회 2018 사회적질연구 Vol.2 No.1
본 논문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사회적 질(Social quality)이 높은 국가일수록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의식이 높다. 현재 한국의 기업들이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ty)에 대해서 많은 관심을 갖고 실천하고 있다. 한국의 기업생태계가 사회적 책임을 요구하고 이러한 사회적 책임을 통하여 기업생태계가 더 풍요롭고 건강해지고 있는 것이다. 한국 기업 중에서 사회적 책임에 대한 관심을 갖고 실천하고 있는 대표적 기업 중 하나인 유한양행 사례를 SPICE(Society, Partner, Investor, Customer, Employee) 모형에 기초해서 분석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 유한양행 사례를 통하여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갖고, 기업생태계적 접근을 하면 사회 속에서 경영성과를 이루고 각 구성원들도 건강하고 풍요로울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This paper discusses social responsibility of corporates. The higher the social quality, the higher is the consciousness corporates have about social responsibility. Currently, Korean companies are paying close attention to 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ty). Korea's corporate ecosystem demands social responsibility,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makes the corporate ecosystem more abundant and healthier. Based on SPICE (Society, Partner, Investor, Customer, Employee) model, this paper analyzes the case of Yuhan, one of the representative companies that are interested in social responsibility. Through the case of Yuhan, this paper shows that companies have social responsibility and the corporate ecosystem approach can achieve business performance in society and each member of the corporate ecosystem can be healthy and abundant.
역사를 통해 본 사회지도층의 사회적 책임정신 : 한국의 노블리스 오블리주 사례를 중심으로
엄재근 한국사회적질학회 2017 사회적질연구 Vol.1 No.1
본 논문은 한국형 노블리스 오블리주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Social quality가 높은 국가일수록 노블리스 오블리주 정신이 발달된 곳이다. 현재 한국 사회에서 한국 사회지도층에게 대표할 수 있는 노블리스 오블리주 정신이 없는 것이 문제이다. 노블리스 오블리주가 마치 서양에서 생겨나고 발달된 것으로 보이지만 오천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한국의 역사에서 노블리스 오블리주 정신이 없었다면 이미 이민족의 역사에 흡수되었을 것이다. 한국의 역사를 살펴보면, 신라의 천년 왕국과 국제 무역국가를 이룬 고려시대와 조선 오백년의 역사 속에서 한국형 노블리스 오블리주 정신이 살아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신라의 화랑정신, 고려의 귀족정신, 조선의 선비정신을 대표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이를 통해서 한국형 노블리스 오블리주 정신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사례들이 개발되어서 한국 사회의 계층별 위화감이 사라지고 다른 국가들이 부러워하고 배우고 싶어할 노블리스 오블리주 정신이 자리잡기를 바란다. This paper explains the Korean Noblesse Oblige spirit. The higher the social quality, the more requirement the Noblesse Oblige spirit. It is a problem that there is not the spirit of the Noblesse Oblige that can represent Korean society. Although the Noblesse Oblige seems to have originated and developed in the Western culture, we can find out the Korean Noblesse Oblige spirit in the Korean history. The spirits of Korean-type Noblesse Oblige were in the Goryeo Dynasty and the Chosun Dynasty, even in the millennial kingdom of Silla. Through this paper, the study of the Korean-type Noblesse Oblige spirit will be developed. And the related study will be continued so that the Korean social quality will be improved. I hope the spirit of the Korean-type Noblesse Oblige will be expanded in the Korean society.
기업 안전문화 수준평가에 관한 연구 -화학물질 취급 사업장 사례를 중심으로-
엄재근,조규선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3 경영컨설팅연구 Vol.2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safety culture elements necessary to assess the safety culture of chemical handling workplaces in the manufacturing field, and to evaluate and improve safety culture at each business site by utilizing evaluation indicators for effective evaluation of safety culture elements. In this paper, for the purpose of measuring and comparing the level of safety culture among companies, safety as the five indicators of safety value, safety communication, accident management, safety devices and facilities, and safety participation are indicators for evaluating the safety culture level of companies that reflect the core characteristics of safety management. Culture assessment items were organized. In addition,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corporate safety culture assessment index was confirmed by measuring and analyzing the level of safety culture through an online survey that divided employees and managers targeting the chemical-related companies. Through this, the company site safety culture evaluation index for corporate safety culture assessment and improvement was presented, and the direction for improving the company site safety culture derived through the company site safety culture assessment result was presented. Accordingly, it can be helpful to reduce safety accidents through the formation of safety culture in the workplace in practice, and it is judged that it will be valuable for research on the assessment of safety culture level academically.
ser-M 모형 분석을 이용한 기업가정신에 관한 연구: 국내 9개 기업의 창업주 사례를 중심으로
엄재근,조규연,탁진규 한국경영교육학회 2017 경영교육연구 Vol.32 No.6
[Purpose]This study is a study on entrepreneurship through analysis of ser-M model, and analyzes it as a convergent and comprehensive strategy from the simple tool. [Methodology]This paper analyzed 9 companies with the ser-M model by subject, environment, resource, and mechanism. This is a recently attempted research method. We tried to analyze it as the success factors of companies with a complex and cooperative research method [Findings]It is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ser-M strategy about nine companies that have led or led Korea. Successful companies have showed that the spirit of the founder has been established and grown by the subject-oriented mechanism and the unique mechanism possessed by the company itself. [Implications]It is possible to find out that the mechanism is created by the entrepreneurship, and the success is created by classifying the factors into subject, environment, and resource rather than a fragmentary viewpoint on the entrepreneurship itself. [연구목적]본 연구는 ser-M 모형 분석을 통한 기업가정신에 대한 연구로서 기존의 단편적 분석의 틀에서 벗어나 기업가정신을 복합적, 포괄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연구방법]9개 기업에 대해 ser-M 모형을 가지고 주체, 환경, 자원, 메커니즘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는 최근 시도되고 있는 연구방법으로서 기존의 기업가정신에 대한 단편적 분석에서 벗어나 복합적, 통섭적 연구방법으로 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결과]한국을 이끌어 왔거나 이끌고 있는 9개 기업을 중심으로 ser-M 전략 차원에서 분석할 수 있었다. 성공하는 기업은 기업가정신을 중심으로 기업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메커니즘으로 회사가 창업, 성장되었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연구의 시사점]창업주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기업가정신을 단편적인 관점이 아니라 기업성과 요인들을 주체, 환경, 자원으로 분류하여 메커니즘의 구성 내용을 살피고 이를 통하여 기업의 성장 전략을 발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