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양현모,김화수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2021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6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어휘향상을 위하여 관심 및 흥미를 느낄 수 있는 중재 도구를 분석하여 향 후 다양한 중재 도구를 만들기 위한 목적이 있다. 분석대상으로는 국내 논문 4편을 선정하여 수용어휘향상, 표현어휘향상 그리고 직업적 어휘향상을 분석하였다. 수용어휘향상과 표현어휘향상에 관한 연구는 2편, 수 용어휘향상에 관한 연구는 1편, 직업적 어휘향상에 관한 연구 1편으로 선정하였으며, 관심 및 흥미를 느낄 수 있는 중재 방법으로는 집착물을 사용하거나, 퍼즐, 카드 그리고 미디어 광고를 이용한 마인드맵을 이용 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에 수용어휘가 크게 향상되었으며, 표현어휘의 경우 수용어휘만큼은 아니지만, 긍정 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직업적 어휘향상에 경우에도 기초선과 비교해서 향상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어휘 향상에 관심 및 흥미를 느낄 수 있는 중재 도구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대북정책 결정과정의 정책네트워크 분석 -개성공단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양현모,강동완 평화문제연구소 2009 통일문제연구 Vol.21 No.1
A variety of policy actors are participating in making a policy toward North Korea, and what 1S called policy network phenomenon, the complex interaction among policy actors, is being detected. Recently while the paradigm of administration is undergoing change from the concept of government to that of governance, a network of various policy actors is notably detected in the process of making the policy against North Korea which was considered an exclusive area of a certain Ministry. This study aimed at identifying the causes and state of conflicts among policy actors involving in South Korea``s North Korea policy using the policy network model, on the premise that the effect of the policy toward North Korea and unification w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policy goal, position, and pattern of interaction of several actors participating in making the policy toward North Korea, and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network formed by the policy actors. The scale of the policy toward North Korea 1S quite wide, and lots of policy actors interact. Therefore,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analyze the policy network of all of the policy actors. This study selected the case of Gaeseong Industrial Complex Project, with focus on an analysis on the policy network of central administration agencies. That is, the study focused on identifying the cause and state of cooperation or conflicts among policy actors by analyzing the features and content of interaction of policy actors participating m Gaeseong Industrial Complex project, and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network formed by the policy actors.
양현모,이인수,김경용 한국웰니스학회 2022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7 No.2
This study was star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n out-of-hospital cardiac arrest(OHCA) response system by analyzing the by day, by day of week, and by hour changes of OHCA patients in Korea.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patients with OHCA that occurred in 16 regions for 6 years from January 1, 2013 to December 31, 2018, and were transferred to a medical institution through 119 paramedics. The daily incidence of OHCA is increasing year by year, showing a pattern of increasing in winter and decreasing in summer. Monday showed the highest incidence and Wednesday showed the lowest frequency. And it was highest in December and January and showed the highest occurrence from 6 am to 3 pm. Through this study, it is thought that it will be helpful to inform the pattern of OHCA and to suggest policy changes to improve the emergency medical system according to the analysi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본 연구는 국내 병원 전 심정지 환자의 일별, 요일별, 시간별 변화를 분석하여 병원 전 심정지 대응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13년 1월 1일부터 2018년 12월 31일까지 6년간 16개 지역에서 발생한 병원 전 심정지 환자로 119명의 구급대원을 통해 의료기관으로 이송되었다. 병원 전 심정지의 1일 발생빈도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겨울에 증가하고 여름에 감소하는 패턴을 보이고 있다. 월요일이 가장 높은 발병률을 보였고 수요일이 가장 낮은 빈도를 보였다. 그리고 12월과 1월에 가장 높았고 오전 6시부터 오후 3시까지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 병원 전 심정지의 패턴을 알리고 응급의료체계 개선을 위한 정책적 변화를 제안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양현모,김상수,Yang, Hyun-Mo,Kim, Sang-Soo 대한기계학회 2000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24 No.4
A pilot-scale Spray Drying Sorber (SDS) system was set up to evaluate the effect of spray characteristics on the desulfurization yield. The size distribution and the Sauter Mean Diameters of slurry droplets were measured in advance using the optical size measurement system, Malvern 2600. The desulfurization yield of the drying chamber by size was measured for the conditions of inlet gas and spray injection. As a reagent, 10% limestone slurry of $Ca(OH)_2$ was treated with flue gas containing $SO_2$, and the combustion gas analyzer and gas detectors were attached to measure the $SO_2$ concentration. With a flow rate of 144 Nm3/h and a temperature range of $200{\sim}300^{\circ}C$, the experiments were performed for the Stoichiometric Ratio (SR) of 1.0 to 3.0 and droplet mean diameter of 6.5 to $34.3{\mu}m$. In case of smaller spray droplets, the desulfurization efficiency improved due to the increase of total droplet surface area, while the reduction in evaporation time reduced the contact time between the droplets and $SO_2$ gas. In some typical region of droplet diameter, this negative effect, reduction of contact time, became dominant and the desulfurization yield decreases the desulfurization yield in spite of the expansion in absorption area. These results revealed that there exists the optimal size of spray droplets for a given state, which is determined by the compromise between the total surface area of slurry droplets and the evaporation time of droplets. The measurements also indicated that the inlet temperature of flue gas changes the optimal injection condition by varying the driving force for evaporation. The results confirm that the effect of the evaporation time of slurry droplets should be considered in analyzing the desulfurization yield as well as the total surface area, for it is a significant aspect of the correlation with the capabilities of $SO_2$ absorption in wet droplets. In conclusion, the optimal condition of spray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se results, which might be applied to design or scale-up of SDS system.
양현모,김화수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2022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6
본 연구는 지적장애의 작업기억과 언어이해에 관한 선행연구를 조사하여 언어이해의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 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지적장애는 초기 언어발달이 느리고 추상적인 개념이나 추론능력, 논리력 등의 상 위인지능력이 결손으로 인해서 지식의 논리적인 조직화와 일반화를 어려워하며, 단기기억과 작업기억이 부 족한 것과 관련이 있다. 작업기억은 어휘, 문장학습, 문해력 및 언어능력과 깊은 관련이 있다는 선행연구들 이 있다. 따라서 작업기억능력이나 작업기억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능력은 말과 언어발달을 예측하는 주 요한 변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구 방법은 2017년 이후 지적장애의 작업기억 또는 언어이해와 관련된 논문을 19편 선정하였다. 연도별로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지적장애와 작업기억, 지적장애와 언어이해 그리 고 지적장애의 작업기억과 언어이해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지적장애와 관련된 연구는 2021년 을 제외하면 꾸준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중 지적장애와 작업기억 연구는 4편, 지적장애와 언어이해 연 구는 13편으로 구별할 수 있었으며 지적장애의 작업기억과 언어이해 연구가 2편 있었다.
서울 공평구역 제15ㆍ16지구 나지역 유적 발굴조사 현황과 성과 -유적 내 출토 금속유물과 건물지를 중심으로-
양현모 백산학회 2022 白山學報 Vol.- No.123
The excavation survey of 15-16 districts in Gongpyeong-gu, Seoul, identified cultural traces from the early to the late Joseon Dynasty and Metallic artifacts were excavated. This Relic Site correspond to Gyeonpyeongbang in the central part of the Joseon Dynasty where government offices, royal palaces and commercial facilities are located.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the relic, in particular, many metal artifacts such as metal type, which were only identified as records, were excavated in the cultural layer(16th century), the early Joseon Dynasty. Judging from the fence stone columns and drainage channels that can distinguish the boundary, the building remains where this metal artifact was excavated has an area of about 505㎡ of square land. There are a total of four building remains built within the site. This building remains are divided into two main buildings and two auxiliary buildings. Considering the housing construction regulations of the early Joseon Dynasty, it would have been owned by the class equivalent to 7 to 9 grade of the Joseon Dynasty's Poemgye(degree of official rank) rather than Seo-in group(庶人). The relics identified by this excavation survey will be important data for grasping the social status of Gyeonpyeongbang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n addition, metal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16th century were intentionally buried. The meaning of this artifact can be clarified more clearly through future research. ‘서울 공평구역 제15ㆍ16지구 도시환경정비사업부지(나지역) 내 유적’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인사동 110번지 일원에 위치하고, 조사결과 근대에서 조선 초기에 이르는 문화층에서 다수의유구와 유물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조선전기의 금속활자, 일성정시의, 주전 등의 금속유물이 출토되었다. 이 유적은 조선시대 중부 견평방에 해당하는 곳이며 주변으로 의금부와 전의감 등의 관청을비롯하여 순화궁, 죽동궁 등의 왕실 궁가와 상업시설인 시전행랑 등이 위치한 한양도성의 중심지이다. 중부 견편방에 관한 기록은 『漢陽都城圖』와 『首善總圖』 등의 고지도와 『朝鮮王朝實錄』, 『新 增東國輿地勝覽』, 『東國輿地志』, 『日省錄』 등의 문헌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번 유적에 대한 조사결과, 모두 7개의 문화층에서 다수의 건물지를 비롯한 공동 우물 및 옛도로 등의 유구가 조사되었으며, 유물은 백자와 청화백자, 기와편, 외산자기편, 유리병 등이 출토되었다. 특히 조선시대 전기인 Ⅶ문화층(16세기)에서는 기록으로만 확인되던 한글과 한자의 금속활자, 일성정시의, 주전 등의 금속유물이 출토되어 주목된다. 이 금속유물이 출토된 건물지는 대지경계를 구분할 수 있는 담장석렬과 배수로 등을 기준으로 판단하였을 때, 방형의 대지에 면적은약 505㎡ 정도이다. 대지 내에 조성된 건물지는 총 4채이며, 본채 2동(건물지13ㆍ15), 부속채2동(건물지14ㆍ15-1)으로 구분되고, 본채 2동이 병렬로 배치된 것이 특징이고, 조선 전기 가대분급과 가사규제 등을 고려해보면 서인보다는 조선시대 품계의 7∼9품에 해당하는 규모로 판단된다. 이번 발굴조사로 확인된 유구와 유물 등을 통하여 당시 조사지역의 문화층별 특징을 유추해볼 수 있는 자료를 확보할 수 있었으며, 이는 견평방 일대의 사회상을 파악하는데 주요한 자료가될 것이다. 또한 Ⅶ문화층에서 출토된 금속유물 일괄은 의도적으로 절단되어 매납된 퇴장유물에해당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해당 유물이 출토된 건물지의 명확한 규모와 용도 파악 등 향후 유기적연구를 통하여 유물의 성격을 좀 더 명확히 규명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