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다중 스레드 모델을 위한 비평가인자 함수 프로그램의 전역 스레드 분할 알고리즘

        梁昌模 淸州敎育大學校 2000 論文集 Vol.37 No.-

        지역 스레드 분할 알고리즘은 상시 종속에 위배되지 않는다면 모든 입력이 출력에 간접 종속된다고 가정하기 때문에 스레드 분할의 한계를 갖는다. 만일 전역 분석을 통하여 실인자와 형식인자간의 관계, 기본 블럭의 결과와 결과를 사용하는 노드의 관계에 관한 정보를 얻어낼 수 있다면 좀 더 나은 스레드의 분할을 얻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참여 집합과 분리 집합을 기본 블록사이로 전파함으로써 기본 블럭의 스레드 분할을 향상시키는 전역 분할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Local partitioning algorithms consider only intra-block dependencies. Because local partitioning algorithms assume that every input names are indirectly dependent on every output names unless contradicted by certain dependences, they have limitations on their ability to generate the maximal threads. If the information on the relation between the interfaces of basic blocks is provided, we can get the better thread parti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Global Thread Partitioning algorithm that improves thread partitioning through participation set and separation set propagation across the basic blocks.

      • 비평가인자 함수 언어의 설계와 데이터플로우 그래프의 생성

        梁昌模 淸州敎育大學校 1999 論文集 Vol.36 No.-

        Non-strict functional languages provide implicit parallelism, flexibility and expressiveness to programers, but are not widely used because of their unfamiliar syntax and semantics. In this paper, we design a non-strict functional language called NFL, that has familiar syntax to programmers and define the denotational semantics of kl, kernel language translated from NFL. And we define dataflow graphs used as an intermediate form and describe the way how each syntactic construct of kl is translated into dataflow graph

      • 실시간 언어의 정의와 실시간 대수로의 변환

        梁昌模 청주교육대학교 2001 論文集 Vol.38 No.-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언어의 기본적인 요구사항인 시간제약과 예외처리를 포함하고, 비결정적인 요구에 응답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스케줄 가능성 분석이 가능한 실시간 언어를 정의한다. 또한 실시간 언어를 번역할 대 가장 중요한 분석중 하나인 스케줄 가능성 분석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정의된 실시간 언어를 실시간 대수로 변환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러한 언어를 실시간 프로그램을 작성하면 실시간 시스템의 동작을 예측할 수 있고 신뢰성을 갖는 실시간 시스템의 설계가 가능할 것이다.

      • KCI등재
      • 다중스레드 코드 생성을 위한 배열 지역화

        양창모,유원희,Yang, Chang-Mo,Yu, Won-Hui 한국정보처리학회 1996 정보처리논문지 Vol.3 No.6

        In recent researches on thread partitioning algorithms break a thread at the long latency operation and merge threads to get the longer threads under the given constraints. Due to this limitation, even a program with little parallelism is partitioned into small-sized threads and context-swithings occur frequently. In the paper, we propose another method array localization about the array name, dependence distance(the difference of accessed element index from loop index), and the element usage that indicates whether element is used or defined. Using this information we can allocate array elements to the node where the corresponding loop activation is executed. By array localization, remote accesses to array elements can be replaced with local accesses to localized array elements. As a resuit,the boundaries of some threads are removed, programs can be partitioned into the larger threads and the number of context switchings reduced. 지금까지 다중스레드 모델을 위한 다중스레드 코드의 생성 및 스레드 분할에 대 하여 이루어진 연구는 실행시간을 번역시간에 예측할 수 없는 연산을 경계로 삼아 스 레드를 분할하고, 스레드의 길이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주어진 제약조건내에서 스레드 를 병합하는 것이다. 이러한 정책으로 인하여 병렬성이 적은 프로그램이라 하여도 원 격자료 접근이 많으면 스레드의 길이가 짧아지고 그에 따라 문맥전환이 늘어나기 때 문에 시스템에 부담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스레드의 길이를 늘이고, 메세지 전송횟 수를 감소시키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 프로그램의 루프에서 접근되는 배열의 첨자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루프 액티베이션에서 참조되는 배열의 원소를 해당 루프 액 티베이션이 수행되는 노드에 분산 저장하는 배열의 지역화방안을 제안한다. 배열을 지역화하기 위하여 먼저 루프 액티베이션에서 접근되는 배열의 이름, 루프 첨자와 접 근되는 배열원소의 첨자간의 차이인 종속거리 그리고 배열원소의 용도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한 원소 접근 형태 분석을 수행한다. 원소 접근 형태 분석으로 부터 얻어진 정보를 이용하여 가능한한 지역 기억장치에서 필요한 배열의 원소를 읽어올 수 있도 록 배열 원소에 접근하는 루프 액티베이션이 수행되는 처리기 모임의 지역 기억장치 에 배열원소를 저장하는 배열 지역화를 수행한다. 실험결과, 배열을 지역화함으로써 다른 처리기 모임의 지역 기억장치로부터 배열의 원소를 읽어오기 위한 원격자료 접 근을 지역자료 접근으로 대치함으로써 원격접근의 수가 줄어든다. 이로 인하여 스레 드의 길이가 증가하며, 원격접근 횟수 및 문맥 전환의 수가 줄어들어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꾀할 수 있었다.

      • 웹 기반 원격 문제 은행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梁昌模 淸州敎育大學校 敎育大學院 2000 論文集 Vol.2 No.-

        웹 기반 학습은 교수-학습 활동에 있어서 여러 가지 유용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웹 기반 학습의 장점중 하나인 수준별 학습을 위해서는 학습자의 수준을 판단할 수 있는 방법과 학습자의 수준에 따른 웹을 기반으로 하는 평가 방법이 필요하다. 근래 많이 개발되고 있는 웹 기반 원격 문제 은행 시스템이란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평가 문제, 학습자, 교사 등을 저장하고, 저장된 평가 문제를 클라이언트의 학습자에게 제공하여 학습자가 대화식으로 주어진 문제의 답을 서버에 전달하면 서버가 클라이언트로부터의 답을 채점하여 그 결과를 학습자에게 전달하는 시스템이다. 웹 기반원격 문제 은행 시스템은 기존의 상호작용성과 유지보수의 문제점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웹 기반 원격 문제 은행 시스템의 상호작요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인 위하여 웹 기반 원격 문제 은행 시스템 WEBROPRO를 설계 구현하였다.

      • 모바일용 멀티미디어 재생기의 설계 및 구현

        양창모,박성주,이석필 대한전기학회 2008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8 No.10

        최근 네트워크 및 무선통신기술과 멀티미디어 서비스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모바일용 멀티미디어 재생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단말은 소형으로 휴대하기 편리하고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영상 및 음향을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용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효율적으로 설계하고 구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모바일용 멀티미디어 재생기의 하드웨어는 다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처리와 이를 실제로 비디오, 오디오,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모바일용 멀티미디어 재생기의 소프트웨어인 통합 미디어 재생기는 확장성을 갖는 구조와 플랫폼 독립성을 지향하도록 설계되었으며, 다양한 형태로 입력되는 멀티미디어의 복호 및 디스플레이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 KCI등재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양창모 한국정보교육학회 2014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8 No.2

        본 연구에서는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의 효과에 관한 국내 논문을 메타분석하여 프로그래밍 교육의 효과를 분석한다. 프로그래밍 교육의 효과에 관한 논문 가운데 메타분석이 가능한 논문 70 편의 101개 연구를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한 결과 평균 효과크기는 0.641로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인지적 영역의 학습 효과를 위한 연구와 정의적 영역의 학습 효과를 위한 연구의 평균 효과크기는 각각 0.632, 0.666 이었다. 실험 대상의 학령, 실험 차시, 사용 언어의 중재변인별 평균 효과크기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 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프로그래밍 교육을 받은 실험집단은 프로그래밍 교육을 받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약 23.9%의 긍정적인 효과의 향상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gramming education using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s. We select 70 papers which contain 101 individual experimental studies we can estimate the effect size from. The average effect size of the studies is .641, which means that programming education has modest effects on the learners. The average effect size of the learners’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are 0.632 and 0.666, respectively. The average effect size by the controlled variables such as school level, experimental periods, and programming languages hav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results of our study show that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ing programming education, can be expected perform about 23.9% better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aving received no programming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