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타이완 「安寧緩和醫療條例」 법제화의 시사점

        양정연(梁晶淵)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4 江原法學 Vol.43 No.-

        타이완은 2000년 아시아지역에서 가장 먼저 ?安寧緩和醫療條例?를 제정함으로써 환자의 ‘존엄한 죽음’ 선택에 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입법 논의과정에서 호스피스 단체 및 종교, 사회 단체들을 중심으로 환자의 자기결정권과 존엄한 죽음의 권리에 대한 요구가 이어지면서 입법원과 행정원 안이 심의과정을 거쳐 법 제정이 이뤄졌다. 타이완의 ?안녕완화의료조례?제정은 그동안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요구하던 말기환자의 존엄한 죽음에 대한 선택을 환자의 자기결정권으로 인정하고 법적으로 보장한다는 점에서 보편적인 지지를 받고 있다. 조례의 내용을 보면, 환자의 자기결정권과 함께 의료종사자들의 조치를 규정함으로써 의료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자 측과 의료종사자들 간의 갈등을 방지하려는 측면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타이완의 법 제정 과정에서 검토되었던 법안들과 심의과정에서 논의되었던 문제점, 조례 수정이 이뤄진 이유들을 검토함으로써, 국내 관련법 제도화에 대한 방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근대 과학적 세계관의 유입과 불교 세계관의 재조명 - 타이쉬(太虛)의 인생불교를 중심으로

        양정연 한국선학회 2011 한국선학 Vol.29 No.-

        본 논문에서는 타이쉬의 유식사상에 수용된 과학관의 내용을 살펴보고 인생불교의 실천체계 속에서 어떻게 과학관과 불교적 세계관이 융합되어 나타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는 理性 또는 理智 중심의 근대화를 감성을 포괄하는 종합적인 것으로 전개하였다. 그는 인간이 단지 이성만이 아니라 감성의 존재라는 점에서 종합적인 인간완성의 길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가 주장했던 불교개혁의 방향은 바로 이성과 감성의 완성이라는 틀 속에서 전개되었다. 그는 사회적으로 이성의 근대성과 감성의 근대성을 모색하고 인간완성을 추구하는 구체적인 방법으로 과학의 理智를 불교 체계 내부로 끌어들임으로써 인생불교를 체계화시키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scientific view in Tai-xu's Consciousness Only thought and the convergence of scientific view and Buddhist view of the world in the practice system of Human Life Buddhism. He developed comprehensive modernization including 'emotion modernization' from 'reason-oriented' or 'intellect-oriented modernization'. He tried to find a way to perfect human-being completely because human-being is a emotional being as well as a rational being. He advocated the reformation of Chinese Buddhism, which developed in the system of the perfection of reason and emotion. He accepted scientific intellect to accomplish 'reason modernization' and 'emotion modernization' and systemized his Human Life Buddhism.

      • KCI등재

        쫑카빠의 참회론 고찰 - 천태 참법사상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양정연 한국선학회 2009 한국선학 Vol.23 No.-

        참회는 수행자가 이전에 지은 죄를 청정하게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불도수행을 완성할 수 있도록 이끈다. 쫑카빠는 참회와 관련하여 수행자를 청정하게 하는 칠지공양과 멸죄를 위한 대치인 四力의 내용으로 설명한다. 칠지공양의 한 부분으로서 설해지는 참회는 삼사도 이전 단계에서 설명되며 사력은 하사도에서 이뤄진다. 삼사도는 전체적인 불도수행의 체계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하사도의 단계도 결국에는 상사도로 이끌기 위한 단계라는 점에서 참회는 수행의 마지막 단계까지 이뤄져야 하는 것이다. 수행자의 청정행은 바로 별해탈계를 수지하는데 있다. 별해탈계는 수행자 자신을 조율하고 성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대승계의 전제가 된다. 쫑카빠는 계를 범했을 때 다시 청정해질 수 있는 근거를 보리심의 공덕으로 설명한다. 반면 지의는 계를 범했을 때 청정해질 수 있는 논리를 공성에서 찾는다. 이는 쫑카빠에게서 보이는 실천적인 측면과 함께 이론적인 근거로서 제시될 수 있다는 점에서 참회사상을 보다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The confession which eliminates the crimes leads the practitioner to the attainment of Buddha. Tsong kha pa explains the confession by Seven Fold Offerings(七支供養) which makes the practitioner be purified and Four Powers(四力) which are the antidotes for erasing the crimes. The confession which is one of Seven Fold Offerings are explained in the stage of Preliminaries of Three Grades of Persons(三士) and Four Powers are explained in the way of Lower Grade Persons(下士道). The Three Grade of Persons should be understood as the Buddhist practical system and the way of Lower Grade Persons is only one way to reach the stage of the Higher Grade Persons(上士). So the practitioner should confess till attaining the enlightenment The pure practices of practitioner can be maintained when he keeps Prātimokṣa. Prātimokṣa is for self-discipline and the prerequisite for the Bodhisattva's Precepts. Tsong kha pa states that the Bodhisattva's precepts have the quality of correction after committing the crimes because of the merit of Bodhicitta. Zhi-yi(智顗) says that we can be purified of all crimes because of the Emptiness(Śūnyatā). Tsong kha pa's confession can be understood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and Zhiyi's confession can be served as a theoretical point of view. Therefore these thoughts help us understand the confession more systematically.

      • KCI등재

        람림(Lam rim)에서의 죽음 억념과 수행 - 생사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양정연 한국선학회 2012 한국선학 Vol.31 No.-

        본 논문에서는 생사학의 관점을 바탕으로 람림(Lam rim, 道次第)에 나타난 죽음관과 수행 내용을 고찰 하였다. 생사학에서는 죽음을 삶의 한 과정으로 보고 죽음 교육을 통하여 존엄한 죽음을 맞을 수 있다 고 말한다. “죽음을 맞이하는 방식, 죽어 가는 환자를 돌보는 방식, 나아가 삶을 영위하는 방식에 대한 논의와 철학적 성찰이 필요하다”고 말하는 것은 죽음을 육체적 관점만이 아닌 정신적, 영적 관점에서 이해하는 생사학의 태도를 보여준다. 람림의 수행체계는 인간 존재의 가치를 절실하게 일깨워 주는 것에서 시작한다. 쫑카빠는 인간의 삶의 방식을 하사, 중사, 상사 세 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에서 배워야 할 가르침과 의요, 실천의 내용을 체계 적으로 설명한다. 그는 욕망 충족의 삶을 궁극적인 진리의 완성으로 점차 전환시켜야 한다는 점을 강 조한다. 삼사도는 단계에 따른 가르침의 내용이지만, 하사도와 중사도는 상사가 공통으로 수행해야 하 는 단계로서 보리심을 내기 위해 먼저 요구된다. 상사가 자신의 적정을 구하지 않고 중생을 제도하고 자 기꺼이 윤회 세계에 들어가는 것은 이러한 체득을 미리 했기 때문이다. 람림에서는 죽음에 대한 억념을 통하여 “우리는 죽는다”는 사실과 “죽음이 예고없이 우리에게 온다”는 사실을 직시하게 한다. 죽은 뒤에 다시 인간으로 태어난다는 것은 윤회 세계에서 너무나도 희귀한 일 이며 인간은 깨달음을 얻을 수 있는 가장 좋은 조건을 갖고 있기 때문에 바로 지금 수행해야 한다고 말 한다. 람림의 가르침은 범부의 삶을 어떻게 궁극적인 진리의 길, 완성의 길로 이끄는가에 대한 이론과 실천의 가르침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죽음 준비교육을 위한 자료로도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erspective on death and Buddhist practices in Lam rim, the stages on the path to Enlightenment, on the basis of Thanatology. Death is a natural process of life and death education allows us to die with dignity from the viewpoint of Thanatology. The notion that we should discuss and reflect on how to die, how to care for the dying patients, and how to live is connected with the basic attitude to Thanatology which understands death not only from the physical point of view but also from the spiritual point of view. Lam rim makes us realize human values from the first stage. Tsong-kha-pa classified people into three levels according to their aspirations and way of lives. He stressed that our lives should be converted from satisfying our desires to accomplishing the truth. Three levels which are the lower scope, the middle and the higher, show the teachings gradually and the lower and middle scopes are required for the higher to generate Bodhicitta. The higher would not attain the liberation from the sufferings of Samsara only for himself. He would gladly go into Samsara to save all living things because he went through the two lower practices. The meditation on death reminds us that we die and death comes to all of us without notice. It is extremely rare to be born as a human in Samsara and only human has ideal conditions for attaining Enlightenment, so Lam rim encourages us to practise right now. Lam rim offers theory and practices about how to get people to seek the truth and completion and we can use them for death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람림(Lam rim)에 나타난 계율관 고찰 - 신통, 보리심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양정연 대각사상연구원 2012 大覺思想 Vol.17 No.-

        아띠샤(Atīśa, 982-1054)의『菩提道燈』(Byang chub lam gyi rim pa)과 그의 수행체계를 수용한 쫑카빠(Tsong-kha-pa, 1357-1419)의『菩提道次 第』(Lam rim)에서는 선정과정에서 얻을 수 있는 신통이 이타와 직접적 인 관계 속에서 설명된다. 초기경전에서 붓다는 신통에 대해 경계의 태 도를 취하지만 대승경론에서는 중생구제의 측면에서 오히려 신통이 권장 된다. 계가 수행의 근본이라는 점을 고려해볼 때, 대승계를 신통과 보리 심과의 관련성에서 고찰해볼 필요가 있다. 쫑카빠의 계율관은 두 가지 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다. 첫째, 대승보살 계가 수승한 이유는 意樂의 관점에서 願心의 수승함이 있기 때문이다. 둘째, 보살행이 진정한 이타행인가 아닌가의 여부는 신통으로 판단할 수 있고 그러한 판단은 삼학의 체계에 근거하여 제시한 것이다. 쫑카빠는 신통의 공능을 인정하면서도 오신통으로는 윤회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한계성을 지적하고 제자들에게도 신통을 위한 수행은 권장하 지 않았다. 그는 대승보살이 이타를 행한다는 명목으로 계를 범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고 계율에 의지하여 수행할 것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태도는 초기에 붓다가 계율에 의지하여 수행할 것을 강조하고 신통을 사 용하는 데 경계하였던 태도와 일치한다. 람림에서 쫑카빠는 붓다의 가르침에 충실히 따를 것을 강조한다. 당시 티벳에 잘못된 불교수행이 퍼져있었던 사회적인 요인도 있겠지만 그는 철저한 계율수행과 삼학, 삼사도의 체계를 통하여 올바른 수행체계를 제 시하고자 하였다. It is explained in Byang-chub Lam-gyi Rim-pa written by Atīśa and Lam-rim written by Tsong kha pa that the miraculous power is directly related to the practice for others' benefit. Buddha had a very cautious attitude about using the miraculous power in the early Buddhist scriptures but the power is encouraged in Mahāyāna scriptures. The Buddhist Precepts are the beginning of religious practising so the Bodhisattva precepts need to be explained from the relationships with the miraculous power and Bodhicitta. Tsong kha pa's views on the Precepts can be examined from two points. First, the Bodhisattva Precepts are great because the Bodhicitta of aspiration is excellent in point of the intention. Second, it can be judged by the miraculous power whether the Bodhisattva's acts are really for all sentient beings or not and the judgement is based on the Three Higher Trainings. Tsong kha pa admitted the capability of the miraculous power. But he said that the five supernatural powers have their limits and did not advised his disciples to practise for them. He asserted that Bodhisattva practitioners should not commit the precepts on the plea of doing for others and should keep them. He was in agreement with the Buddha's attitude about the miraculous power. Tsong kha pa emphasized that Buddhist practitioners should follow the Buddha's teachings in Lam rim. He would suggest Three Higher Trainings and Three Levels of Spiritual Application as correct Buddhist practices. It was also connected with the social situation because there were widespread wrong practices in Tibet at that time.

      • KCI등재

        불교 임종교육과 임종행의 검토- 印光의 「臨終三大要」를 중심으로 -

        양정연 한국선학회 2013 한국선학 Vol.36 No.-

        「臨終三大要」는 임종자의 안위와 올바른 믿음의 생기, 조념염불을 통한 염불심의 도움, 그리고 임종자가 죽음을 맞이했을 때 어떻게 다뤄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는 임종교육 지침서이다. 임종과정에서는 그동안 익숙해져 있던 선이나 불선의 행위가 임종자의 마음에 강하게 자리잡는다. 임종자가 선한 마음을 떠올리며 죽을 때는 안락한 죽음을 맞이하게 되고, 불선의 마음을 떠올리게 될 때는 고뇌하며 극심한 고통을 경험하게 된다. 기력이 쇠락한 임종자의 경우는 익숙했던 업들이 가장 강하게 작용하고 마음은 그쪽으로만 치우치게 된다. 이때 왕생조념이 필요하게 된다. 정토신앙을 바탕으로 제시된 「臨終三大要」에서는 임종자의 마음을 온전히 염불에 두고 정토세 계로 왕생하는 데 집중하도록 한다. 염불을 한다는 것은 아미타불의 서원과 구제력을 믿는 것이다. 따라서 염불자의 자력과 아미타불의 타력이 화합하여 정토왕생의 구제가 가능하게 된다. 불교의 임종교육은 불교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임종자와 가족, 친척들의 죽음에 대한 이해와 수용 태도, 임종과정에서의 구체적인 행의에 대한 내용을 포함해야 한다. 「臨終三大要」는 정토신앙을 바탕으로 마지막까지 구제의 가능성을 확장함으로써 임종자가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할 수 있 도록 하고 가족 모두가 종교적인 성스러운 임종행의에 참여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 과정에서 임 종자뿐만 아니라 가족 모두가 죽음은 생명의 한 과정이며 다음 세계를 결정짓는 삶의 마지막 순간 이라는 점을 체득하게 된다. 이런 점에서 「臨終三大要」는 보다 효과적인 불교의 임종교육과 행 의를 모색하는 데 중요한 방향과 가르침을 제공하고 있다. Three Essential Points for Dying(Lin-zhong San Da-yao) is a guide to death and dying education which suggests how to comfort a dying person, bring forth right belief, help him or her recite Buddha’s name together, and treat the dying person. The good or bad deeds remain strong in the mind of the person in the dying process. If he calls the good deeds to mind when he is near his end, he will die a peaceful death. If he calls the bad deeds to mind, he will die a painful death. The dying person who loses the vigor is seriously affected by the deeds. Helping him recite Buddha’s name together is needed at this moment. The guidebook emphasizes that the dying person should concentrate his mind on recitation and rebirth in the Pure Land. Reciting Buddha’s name is believing in Amitabha’s long-cherished wishes and the power for the salvation of all creatures. Thus, rebirth in the Buddha Land is possible when Other-power of Amitabha and Self-power of prayer coincide. The death and dying education of Buddhism should include the attitudes about death of a dying person and the family members including the relatives and the specific rituals in the dying process. The guidebook helps the dying person overcome the fear of mortality by expanding the possibilities of salvation based on the faith in the Pure Land until the last moment and suggests how for the family members to join the religious or sacred death rituals. During the rituals, the dying person and the family realize that death is a process of life and the last moment of this life which determines next life. In this point of view, we can obtain important lessons and find the way from the guidebook for making the death and dying education of Buddhism and Buddhist rituals more practical.

      • KCI등재

        타이완 생명교육의 전개와 시사점

        양정연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5 철학논집 Vol.41 No.-

        타이완에서는 경제발전에 따른 사회적 문제뿐만 아니라 진학중심으로 운 영되는 학교교육의 문제점이 지적되면서 인문학적 소양을 바탕으로 인간 양성을 위 한 교육이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 이 과정에서 90년대를 전후하여 학계와 종교계, 민간단체를 중심으로 전개된 생사학이나 생명교육은 이 문제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타이완은 학생들의 자살문제를 생명교육의 차원에서 해결하기 위하여 우리보다 앞서 학교교육으로서 생명교육을 실시했고, 학교와 종교계 등 민간단체들은 죽음과 생명에 관한 논의와 활동을 사회적으로 확산시켜왔다. 타이완의 자살률이 2000년대 이후 점차 낮은 추 세를 보이는 것은 이러한 정책이나 활동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은 우리나라에서도 체계적인 학교교육으로서 생명교육이 요청되는 가운데 먼저 타이완 생명교육이 학교교육 과정으로 편입되는 과정과 정책 방향을 검토하고자 한다. 타 이완의 교육환경과 사회적 환경은 한국과 유사하다는 점에서 생명교육을 학교교육 으로 강화시킨 타이완의 사례는 하나의 방향성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 다.

      • KCI등재

        영어 광고에서 형용사 'good'과 상황 의미(ad hoc concept)

        양정연,이상철 한국현대언어학회 2022 언어연구 Vol.38 No.1

        This paper examines the lexical meanings of the adjective 'good' in advertisement slogans, and it shows how listeners can infer the meaning of 'good' and finally construct the ad hoc concept. With the relevance-theoretic approach, adjectives in advertisement slogans are generally acknowledged to be a significant feature of describing the advertised items. However, the previous studies often focus on the issues related to the statistical frequency of adjective usages. Based on bestslogans.com websites, the slogans with the adjective “good” were extracted and lexical and contextual information was analyzed to see its use and possible interpretat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adjective 'good' shows an extraordinary sensitivity to context, and a number of ad hoc concepts are identified. Results also show that inferring the meaning of adjective needs the through understanding of contextual in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