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어학 : 형식의미론의 국어 시간요소 의미 분석 검토

        양정석 ( Jeong Seok Yang ) 배달말학회 2015 배달말 Vol.56 No.-

        양정석(2002, 2004, 2008a, 2012)에서 논한 국어의 형태통사론적 사실을 기본 인식으로 시간요소들의 의미 기술을 시도한 형식의미론적 연구들을 검토해 보았다. ‘-었-’의 범주적 성격에 대한 판단이 시제 체계의 유무에 대한 판단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보고, 이를 단일한 시제 요소로 간주하는 견해와 중의적 요소로 간주하는 견해로 나누어 그 형식의미론적 의미 규정의 실례들을 비판하였다. ‘-었-’의 중의성에 기반한 이론들은 궁극적으로 공통된 의미를 가지는 두 요소가 상보적으로 분포할 때 결국 하나의 단위로 증명된다는, 상보성 원리에 의한 해석과 관련한 문제점을 피할 수 없다. 단일한 ‘-었-’에 기반한 시제 가설의 견해들은 이것이 시간적 선후관계 의미와 함께 완결상의 의미를 가진다는 점을 설명할 수 없다. ‘-었-’의 완결상 의미는 중국어를 비롯한 무시제 언어들에서 그러한 것처럼 시간적 선후관계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무시제 언어의 완결상 의미 기술을 ‘-었-’ 의미 기술에 원용하고, 이 외의 시간적 선후관계 해석을 도출하는 구문들, ‘-었었-’ 문장, 중화상 ‘Ф’의 문장, 명제태도 동사 구문, 시간 부가어 구문의 형식의미론적 의미 기술 방법을 제안하였다. It was argued in Yang(2008a) that, contrary to the previous mainstream view on Korean language as a tensed language, it is a tenseless language, and that the so-called ‘tense morphemes’ are in fact aspect and mood morphemes. Based on the morphosyntactic facts discussed in Yang(2008a), and on the temporal interpretations of Korean complex sentences in Yang(2008b), recent approaches to the description of the temporal precedence relations in Korean are critically examined, with special attention to ‘-ess-’, which is a key temporal element to decide between tensed or tenseless nature about Korean language. Approaches depending on the ambiguity of the meaning of ‘-ess-’ eventually fall prey to the complementarity argument, i.e., two supposedly distinctive morphemes, ‘-ess-1’ and ‘-ess-2’ are in complementary distribution in Korean morphosyntactic structures, and they have a certain common meaning, so they are the one and the same morpheme. Approaches depending on the assumption that ‘-ess-’ is just a tense marker maintain the semantic representation containing precedence relation, but they can not ultimately capture the perfect meaning which ‘-ess-’ has as its essential component. In this paper, I propose a temporal interpretation system based on aspect morphemes which contain temporal precedence relations in their formal semantic descriptions.

      • KCI등재
      • KCI등재

        산업안전보건법 상 관리수준 검토를 위한 화학물질 유해성,위험성 평가대상 후보물질 선정에 관한 연구

        양정선 ( Jeong Sun Yang ),임철홍 ( Cheol Hong Lim ),박상용 ( Sang Young Park ) 한국산업위생학회 2012 한국산업보건학회지 Vol.22 No.1

        Obje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list of priority chemicals for the Hazard & Risk Evaluation of Chemicals (HREC) controlled by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 (ISHA). Method: Method: Screening assessment was done for 642 chemicals whose exposure threshold limit values were set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MOEL). Hazard data were collected from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KOSHA) and/or other toxicity database. Exposure data were obtained from KOSHA internal database. The hazard and exposure scores of chemicals were listed by order of priority in accordance with GHS classification and exposure index data. Result: From the result of screening risk assessment for 642 chemicals, we extracted a list of 13 priority chemicals for HREC performed by the ISHA. A priority list of 27 chemicals which have carcinogen, mutagen and/or reproductive toxicity but not controlled by the ISHA was suggested for additional evaluation as "chemicals for special management".

      • KCI등재

        성형외과 다인스케이프 가 환자만족과 (DINESCAPE) 장기적 관계유지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인 환자를 중심으로-

        양정화 ( Zheng Hua Yang ),김세범 ( Sae Bum Kim ) 한국병원경영학회 2014 병원경영학회지 Vol.19 No.4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DINESCAPE on patient satisfaction and the intention of maintaining long-term relationship for Chinese Patients who received medical services at plastic surgery clinics in South Korea. For an empirical analysis, a total of 250 respondents were surveyed from may 1 to october 20, 2014. Of these, 200 respondents were considered to be reliable for statistical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among the components of DINESCAPE, atmosphere, cleanliness, convenience and accessibility, employees service, and the convenience of using the websites had positive effects on patient satisfaction, which exerte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of maintaining long-term relationship with patients.

      • KCI등재
      • KCI등재

        태국 소비자의 영유아 편의식 구매행태 및 선택속성에 관한 연구

        양정수(Jungsu Yang),홍완수(Wan-Soo H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9 No.2

        태국 소비자의 영유아 편의식 구매행태를 살펴본 결과 영유아 편의식 1회 구매 시에 평균적인 지불 비용은 약 337바트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빈도는 ‘보통 구매한다’, 구매이유는 ‘영양소를 충분히 섭취시키기 위하여’, 편의식 형태는 젤리 형태, 포장단위는 3회 섭취량이 가장 높았다. 또한 유아 편의식 구매 용도별 이용 정도는 식사용> 영양보충용> 간식용> 이동용 순이었다. 선호하는 영유아 편의식 보관방법은 냉장보관(0~5°C)이 가장 많았고, 영유아 편의식을 먹였을 때 영유아 자녀의 식후반응은 ‘잘 먹는 편이다’, 편의식의 주요 구매 장소이자 선호하는 구매 장소는 백화점, 대형할인마트였다. 정보 취득은 TV/라디오 프로그램, 기타 가족/친구/지인 추천, TV/라디오 광고 순이었다. 영유아 편의식 선택 시 중요도는 영양적 가치, 위생, 신선도였고, 만족도는 위생, 영양적 가치, 안전한 포장, 유통기한 표기, 깨끗하고 간편한 표장, 영양성분 표기였다. 중요도-만족도 IPA 분석 결과 소비자가 중요하게 생각하면서 만족도가 높아 유지해야 하는 영역인 Ⅰ사분면에 위생, 영양적 가치, 신선도, 맛, 합리적인 제품의 가격 등이 포함되었다. 선호하는 식재료는 달걀, 민물생선, 닭고기, 돼지고기, 단호박 등이었다. 또한 영양소가 좀 더 풍부했으면 좋겠다, 위생적 제조, 알레르기 표시 잘 보이도록, 유통기한의 명확한 표시, 제품 포장상태 및 용기의 위생, 신뢰 가능한 제품의 질 등이 개발 방향에서 가장 바라는 점으로 조사되었고, 캐릭터 디자인을 활용한 포장유형이 가장 선호되었으며, 재활용 가능한 포장, 유리병, 레토르트, 종이팩 등의 포장유형도 선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태국 소비자가 원하는 식재료와 선호하는 포장 형태 등으로 영유아 편의식을 개발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차후 연구로 태국 소비자의 선호도를 좀 더 세분화시키기 위해 연령대, 직업군별, 거주지역 등에 따라 이유식 선호도를 조사하는 것도 중요하리라 사료된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purchasing behavior and the selection attributes of Thai consumers toward convenience food made for infants. An online survey was done on married Thais over the age of 20 years with infants. Regarding the Thai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for infant convenience food, the mean cost spent for every infant convenience food purchase was approximately 337 baht. ‘Normal’ for purchasing frequency, ‘sufficient nutrient intake’ for the reason of purchase, ‘jelly’ for the food form, and ‘three servings’ for the packaging unit were the most reported items in respective categories. Consumers purchased infant convenience food mostly as a meal, and preferred refrigeration as a storage method. The most suggested places of purchase were department stores and large discount mart. The important attributes for selecting infant convenience food were nutritional value, sanitation, and freshness, while reputation from others, labor-saving, various menus, and timesaving were the satisfaction attributes.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placed factors such as taste, freshness, sanitation, nutritional value, and reasonable product price in the high performance and high importance areas, indicating that these qualities should be maintained. Furthermore, Thai consumers favored packaging using character designs the most. Overall, the development of an infant convenience food that reflects the Thai consumers’ consumption pattern, purchasing behavior, preferred ingredients, and cooking method should be encouraged.

      • KCI등재
      • KCI등재

        간호사의 노인의 성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성교육 요구도

        양정임(Jung-Lim Yang),정미현(Mi-Hyun Jeong)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3

        본 연구는 간호사의 노인의 성에 대한 지식, 태도, 교육 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전라북도의 I, K, J시의 종합병원 2곳과 노인 요양원(병원) 5곳에 근무하는 간호사 235명이었으며 자가보고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2년 12월 1일부터 10일까지 자료 수집을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각 변수는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DUNCAN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성지식 평균점수는 15.91±6.43이고, 결혼(p=.024), 근무지(p<.001), 경력( p=.006), 성교육 필요여부(p<.001), 성교육 수용여부(p<.001)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성태도 평균점수는 38.26±4.41이고 근무지(p=.033), 노인 가족과 동거여부(p=.009), 성교육 필요여부(p<.001), 성교육 수용여부(p<.001)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성교육 요구도의 평균점수는 35.97±6.28이며 연령(p=.023), 노인 가족과 동거여부(p=.014), 성교육 필요여부(p<.001), 성교육 수용여부(p<.001)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간호사의 노인의 성에 대한 성지식은 성태도(p<.001)와 성교육 요구도(p<.001))가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로 학부과정 및 간호사 대상으로 노인의 성에 관한 전반적인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기초로 임상에서 노인들의 건강 사정 및 간호 중재 시 노인의 성에 대해 좀 더 적극적인 간호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nurses sexual knowledge, attitude and sex education needs of the elderly. The participants were 235 nurses who were working at hospitals, geriatric hospitals and nursing homes at I city, K city and J city in Jeollabukdo province.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self questionnaire scale from December 1, 2012 to December 10, 2012. First, the mean score of sexual knowledge was 15.91±6.43.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marital status(p=.024), workplace(p<.001), duration of work experience(p=.006), sex education needs( p<.001), sex education acceptance(p<.001). Second, the mean score of attitude was 38.26±4.41.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workplace(p=.033), living with the elderly(p=.009), sex education needs(p<.001) and sex education acceptance(p<.001). Third, the mean score of sex education needs was 35.97±6.28.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age(p=.023), living with the elderly(p=.014), sex education needs(p<.001) and sex education acceptance(p<.001). Nurses knowledge on the elderlys sexuality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attitude(p<.001) and sex education needs(p<.001). This study indicated that general education on sexuality of the elderly f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and registered nurses is essential. More active nursing care on the elderlys sexuality is required when providing them with health assessment and nursing interventions.

      • KCI등재

        조선 초기 원경왕후 喪葬禮 의식과 그 특징

        양정현(Yang, Jung-hyun) 한국역사민속학회 2014 역사민속학 Vol.0 No.45

        본 연구는 조선 초기 凶禮의 정비 과정이라는 연속선상에서 원경왕후 국상을 하나의 기점으로 파악하고 그 특징을 喪制의 변화 및 의식 절차의 분석을 통해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세종 2년 발생한 태종 妃 원경왕후의 국상은 조선에서 국왕이 喪主가 되어 진행하는 三年喪의 의식 절차가 정비되어, 그 의주가 실록에 기재된 최초의 사례였다. 국상 복제 논의에서는 기존에 행해오던 역월제를 탈피하여 졸곡의 의미가 강조되었다. 기존의 도감 운영 체계를 정리하여 빈전·국장·산릉 3도감만을 운영하게 되었으며, 불교 관련 의례는 대폭 축소·규제되게 되었다. 삼년상기간 동안 국왕의 친행을 고려한 의식 절차도 새롭게 정비되었다. 의식의 기본 패턴은 拜禮·哭-行禮-拜禮·哭로 이루어졌는데 虞祭를 기점으로 奠과 祭로 구분되었다. 이는 태종대 길례 의식의 정비가 이루어진 바탕에서 古制에 기반한 ‘奠’과 祭’의 이해가 반영된 결과였다. 그리고 이러한 패턴을 기준으로 개별 의식 절차의 분석을 행하였다. 이를 통해 원경왕후 국상에서 국왕이 친행하는 실질적인 삼년상 실행을 위한 상장 제도 및 의식 절차의 제정과, 그 바탕이 된 고제의 이해·수용 수준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funeral rites for Queen Wongyeong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as part of a review of the changes in the state funeral system and ceremonial procedures. Conducted by the king in his role as chief mourner, the state funeral for King Taejong’s wife Queen Wongyeong that emerged during the 2nd year of King Sejong marked the first example recorded in the sillok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of the three year-mourning rite being applied. In terms of the clothing for the state funeral, the significance of Jolgok (a rite conducted on the 100th day following the day of death) was emphasized, while the existing yeokwolje (period of wearing mourning clothes, one month was equated with one day) was abandoned. The existing temporary office system for state funerals was reorganized into a three-office system consisting of the Binjeon dogam (Office for Chapel of Rest), Gukjang dogam (Office for Funeral Rites), and Salleung dogam (Office for the Establishment of Royal Tombs). Buddhism-related rites greatly decreased and were increasingly regulated. The ceremonial procedures were also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rites directly conducted by the king during the three-year mourning period. The basic pattern of the ceremonial procedure consisted of kneeling / wailing - salute - kneeling/ wailing, and, based on the wuje (rites to console the deceased), was divided into ‘make offerings to the deceased’ (奠, jeon) and ‘hold a memorial service for the deceased’ (祭, je). This reflected the differing perceptions of jeon (奠) and je (祭) following the establishment of auspicious rites (gillye) during the reign of King Taejong. In short, the state funeral for Queen Wongyeong provides materials with which to analyze the establishment of the funeral rites and ceremonial procedures designed based on the actual three-year mourning period observed by the king, study the ritual ceremonies conducted during the ancient period, as well as foster an understanding of ancient syst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